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00:16:01

베레타 AR70

AR70에서 넘어옴
AR70
L'AR-70/90
파일:external/world.guns.ru/beretta_ar70.jpg
전기형 / AR70/223[1]
파일:external/world.guns.ru/beretta_sc70_90.jpg
후기형 / AR70/90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돌격소총
원산지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72년~현재
개발 피에트로 베레타
개발년도 1968년~ 1972년 (AR70/223)
1985년 (AR70/90)
생산 피에트로 베레타
루이지 프랑키 S.p.A[2]
생산년도 1972년~불명
사용국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이집트|]][[틀:국기|]][[틀:국기|]]
기종
파생형 AR70/90
SC70/223
SC70/90
SCS70/223
SCS70/90
LM70
AS70/90
제원
탄약 .223 레밍턴 (AR70/223)
5.56×45mm NATO (AR70/90)
급탄 30발들이 박스탄창 (AR70/223)
30발들이 STANAG 탄창 (AR70/90)
작동방식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
회전 노리쇠 방식
총열길이 450mm
전장 998mm
중량 3.99kg
발사속도 650RPM
탄속 950m/s
유효사거리 500m }}}}}}}}}
1. 개요2. 상세3. 파생형4. 대중매체에서의 등장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AR70 (좌) / AR70/90 (우) 리뷰 영상
파일:436px-Italian_Soldier_Olypmic_Games_Turin_2006.jpg
AR70/90으로 무장한 이탈리아 군인.

이탈리아 베레타사에서 개발한 돌격소총.

2. 상세

이전에 사용하던 7.62mm 전투소총 BM59[3]를 대체하기 위해 1968년부터 개발되어 1972년에 배치가 시작되었다. 초기형인 AR70/223은 M193을 사용하였으나, 1985년에 SS109탄과 STANAG 탄창을 사용하고 탈착식 캐링핸들을 적용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한 업그레이드 버전인 AR70/90이 있다.

개발초기에는 스위스의 SIG사와 공동 연구 개발을 진행하였으나 곧 중단하고 서로 독자개발을 하게 되는데 초기 AR70/223과 SIG530, 540모델은 외형이 거의 비슷하다. 공동 개발의 흔적.

다른 서방권 총기들과 비슷하게 AR-15의 영향을 받은 소총이지만, 장전레버 위치, 탄창멈치 방식[4]이나 장전 방식은 AK들과 비슷하게 생겼다. 작동 방식 역시 롱 스트로크 가스피스톤 방식으로 AK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 부분.

파일:external/f64a107d8d4b47b4606012d0ed95bc3536fcae88674b14d3ff05c97115596bd1.jpg
GLF-40 유탄발사기를 장착할 수 있다. 싱가포르산 CIS 40 GL 유탄발사기를 이탈리아 Franchi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것. #

AR70/223은 BM59와 동일한 총검을 부착했고, AR70/90은 M7 총검을 부착한다.

2009년부터 이탈리아군에서는 ARX-160으로 교체하고 있다.

3. 파생형

  • SC70
    접이식 개머리판이 장착된 모델.
  • SCP70
    360mm 총열이 장착된 단축형 모델.
  • SCS70
    320mm 총열이 장착된 단축형. #
  • LM70(AR-70 LMG)
    분대지원화기형. 양각대가 기본 장착되었다.
  • AS70/90
    위 LM70과 비슷한 분대지원화기형 모델. 양각대가 기본 장착되고 총열 교환 기능이 추가되었다.

4.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히트프로젝트[5]
    보랏빛 텍스처로 등장했는데, 게임상 성능이 절륜한 관계로 거의 국민총 대접을 받았다.
  • 이퀼리브리엄
    리브리움의 군인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소총들 중 하나로 등장한다.

