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7 01:22:08

마인크래프트/건축/장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마인크래프트/건축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기본 플레이
시스템 세계 ( 시드) · 게임 모드 · 난이도 · 게임 규칙 · 엔딩 · 죽음 메시지 · 스플래시 · 명령어 · NBT · 런처
인게임 아이템 · · 개체 · 날씨 · 차원 · 생물군계 · 구조물 · 마법 부여 · 상태 효과 · 조작법 · 피해 · 발전 과제
도움말 튜토리얼 · ( 탐험 · 파밍 · 회로) · 브릿징 · PVP · 파쿠르 · 스피드런 · 건축
시리즈 및 매체
출시 에디션 자바 에디션 ( 업데이트) · 베드락 에디션 ( 업데이트) · 포켓 에디션* · 콘솔 에디션* · 파이 에디션*
파생 게임 마인크래프트 던전스* · 마인크래프트 레전드* ·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 ·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 · 마인크래프트 어스*
미디어 OST · 관련 서적 · 레고 · 애니메이션 · 더 무비
Minecraft Live · Minecraft Now · Minecraft Monthly
유저 콘텐츠
창작 요소 2차 창작 · 망토 · · 모드 ( 개발 · · 모드팩) · 애드온 · ( 리소스 팩 · 데이터 팩) · 외부 프로그램 ·
멀티 콘텐츠 멀티플레이 · 서버 · 플러그인 · Realms · EULA
개발 개발 기초 · 모드 개발 · 플러그인 개발
기타
이야깃거리 여담 · 커뮤니티 · 사건사고 · 문제점 · 용어 · 지원 언어 · 머나먼 땅 · 이미테이션 게임
관련 문서 나무위키 마인크래프트 프로젝트 · 마인크래프트로 분류된 문서 · 마인크래프트의 하위 문서
* 표시는 서비스가 종료되었거나 개발이 중단되었다는 표시이다. }}}}}}}}}
<nopad> 본 위키는 공식 MINECRAFT 서비스가 아닙니다. 이용에 참고 바랍니다.

파일:마인크래프트/화로.png
방법
파일:마인크래프트/제작대.png
종류
파일:마인크래프트/모루.png
장르

1. 개요2. 중세
2.1. 배경2.2. 지붕2.3. 기둥2.4. 바닥
3. 현대
3.1. 도시
3.1.1. 벽
4. 판타지
4.1. 색감4.2. 드래곤4.3. 건물 특징
5. 동양
5.1. 한국풍
5.1.1. 배경5.1.2. 민가5.1.3. 궁궐5.1.4. 사찰5.1.5. 누정
5.2. 일본풍
5.2.1. 배경5.2.2. 신사 및 사찰5.2.3. 천수각
5.3. 중국풍
5.3.1. 배경5.3.2. 화북5.3.3. 강남
6. 유럽
6.1. 북유럽(바이킹)6.2. 그리스6.3. 베네치아
7. 미래
7.1. 사이버펑크7.2. 아포칼립스
8. 특이한 건축 방식
8.1. 사선 건축8.2. 압축 건축8.3. 빛 건축8.4. 마인카트 건축8.5. 원블럭 건축

1. 개요

마인크래프트 건축의 장르들에 대해 서술해놓았다

2. 중세

중세 시대는 건축 장르 중 가장 작품이 많으며 언제나 사랑받는 장르이다

주로 성, 대장간, 대성당, 시계탑, 광장, 시장 거리 등 중세 시대의 큰 마을을 볼 수 있다

2.1. 배경

중세 건축물들을 보면 주변 지형에 따라 성의 모습과 성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중세 장르의 건축을 할려면 적당한 땅을 찾는게 중요하다.[1]

2.2. 지붕

사선 건축을 하면 되는데 지붕 끝자락부터 대각선 위쪽으로 1블럭, 1블럭, 1블럭 그리고 2블럭, 3블럭을 반복해서 최종적으로 예각삼각형 모양으로 만들면된다. 조금 큰 건축이라고 해서 3칸, 4칸도 시도해봐도 괜찮지만 5칸은 미관상 별로이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는다.

지붕 테두리는 블럭 팔레트를 참고하여 지붕색과 잘 맞는 색으로 꾸미는걸 추천한다. 주로 계단 블럭이나 반블럭으로 꾸미면 자연스럽게 보인다.

