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4 15:40:36

도봉동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83f8f>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도봉동
구청
방학동
쌍문동 창동 }}}}}}}}}
도봉구 법정동
도봉동
道峰洞 | Dobong-dong
<colbgcolor=#083f8f><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도봉구
행정표준코드 1132010800
관할 행정동 도봉1동, 도봉2동
하위 행정구역 65통 511반
면적 9.55㎢
인구 46,015명[A]
인구 밀도 4,818.32명/㎢
1. 개요2. 상세3. 관할 행정동
3.1. 도봉1동3.2. 도봉2동
4. 주요 시설
4.1. 공공기관4.2. 관광4.3. 교육
4.3.1. 초등학교4.3.2. 중학교4.3.3. 고등학교
4.4. 주거
5. 교통
5.1. 버스
5.1.1.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5.1.1.1. 간선5.1.1.2. 지선5.1.1.3. 심야5.1.1.4. 마을
5.1.2. 경기도 시내버스
5.1.2.1. 광역5.1.2.2. 일반
5.2. 도시철도
6.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법정동.

2. 상세

북한산, 도봉산 그리고 북한산 국립공원과 인접해 있는 동이며 더불어 서울특별시 최북단 지역이기도 하다. 노원구 상계동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과 경계를 이루는 곳에는 중랑천이 흐르며 중랑천으로 무수천, 도봉천이 유입되고 도봉산과 함께 수락산을 조망할 수 있다. 서울이라는 타이틀에 어울리지 않게 시골 분위기가 풍겨지는 곳이 많으며[2] 주말에는 북한산과 도봉산을 등산하기 위한 등산객들로 붐비기도 한다. 도봉산역 근처에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가 있어 경기도 북부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으로 이동할 때 이곳을 경유하기도 한다. 의정부IC[3]와 가까워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통해 서울 외곽으로 빠져나가거나 중랑천을 따라 이어져 있는 동부간선도로를 따라 서울 중심부로 진입하는데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다만 러시 아워에는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된다.

도봉구 지역 전체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도봉동 지역은 특히나 국립공원 벨트에 묶인 비중이 너무 높아서 재개발이 요원한 지역이라고 할수 있다. 나름대로 조용한 지역이지만 오래된 주택가가 많고 재개발, 재건축도 추진이 안되다 보니[4] 도시 자체가 오래되고 낡은 베드타운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봉동의 도봉2구역이 이주 중에 있으며 삼환아파트가 재건축 안전진단에서 최종 통과하여 재건축 추진을 하는 등 슬슬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어 앞으로 더 지켜봐야 할 듯하다.

이 지역은 참고로 서울 동북권 지역에서 3대 이상 거주하고 있는 서울 토박이(양주 토박이)들이 상당수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도봉1동 무수골, 안골이 그러며, 2,000명 정도 사는 걸로 추정된다.

도봉산 인근에는 50여명의 사람들이 모여서 집을 짓고 함께 거주하는 은혜공동체라는 셰어하우스가 있다.

힘센 여자 도봉순의 배경이 되는 곳이 바로 이 동네. 드라마를 보면 거의 1980년대 나폴리에 필적할 정도로 범죄시도가 잦은 동네로 나오지만, 사실 서울에서 제일 범죄율이 낮은 동네 중 하나였다. 단 2017년엔 양천구가 범죄율 낮은 도시 1위로 올라섰다.

도봉1동의 등산로로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물론 대중교통으로는 왕래 불가.

1동과 2동 사이 1호선이 지상으로 다니고 있어서 단절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조선 중기~1914년 3월 31일 : 경기도 양주목 해등촌면 누원리( 조선 순조 이후로 상누원리, 누원리로 나눠짐), 무수동, 영국리
1914년 4월 1일 : 해등촌면의 상루원리, 무수동, 영국리를 합하여 노해면 도봉리를 설치
1914년 4월 1일 : 양주군 노해면 도봉리
1963년 : 서울특별시 성북구로 편입
1973년 7월 1일 : 도봉구 설치 및 도봉구로 편입
1975년 10월 1일 : 도봉동 사무소 관할에서 방학동 분동
1977년 9월 1일 : 도봉동 이 도봉1동, 도봉2동으로 분동
1988년 1월 1일 : 도봉구에서 노원구가 분구되면서 노원구에 편입. 이로 인해 1년간 도봉구에 도봉동이 없는 희한한 상황이 되었다.
1989년 1월 1일 : 노원구에서 도봉구로 환원

3. 관할 행정동

3.1. 도봉1동

도봉구 행정동
도봉제1동
道峰第一洞 | Dobong 1(il)-dong
<colbgcolor=#083f8f><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도봉구
행정표준코드 3090045
관할 법정동 도봉동
하위 행정구역 29통 202반
면적 8.72㎢
인구 20,135명[A]
인구 밀도 2,309.06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도봉구 을

오기형 (재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이은림 (초선)
도봉구의원 | 라 선거구

이강주 (초선)

이성민 (재선) }}}}}}}}}
행정복지센터 도봉로169나길 22[6]
도봉1동 주민센터
도봉동 중 1호선의 서쪽에 있는, 면적의 대부분이 도봉산으로 이루어진 지역이다. 국립공원 벨트에 묶여 개발이 이루어지기 어려워 낙후되어 있다. 아파트는 거의 없고, 빌라와 단독주택이 대부분이다. 도봉고등학교, 북서울중학교, 도봉초등학교, 오봉초등학교가 있다.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가 위치해있다.