5. 둘러보기

냉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91/38, SMLE No. 4 Mk I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BM59, AR70/223, AR-10, M16A1
기관단총 MAB 38/44, MAB 38/49, LF-57, M12, Socimi 821, CB-M2, M4, MP5, M1928A1, M1A1
산탄총 RS-202, SPAS-12
권총 M1934, M1935, M1951, 92S, 92SB, 92FS, 93R, P1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1918A2, 브렌 경기관총, AS70, FN 미니미
중기관총 M37, M38, M1919A4, M1919A6, MG42/59, M2HB
유탄발사기 M7, GLF-40, M203
대전차화기 M20A1, RL-83, M40, BGM-71 TOW, 브레다 폴고레
맨패즈 FIM-92A
화염방사기 M41, M7
박격포 M62
지뢰 VS-DAFM 7
유탄 M35, OD82, Mk.2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현대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AR70/90, ARX-160A1/A2/A3
저격소총 AW, 사코 TRG-42
기관단총 베레타 Mx4 Storm, UMP40
산탄총 FP6, SPAS-12, SPAS-15, STF-12
권총 베레타 92
지원화기 기관총 FN 미니미, 베레타 MG42/59, M2 중기관총, M134 미니건
유탄발사기 프랑키 GLF-40, GLX-160
대전차화기 MILAN 2T, TOW II, 판처파우스트 3, 스파이크, 브레다 폴고레
박격포 120mm F1, M62 81mm 박격포
맨패즈 FIM-92A 스팅어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4, G36, HK416, SCAR
저격소총 AWM, M82A1, M107, 샤이택 M200, M110 SASS
기관단총 스펙터 M4, MP5, MP7, P90, 슈타이어 TMP, PMX
산탄총 베레타 RS202, 베넬리 M4 슈퍼 90
권총 베레타 93R, 글록 17/19, FN Five-seveN, P11
유탄발사기 M203, Mk.19, Mk.47
대전차화기 M72A5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현대 알바니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알바니아 공화국군 (1945~현재)
Forcat e Armatosura të Republikës së Shqipërisë
<colbgcolor=#FF0000> '''



'''
<colbgcolor=#FF0000> '''[[소총|
소총
]]'''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돌격소총
]]'''
AR70/90 | MPT-76 | MPT-55 | ASh-82 | AK-47R | ASh-78R | 56식R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SVDR
'''[[저격소총|
저격소총
]]'''
TRG-22 | TRG-42
기관단총 H&K MP5
권총 Px4 스톰 | 마카로프 PMR | TT-33R
'''



'''
'''[[기관총|
기관총
]]'''
'''[[기관총#s-5.2|
경기관총
]]'''
MG4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MG5, RPK | ASh-78 Tip-2 | RPD
'''[[기관총#s-5.1|
중기관총
]]'''
DŠKM | M2HB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로켓 RPG-7 | Tip-57 | 69식 화전통
미사일 FGM-148 재블린
맨패즈 FIM-92 스팅어 | HN-5
유탄 RGD-5R
박격포 히르텐베르거 M6C-210 | 히르텐베르거 M8 | 67식 박격포R | PM-43R
'''[[특수부대|