2.3. 기둥

대규모 건축, 즉 비교적 큰 건축물을 지을때는 기둥을 1칸으로 세우는게 아닌 4칸, 또는 9칸으로 세우는걸 추천한다. 생각보다 비대하다는 느낌을 많이 줄 수 있다. 땅과 다른 용도의 추가 건축물들과의 연결대로는 나무판자 계단, 반블럭이나 석재 계단, 반블럭으로 사용하면 된다.

2.4. 바닥

일반적으로 성 주위에는 석재벽돌, 마을 주위에는 흙길과 조약돌을 사용한다. 성 주위에 석재벽돌 및 안산암, 조약돌과 같이 사용해주면 자연스러워 보인다. 마을의 길도 흙길과 조약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흙길에는 거친 흙-뿌리내린 흙-잔디-흙길을 섞어 만들고 돌길에는 돌-조약돌-벌레 먹은 석재벽돌[2]-자갈을 섞어 만들자.

3. 현대

현대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장르로 건축 대표 장르중 하나이다.
소규모의 상가/주거 건물 부터 시작하여 대도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대 창작물들과 실제 건축물을 그대로 제현하는 작품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입문하기가 굉장히 쉬우면서도,실제 존재하는 건물들을 모티브로 지으므로 실제 건축법과 고증을 지키면 정말 끝도없이 어려워지는 장르이기도 하다.

주로 현대 장르에서는 다락문, 계단, 울타리 블록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철 다락문, 버튼, 엔드 막대기 등 하얀색 또는 검정색, 회색에 가까운 색을 가진 아이템들로 디테일을 살려준다.

3.1. 도시

뭘 만들지 고민될때 도시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건축물들이다.
주택/아파트/상점/마트/학교/도서관/병원/진료소/정부기관건물/공원/군사 지역/경찰서/소방서/지하철역(기차역) 등

3.1.1.

콘크리트류로 많이 짓는다.[3] 조명은 바다랜턴.

4. 판타지

창작이라면 빠질 수 없는 장르로 다른 대부분의 장르들과 엮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4.1. 색감

판타지 장르는 주로 신기하고 평소에는 볼 수 없는 특별한 건축물을 짓는데, 그럴때는 단조로운 색 조합이 아닌 많이 상반되는 색끼리 조합을 맞춰야한다.

4.2. 드래곤

판타지를 장르로 잡을때 주 건축물 요소 중 하나인 드래곤은 크기에 따라 짓기 힘들어진다. 우선 뼈대를 만들고(드래곤의 뼈 부분을 만들면 된다.) 살을 붙혀주는게 중요하다. 역동적인 모션을 만들기는 생각보다 어렵기 때문에 숙련도를 높히고 시도하는걸 추천한다.

4.3. 건물 특징

중세 건물들을 기반으로 하였고, 어두운 부분을 밝고 빛나는 색으로 바꾼것이 큰 특징이다.

5. 동양

한중일 삼국을 기반으로 한 장르로써 대게 궁궐과 탑 같은 화려한 건축물들을 볼 수 있다.

5.1. 한국풍

한국풍으로는 주로 조선후기부터 그 이후의 양식이 지어지며[4] 민가 형식의 한옥을 짓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궁궐과 누정형식의 건축물도 지어진다. 처마의 곡선은 부드럽게 올라가고 금속장식은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5] 건물과 지붕의 비율은 1:1이며 한국풍 건축을 할 때는 자신이 짓는 건물의 형식을 정하고 실제 건축물을 참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5.1.1. 배경

한국풍 건축은 배산임수식 배경이 대부분이고 정원의 경우 연못이나 강이 있으면 좋다. 소나무나 버드나무, 참나무 같은 나무를 표현하여 전체적인 틀을 잡고 매화나 조릿대 같은 비교적 작은 나무도 표현한다. 궁궐의 정원에서는 관목이나 조릿대로 담장을 만드는 취병을 표현하기도 한다. 건물의 방향은 주로 남향이다.

5.1.2. 민가

민가는 주로 사대부의 기와집 형식을 말하며 조선시대 배경 특성상 단청과 공포는 생략되기 때문에 참나무나 가문비나무로 건물을 올리고 기와는 흑암과 심층암 블럭으로 표현한다. 건물의 바닥은 띄워져 있지만 대부분 전돌로 뚤린 구멍을 막는 것이 대부분이다. 건물의 벽체는 하얀색 계열의 블럭을 사용한다. 민가의 문은 자작나무 문이나 다락문을 사용한다. 천장은 뚫려 있어서 건물의 부재가 보인다.

