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20 00:36:02

문방사우

글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손글씨
서예 · 캘리그래피 · 필기체 · 서명 · 필기 · 필적
필기도구 · 문방사우
분류
한글 바탕 · 돋움
라틴 문자 Vox-ATypI 분류 · 세리프 · 산세리프 · 이탤릭 · 블랙 레터
한자 관련 틀 참조
인쇄 / 디자인
활자( 금속활자) · 합자 · 타이포그래피
포스트스크립트 · OTF · TTF · 웹 폰트 · 클리어타입 · 가변 글꼴
목록
글꼴 목록 · 상업용 목록 · 분류:글꼴
기타/관련 항목
속기 · 문자 체계 · 문장 부호 · 전각과 반각 · 볼드
}}}}}}}}} ||

1. 개요2. 종류3. 역사4. 내용

1. 개요

문방사우()란,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의 4가지 친구, 즉 곁에 늘 두게 되는 문구들이다. 글을 쓸 때의 네 가지의 보물이라 하여서 '문방사보'[1], 혹은 황제를 보필하던 제후에 빗대어 '문방사후'라고 부르기도 한다. 4가지 문구에 해당하는 한자들을 나열하여 지필묵연(紙筆墨硯)이라고도 한다. 이걸 자주 쓰던 것은 물론 지금이 아닌, 조선시대 선비들에게나 해당되는 얘기지만 말이다.[2]

2. 종류

자세한 설명은 각 문서를 참고하길 바란다.

3. 역사

중국 사람들은 문인들이 책을 읽는 곳 혹은 쓰는 도구들을 문방이라고 부르면서 특별하게 대우해 왔다. 문방이라는 표현은 여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사우라는 표현은 남당 이욱(李煜) 황제가 만들게 한 이정규묵, 남당관연, 징심당지, 오백현[3]의 문구들을 통틀어서 남당사보(남당의 네 가지 보물)라고 부르고 애지중지한 것이 유래였다. 얼마나 문구를 좋아했으면 문구 네 개를 나라의 보물이라고 하는 걸까 문인들의 나라라고 불리는 송나라가 세워진 뒤에는 이 문방사우를 아끼는 정도가 더 깊어졌다.[4]

4. 내용

예나 지금이나 글을 쓰는 행위는 인간 사회의 가장 필수적인 것이었고, 컴퓨터는커녕 잉크조차 없었던 당시 동아시아에서 글쓰기에 가장 효율적인 물건은 먹과 붓이었다. 특히 양반 등 지배계층은 각종 기록들을 많이 남겨야 했기 때문에, 자연히 문방사우는 생활의 필수품이 되었다. 요즘에도 글씨는 사람 성격을 나타낸다는 말이 있는데, 예전에는 더 심하면 심했을 것이다.[5] 이러다 보니 나중에는 글씨가 아니라 누가누가 더 좋은 문방사우를 가졌나 가지고 쓸데없는 사치나 부리는 폐단이 일어나기도 했다. 어쨌든 이렇듯 항상 글을 쓰는 등 생활을 하는 것을 보니 친구라 불러도 무리가 없었을 듯하다. 친구는 주로 학교에서만 보기라도 하지 문방사우는 집에서든 서당에서든 항상 볼 것이다

참고로 연적 문진은 문방사우에 들어가지 않는다. 있으면 좋고 없더도 그만인 옵션(?) 물품.

[1] 특히 중국어에서 이렇게 많이 표현한다. [2] 무인버전으로는 무반사호(武班四好)가 있고 여성버전으로는 규중칠우가 있다. 규중칠우는 바늘, 실, 가위, 자, 골무, 다리미, 인두를 가르키며 이를 다룬 규중칠우쟁론기가 있다. [3] 순서대로 먹, 벼루, 종이, 붓이다 [4] 이 때는 문방구의 종류도 벼루와 같이 쓰는 물 담는 그릇인 연적, 먹 같은 것이 묻은 붓을 빠는 그릇인 필세, 문진, 낙관 등의 40여 가지가 넘었다. 송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문구류를 사랑했는지를 엿볼 수 있다. [5] 이를 서여기인(書如其人)이라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