]]'''
'''[[소총|
소총
]]'''
'''[[돌격소총|
돌격소총
]]'''
ARX-160 | M4A1 | G36 | ASh-82 MOD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HK417 | H&K SR9
'''[[저격소총|
저격소총
]]'''
바렛 M82
기관단총 UMP45 | MP7A1 | MP5SD | MP5K
권총 Five-seveN | 글록 19 | P8 | P12 | 베레타 92 | 야부즈 16
유탄발사기 GLX-160 | M203
※ 윗첨자R: 퇴역 장비
}}}}}}}}}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현대 온두라스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온두라스군
Armed Forces of Honduras
개인화기 권총 M1911A1, 베레타 92SB, 베레타 93R, 하이파워, CZ75, P226
기관단총 UZI, Mini UZI, MP5A3, MP5SD3, MAC-10
소총 돌격소총 FN FAL, M14, M16A1, AR70, T65, 갈릴, 갈릴 ACE, M4 카빈, FN SCAR, TAR-21, X95
저격소총 R700, M24, M82
투척물 M18, M67
<colbgcolor=#00BCE4> 지원화기 <colbgcolor=#00BCE4> 기관총 M2, M60, MAG
대전차화기 <colbgcolor=#00BCE4> 대전차 로켓 RPG-7
무반동포 M40, M2
곡사포 M101, M198
박격포 M29
유탄발사기 M79, M203 }}} ※둘러보기 :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이집트 국기.svg 현대 이집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이집트군 보병장비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AK-47, 마아디, AR70/90, CAR-15, SG552, SIG516, CZ-805/807, 베레타 ARX-160
저격소총 SVD, PSG1, AWM, M40A3, SSG 3000, M82
기관단총 MP5, UMP, MP7
권총 TT-33, 헬완, 헬완 920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FN 미니미, FN MAG, RPK, RPD, PK/PKM/PKMS, M60E4
중기관총 SG-43, DShK, NSV, KPV, M2HB, M134 미니건, GAU-19
유탄발사기 마아디 GL, M79, Mk.19 고속유탄기관총
대전차화기 휴대형 M72 LAW, M47 드래곤, RPG-7
설치형 MILAN 2, BGM-71D TOW II, 3M6, 3M11, 9K11, 9M113, 9K115, HJ-8, 아케론 MP
무반동총 M40 무반동포, SPG-9, B-10, B-11
박격포 M-43, 2B11 Sani, 헬완 UK-2, M240 박격포, M224, M30, M252
맨패즈 Sakr Eye, 이글라, 스팅어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리비아 국기.svg 현대 리비아 보병장비 둘러보기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현대의 리비아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 56식 자동소총, F2000, M4A1, MPT-55, G3, FAL, AR70, M16A1 AK-103, G36
저격소총 SVD, M82, PSL
산탄총 M1014, M1200
기관단총 MP5, M12, MAT-49, P90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글록, 카라칼 권총, SAR-9
지원화기 기관총 PKM, RPK, RPD, DShK, M240, FN 미니미,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colbgcolor=#009E49> 대전차화기 RPG-7, 칼 구스타프 M2
무반동총 SPG-9, M40A1
대전차 미사일 밀란, FGM-148, 9M133
대공포 ZU-23, ZPU-4
※둘러보기 :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모로코 국기.svg 현대의 모로코 왕립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모로코 왕립군(1956~)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ملكية المغربية
<colbgcolor=#c1272d> 권총 TT-33T, 베레타 92, PA-15, 하이파워
기관단총 M3T, MAT-49T, H&K MP5
산탄총 모스버그 500
소총 <colbgcolor=#c1272d> 볼트액션 소총 MAS-36T
반자동소총 MAS-49/56T
자동소총 FAL, CAL, SAR-21, AR70/90, M4 카빈, M16A2, M76, M1963/1965, 56식
저격소총 울티마 레이쇼, M14NM
기관총 경기관총 울티맥스 100
다목적 기관총 AA-52, MAG, M240, PK
중기관총 NSV, M2HB, M134
유탄 발사기 Mk.47 스트라이커
대전차 화기 무반동포 B-10, M40A1
대전차 로켓 69식 화전통, RPG-7V, APILAS, LRAC-89, M72 LAW
대전차 미사일 HJ-8, 밀란, M47, 말륫카, 메티스-M, BGM-71 TOW
※ 윗첨자T: 훈련용 화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현대 부르키나파소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현대의 부르키나파소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 AKM, AKMS, Vz.58, G3A3, SG540, AR70, M70, M05E
저격소총 MAS-49
기관단총 MAT-49, MAS-38, M12
권총 PPK, PA-15
지원화기 기관총 M84, FN MAG, AA-52, DShK,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colbgcolor=#009E49> 대전차화기 RPG-7, 칼 구스타프 M2
맨패즈 이글라 지대공미사일
무반동총 M20 무반동포
박격포 Mle 27/31, PM-43
대공포 ZPU-2
※둘러보기 :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보병 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파일:베레타 로고 화이트.svg 피에트로 베레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022844> 피에트로 베레타 제품 라인업
권총 M1915 · M1923 · M1934 · M1951 · 950 · 92 ( M9 · M9A1 · 93R · 돌핀) · 80 시리즈 · 8000 · 9000 · Px4 Storm · APX
기관단총 MAB 18 · MAB 38 · PM12 · Mx4 Storm · PMX
산탄총 682 · 686 · 687 · 1301
소총 <colbgcolor=#022844> 반자동 M1931 · M1937 · Cx4 Storm · Rx4 Storm
자동 BM59 · AR70/90 · ARX-160 · NARP
}}}}}}}}}}}} ||


[1] 이 모델에서는 탄창멈치 방식이 다른 전용탄창을 호환한다. # [2] 전용 유탄발사기인 GLF-40(싱가포르제 CIS-40을 면허생산한 것)을 생산했다. [3] M1 개런드에 7.62×51mm 탄을 사용하게 하고 자동사격 기능과 박스탄창 급탄 기능을 추가했다. 이러한 점은 M14 소총과 유사하면서도 다른 전투소총에 비해 반동 제어 문제로 자동 사격이 어렵다는 단점도 공유했다. [4] AR70/223 한정. AR70/90은 STANAG 탄창을 호환해서 탄창 멈치 방식이 다르다. [5] 2000년대 초반~중반에 두빅에서 서비스했던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