5.1.3. 궁궐

궁궐을 지을 때는 실제 궁궐의 배치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궁궐은 단청을 칠하고 기단을 높여 권위를 세우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맹그로브 나무 같이 붉은 계열의 블럭으로 기둥을 짓고 기둥위에 올라가는 부재들은 푸른 계열의 블럭과 유광테라코타 등을 사용하여 장식한다. 기와는 민가와 거의 같지만 일부 중요한 전각들은 청기와를 올리기도 한다.[6] 지붕위 용마루는 석영블럭 같은 흰색계열의 블럭을 사용하고 벽체는 분홍색 테라코타를 사용한다. 궁궐의 천장은 막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바닥은 민가와 비슷하지만 정전 같은 건물의 경우 나무마루가 아닌 전돌을 깔기 때문에 자신이 짓는 건물의 유형의 실제 건축물을 참고하는게 좋다.

5.1.4. 사찰

사찰을 지을 때는 역시나 실제 사찰의 배치를 참고하는 것이 좋고 탑과 일주문 같은 사찰의 필수요소를 넣는 것이 좋다. 사찰건축도 단청을 칠하기 때문에 궁궐과 건물의 표현 방법은 비슷하지만 기단을 높이 올리지 못한다는 것과[7] 단청을 더 화려하게 칠하고 노란색 벽도 존재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5.1.5. 누정

누정은 문루, 누각, 정자로 나뉘며 벽이 뚫려 있기 때문에 벽을 표현하지 않으며 기단이 낮고 문루를 제외하고 연못이나 강같은 곳에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민가, 궁궐, 사찰 등 모든 유형의 건축물들에 지어지기 때문에 각 유형마다 구성의 차이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짓고자 하는 양식을 따르는 것이 좋다.

5.2. 일본풍

일본풍으로는 주로 신사나 사찰, 천수각을 짓는다.[8] 중국과 한국에 비해 처마곡선의 정도가 낮으며 내부의 부재로 인해 서까래가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현어나 당풍지붕 같은 일본 건축의 특징을 표현하는 것이 더 특색있어 보인다.[9]

5.2.1. 배경

연못이 있고 벚나무와 소나무, 대나무가 있는 배경이 많다. 주로 대나무와 조약돌 블럭 종류, 모닥불 등을 사용해 표현하는 온천이 배경이 되기도 한다.

5.2.2. 신사 및 사찰

신사를 지을 때는 신사의 다양한 유형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지으면 된다. 유형에 따라 재료가 천차만별로 바뀐다. 주칠단청일 때는 붉은 계열의 블록을 사용하고 단청을 칠하지 않았으면 가문비나무를 사용하고 옻칠단청이면 짙은 참나무를 사용하여 짓는다. 지붕의 재료도 다양하다. 더구나 한국풍건축에는 없는 동와[10] 히와다부키[11] 같은 재료도 많으니 각 유형마다 잘 어울리는 지붕선택도 중요하다. 보통 주칠단청[12]+기와, 동와, 히와다부키를 조합하고 단청이 없는 건물+기와, 히와다부키, 초가를 조합하고 옻칠단청+기와, 히와다부키로 조합하는 경우가 많다. 신사와 사찰건축은 서로 커다란 차이는 없지만 사찰엔 목탑이 있는 경우가 많고 신사에는 토리이가 필수적으로 들어간다는 차이가 있다.

5.2.3. 천수각

천수각은 3층, 5층, 7층 같이 홀수로 층을 올리고 화공에 대비하기 위해 흰 벽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흰 블럭 계열로 벽체와 서까래를 짓는다. 지붕은 기와지붕이나 동와를 올린다. 지붕의 용마루 끝에는 샤치호코를 올리는데 금블럭 또는 노란색 계열 블럭으로 만든다. 바닥은 마루로 하는 경우가 많고 천수각에 중심에는 심주라는 기둥을 세운다.

5.3. 중국풍

중국풍 건축은 크게 화북과 강남건축으로 나뉘며 주로 자금성 같은 큰 건물을 짓는 것이 대부분이다. 중국의 건축은 한국의 건축과 더불어 발전했기 때문에 중국건축은 단청과 여러 세부적인 표현들을 제외한다면 한국건축과 굉장히 유사하다.

