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역 |
몽탄 - |
몽탄역 | ||
용산 방면
함 평 → 11.4 ㎞ |
목포 방면
일 로 9.6 ㎞ → |
|
용산·광주 방면
|
호남선 무궁화호 |
|
무 안 ← 3.8 ㎞ |
||
경전선 무궁화호 |
||
부전 방면
|
||
역명 표기 | ||
호남선 |
몽탄 Mongtan 夢灘 / 梦滩 / [ruby(夢灘, ruby=モンタン)] |
|
주소 | ||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몽탄로 869 (사천리)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 목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본부) |
||
운영 기관 | ||
호남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호남선 | 1913년 5월 15일 | |
2023년 9월 1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승강장 구조 | ||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대전조차장 방면
무 안 ← 3.8 ㎞ |
호남선 몽 탄 |
목포 방면
일 로 9.6 ㎞ → |
현 역사(2001년 준공) |
[clearfix]
1. 개요
맞이방 |
<nopad> |
몽탄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각각 느러지 한반도 지형과 고려청자를 형상화했다. 매표소 앞에 비치되어 상시 날인 가능하다. |
1913년 호남선의 간이역으로 출발, 마을의 중심에서 문화공간이 되다
몽탄역은 1913년 호남선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 1927년 역사가 신축된 이후 화물과 소화물을 취급하기 시작하였으며 1940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한국전쟁으로 잠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곧 다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여객수송업무를 주로 하고 있다. 지금은 비록 호젓한 시골 역사이지만 과거에는 근무했던 역무원만 10여 명이 넘었다던 몽탄역. 2001년 호남선 복선화 공사로 현 위치에서 새로운 역사로 새롭게 준공되었다. 보통 외곽으로 이설된 다른 역사들과는 다르게 여전히 마을 가운데 위치한 몽탄역은 삼각형 지붕과 독특한 모양의 지붕 창이 인상적이다. 내부 천장에는 인근 호남선의 다양한 볼거리와 명소들 사진이 큰 원을 그리고 있다. 철도가 유일한 교통편이었던 시대를 지나며 여객 수 감소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지만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문화디자인 프로젝트'에 선정되며 주민들이 참여하는 문화공간으로 새롭게 디자인되어 주민들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탈바꿈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호남선의
철도역,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몽탄로 869 (사천리) 소재.몽탄역은 1913년 호남선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 1927년 역사가 신축된 이후 화물과 소화물을 취급하기 시작하였으며 1940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한국전쟁으로 잠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곧 다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여객수송업무를 주로 하고 있다. 지금은 비록 호젓한 시골 역사이지만 과거에는 근무했던 역무원만 10여 명이 넘었다던 몽탄역. 2001년 호남선 복선화 공사로 현 위치에서 새로운 역사로 새롭게 준공되었다. 보통 외곽으로 이설된 다른 역사들과는 다르게 여전히 마을 가운데 위치한 몽탄역은 삼각형 지붕과 독특한 모양의 지붕 창이 인상적이다. 내부 천장에는 인근 호남선의 다양한 볼거리와 명소들 사진이 큰 원을 그리고 있다. 철도가 유일한 교통편이었던 시대를 지나며 여객 수 감소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지만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문화디자인 프로젝트'에 선정되며 주민들이 참여하는 문화공간으로 새롭게 디자인되어 주민들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탈바꿈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왕복 1회의 ITX-새마을 열차와 편도 1회를 제외한 모든 호남선, 경전선, 광주선[1]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전 역인 무안역보다 이용 승객 수가 더 많다.
2. 역 정보
구 역사(1927년 준공, 2001년 철거) |
호남선 복선전철화 공사를 진행하며 직선화 명목으로 바로 아래에 있던 명산역이 폐지되었고, 동시에 몽탄역도 역시, 호남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진행되었던 구간이다. 하지만, 이 역 주변 구간은 원래 선형이 좋아 곡선부만 완만하게 하고 대부분 기존 노반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역 위치가 바뀌지 않아서 무안군의 다른 역보다는 접근성이 편리하고 무궁화호가 모두 정차한다. 그러나, 호남선의 익산 이남의 여객열차 배차간격이 심각하게 안 좋은데다, 원래부터 몽탄역이 있는 몽탄면이 인구가 적어서 이용객이 매우 적다.
역시 도로교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7~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이 역을 통해 목포시로 통근 통학하는 수요도 많았지만 도로교통이 발달하고 '버스보다 저렴한' 완행열차 따위가 없어져버린 지금은 그런 거 없다. 오히려 친절히도 맞이방 내에 40~70분 간격으로 역 앞을 지나는 800번 버스의 노선도를 붙여놓고 있다.
이 역은 열차운전시행규칙 제7조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이어서 역장 혼자서 근무한다.
2021년 1월 1일부터 서광주역, 능주역, 무안역과 함께 평일 9시에서 18시까지만 직원이 근무하고 18시에서 다음날 9시, 토·일·공휴일에는 직원이 근무하지 않으므로 이 역에서 열차를 이용할 경우 코레일톡으로 표를 구입해야 한다.
3. 승강장
승강장 |
역명판 |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지하도를 통해 대합실과 연결된다.
↑ 무안 |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일로 ↓ |
1·2 | 호남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광주· 서대전· 용산 방면 |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광주송정· 진주· 부전 방면 | |
3·4 | 호남선·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일로· 임성리· 목포 방면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2004년 | 36명 | |||
2005년 | 43명 | |||
2006년 | 46명 | |||
2007년 | 53명 | |||
2008년 | 54명 | |||
2009년 | 49명 | |||
2010년 | 55명 | |||
2011년 | 55명 | |||
2012년 | 50명 | |||
2013년 | 49명 | |||
2014년 | 46명 | |||
2015년 | 42명 | |||
2016년 | 44명 | |||
2017년 | 41명 | |||
2018년 | 35명 | |||
2019년 | 37명 | |||
2020년 | 28명 | |||
2021년 | 24명 | |||
2022년 | ||||
2023년 | 4명 | 23명 | 27명 | [2]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둘러보기
호남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가수원† -
흑석리† - - - -
개태사† - -
부황† - - -
채운† - -
용동† - - -
황등† - -
부용† -
와룡† - -
감곡† - -
초강† - -
천원† -
노령† - - -
안평† - - -
임곡† -
하남† -
북송정† - -
노안† - - - -
고막원† - - - - - - - - |
}}}}}}}}} |
무안군 교통체계 | ||
<colbgcolor=#f36717> 항공 | 무안국제공항 | |
철도 |
|
|
호남선 | 무안역, 몽탄역, 일로역 | |
도로 | 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일로IC2, 무안IC3), 무안광주고속도로( 무안공항IC1, 북무안IC2) |
국도 | 1번 국도, 2번 국도, 24번 국도, 77번 국도 | |
지방도 | 49번 지방도, 60번 지방도, 805번 지방도, 811번 지방도, 815번 지방도, 825번 지방도 | |
버스 |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 무안군 농어촌버스, 무안버스터미널 |
전라남도의 교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