도봉산 진입로에 음식점과 술집이 늘어서 있다. 평소에도 이용객이 결코 적다고 말할 수 없으며 주말이 되면 등산객 + 등산은 별 관심없고 술 마시러 온 사람들이 몰려서 인산인해를 이룬다. 은근히 등산로 입구가 공원 느낌이 날 정도로 정비가 잘 되어 있어 근처 어르신들이 산책과 장기를 즐기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도봉산 진입로에는 온갖 등산복 브랜드 매장과 장비를 파는 노점상들로 가득한데, 원피스만 입고 간 여자도 풀템으로 등산 시작할 수 있을 정도로 모든 걸 다 판다. 진입로 주변에 나이드신 분들이 많아 가히 탑골공원스러운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오봉초등학교 근처 야산에 화학부대가 1986년부터 30여년 간 위치해 있었다.

3.2. 도봉2동

도봉구 행정동
도봉제2동
道峰第二洞 | Dobong 2(i)-dong
<colbgcolor=#083f8f><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도봉구
행정표준코드 3090046
관할 법정동 도봉동
하위 행정구역 36통 309반
면적 0.83㎢
인구 25,880명[A]
인구 밀도 31,180.72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도봉구 을

오기형 (재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이은림 (초선)
도봉구의원 | 라 선거구

이강주 (초선)

이성민 (재선) }}}}}}}}}
행정복지센터 마들로 668 (도봉동 636-9)
도봉2동 주민센터
남북으로 길쭉하게 뻗은 행정동으로 서쪽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달리고 있고 동쪽에는 중랑천이 유유히 흐르고 있다. 주민센터 청사가 남쪽 끄트머리에 있다. 주택은 도봉1동과 달리 아파트 비중이 높다. 다만 남서부 지역은 빌라 위주다.

도봉산역 근처에는 다락원체육공원[8] 서울창포원[9]이 자리잡고 있다.[10] 조선 시대 숙박시설인 다락원[11]이 있던 자리에는 1970년대 대전차방호시설이 세워지며 군부대가 주둔했다가 철수했고 평화문화진지가 되었다. 누원초등학교와 누원고등학교 근처에는 아파트 단지들이 있다.

서울북부지방법원과 서울북부지방검찰청, 도봉중학교, 주민센터가 남쪽에 위치해있다. 행정구역상 방학1동에 있는 도봉구청과 가까운 지역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서울북부지방법원 옆에 있는 성균관대학교 도봉선수촌은 야구장과 축구장, 테니스장, 전용 체육관, 웨이트트레이닝장, 주차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5년부터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대학 선수촌으로 이용되다가 1999년 스포츠과학부가 왕복시간 4시간이 소요되는 수원의 자연과학캠퍼스로 이전하면서 학업과 운동 병행이 어렵고, 낙후된 시설 및 선수촌 주변에 있는 군부대나 유흥가 등 열악한 환경 등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그러면서 2003년 9월 15일 수원에 있는 자연과학캠퍼스로 선수촌을 옮겼다. 사회인 야구장 및 체육 교양수업 장소로 이용되기도 했으나 이용률이 저조했다. 최근에는 물놀이장이나 눈썰매장 등으로 활용되었다.[12]

4. 주요 시설

4.1. 공공기관

4.2. 관광

4.3. 교육

4.3.1. 초등학교

4.3.2. 중학교

4.3.3. 고등학교

4.4. 주거

5. 교통

5.1. 버스

5.1.1.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5.1.1.1. 간선
5.1.1.2. 지선
5.1.1.3. 심야
5.1.1.4. 마을

5.1.2. 경기도 시내버스

5.1.2.1. 광역
5.1.2.2. 일반

5.2. 도시철도

6. 출신 인물


[A]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 [2] 1980년대에는 논에 겨울에 물을 채워 얼려 만든 스케이트장이 개장하기도 했고, 오늘날에도 무수골에 체험장이 있다. [3] 명칭과는 다르게 도봉구청과 훨씬 가깝다. [4] 그러나 최근에는 재건축, 재개발 추진이 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A] [6] 도봉동 593-69. [A] [8] 서울아레나 사업부지에 있던 창동운동장 및 체육시설이 2018년 4월 8일에 이전완료되었다. [9] 2009년 6월 7일에 개원했다. [10] 다락원체육공원과 서울창포원이 개발되기 이전에는 비닐하우스가 많아 도시 미관을 해치는 곳이었다. [11] 누원이라고 불렀다. 누원초, 누원고의 교명으로 남아있다. [12] 2009년 '도시계획 변경 사전협상제도'가 도입되며 부지 개발 논의가 시작되었으나 학교 소유의 교육용 재산이라는 점이 걸림돌이었다. 2014년 대형 종합병원과 주상복합, 오피스텔 등을 개발한다고 밝혔으나 사업성 부족으로 좌초되었다. 2017년 4월 성균관대에서 서울시에 사전협상 제안서를 제출, 야구장 부지에 지상 36층, 약 1,300세대 규모의 공동주택과 8만3000㎡ 규모의 복합 문화 상업시설을 계획했다. 2019년 착공 예정이었으나 시행사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법정 소송전에 휘말리며 교착 상태에 빠져 있다. [13] 학생수 감소로 2024년 폐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