5.3.1. 배경

연못이 있고 다양한 큰 나무들이 있으며 인공산과 호수를 만들기도 한다.

5.3.2. 화북

화북건축의 처마의 곡선은 한국과 비슷하며 지붕에 경사가 높고 이화원과 자금성같은 건축물이 대표적이다. 맹그로브나무로 기둥을 세우고 파란색 계열 블럭과 유광테라코타로 나머지 부재를 만든다. 지붕에는 기와나 유리기와를 올린다.[13]

5.3.3. 강남

강남건축은 처마의 곡선이 급격하게 높아지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다. 보통 유리기와를 잘 사용하지 않고 벽체는 흰색이다. 처마의 곡선을 제외하면 건물의 표현방법은 화북과 대체로 비슷하다.

6. 유럽

6.1. 북유럽(바이킹)

북유럽 신화를 기반으로 한 장르로써 위그드라실, 미드가르드, 아스가르드, 요툰헤임, 알브헤임 등을 포함한 다수의 지역들의 건축물을 볼 수 있다.

6.2. 그리스

그리스 신화 등 역사를 기반으로 한 장르로써 파르테논 신전과 같은 건축물들을 볼 수 있다.

6.3. 베네치아

수상도시를 많이 만든다

7. 미래

7.1. 사이버펑크

주로 RTX 공모전이 열릴때 많이 만드는 유명한 장르이다. 미래지향적인 느낌을 나타내기위해 단조로운 블럭들을 많이 사용하는 편이지만 건축물들은 대체로 화려하다.

7.2. 아포칼립스

8. 특이한 건축 방식

일반적으로는 볼 수 없으며 보편적이지 않은 건축 방법에 대한 서술.

사선 건축 같이 건축하는 과정에서 꼭 만날 방식도 있으나 대부분이 그렇지 않다. 나머지는 심심할때나 시도해보자.[14]

8.1. 사선 건축

사선 건축이란 지붕, 집의 전체적인 모양 등을 비스듬하게 만드는 건축이다.[15]

8.2. 압축 건축

위에서 누른것 같이 생겨, 압축 건축이라 한다

압축 건축은 굉장히 어려운 난이도를 가지고있고 숙련도도 높아야하기 때문에 초보자가 도전하기에는 매우 힘들 수 있다
파일:사선건축.png
파일:사선건축1.png [16]
지붕 있는 집을 위에서 압축하듯이 누른 느낌이 난다.
파일:2023-12-03_20.16.48.png [17]

8.3. 빛 건축

빛 블럭으로 건축하는 방식이다. 시간때는 밤일때 제일 잘 보이는 건축물이다.

8.4. 마인카트 건축

마인카트를 계속 쌓아올려서 건축하는 방식이다. /summon 명령어를 사용하거나 직접 레일 설치, 파괴를 반복하며 쌓아야한다.[18]

8.5. 원블럭 건축

블럭 하나로만 건축하는것이다.
[1] 현실과 비교해서 실제로 사람이 살면 좋을 것 같은 땅을 찾는게 좋다. [2] 부수지 않게 조심하자. [3] 테라코타도 쓰지만 색이 애매해서 별로 안쓴다. [4] 만약 조선시대 이전 건축물을 짓고 싶다면 이 문서의 역사 문단을 참고해 시대별 건축물의 전체적인 색감을 알아보자. [5] 금속장식의 경우 조선후기 건축 한정이다. 금속장식은 조선초기 까지 남아있었다. [6] 청기와는 프리즈머린 계열 블럭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7] 정확하게는 월대를 사용하지 못한다. [8] 벚꽃과 프리즈머린 계열 블럭들을 주로 사용한다. [9] 현어나 당풍지붕의 경우 모두 과거 동아시아에 존재하던 양식이다. 다시 말해 일본 고유의 양식은 아니다. [10] 구리를 감싸 만든 기와. 푸른 색의 블럭으로 표현한다. [11] 짙은 참나무로 표현한다. [12] 붉은색이 바탕이 되는 단청 [13] 유리기와의 색은 다양하지만 보통 유리기와의 색은 황금색이다. 황금색 유리기와의 색은 노란색 계열 블럭으로 표현한다 [14] 대부분 난이도가 상 또는 극상이다. [15] 중세 건축의 지붕도 일종의 사선 건축이다. [16] 가루92의 작품 [17] 가루92의 작품 [18] 사실 쌓아도 단순 건축 밖에 하지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