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16:18:53

대린 어스태드

파일:Darin_Erstad.jpg
대린 찰스 어스태드
Darin Charles Erstad
출생 1974년 6월 4일 ([age(1974-06-04)]세)
노스다코타 주 제임스타운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제임스타운 고등학교 -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 캠퍼스
신체 188cm / 88kg
포지션 외야수, 1루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95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번, CAL)
소속팀 캘리포니아-애너하임-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1996~2006)
시카고 화이트삭스 (2007)
휴스턴 애스트로스 (2008~2009)
지도자 네브래스카 콘허스커스 야구팀 감독 (2012~2019)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프로 시절2.3. 은퇴
3. 수상 내역4.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5. 지도자 경력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미국 국적의 前 외야수 내야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고교시절 야구는 물론, 학교 미식축구 팀의 PK담당 키커[1] 펀터이자 아이스하키[2]와 육상 선수[3]를 했던 만능 스포츠맨이었다. 야구의 경우, 아메리칸 리전 리그[4]에서 뛰며 1992시즌 타자로 .492 타 18홈런 86타점을, 투수로 10승 2패 평균자책 2.18를 기록했으며 1992년 AP통신 선정 올해의 노스다코타 운동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1992년 드래프트에서 13라운드로 뉴욕 메츠의 지명을 받았으나 거절하고,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 캠퍼스로 진학했다. 대학 리그 통산 261개 안타를 기록하여 모교 최다 안타 기록을 세웠다. 1993년과 94년에는 케이프 코드 베이스볼 리그(CCBL)에서 뛰며 1994시즌 MVP까지 차지하는 등 유망주로 기대되었다. 특히 3학년 시즌인 1995년에는 .410 타율 19홈런 79타점을 기록하며 전미 대학야구 퍼스트 팀에 선정되었다. 1995년 골든 스파이크 어워드 최종 후보까지 올랐으나 아쉽게도 수상은 불발되었다.[5]

2.2. 프로 시절

1995년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전체 1순위로 캘리포니아 에인절스의 지명[6]을 받았고, 이듬 해 메이저리그에 데뷔하여 57경기 .284 타율에 4홈런 20타점을 기록했다. 풀타임 첫 시즌인 1997시즌 .299 타율 19홈런 99득점을 기록했고 1998시즌에는 첫 올스타로 선정되었다.

커리어하이 시즌인 2000년, 개막전부터 4타수 3안타로 시작하더니 시즌 첫 60경기에서 99안타를 기록한다.[7] 같은 기간 동안 무려 15차례나 한 경기 3안타 이상을 때려내며 미친듯한 활약을 펼치며 통산 2번째 올스타에 선정되었다.[8] 시즌 종료 후, 안타(240개), 1루타(170개), 타석(747타석) 타수(676타수)은 아메리칸 리그 1위였고, 타율(0.355)[9]와 루타(366루타)는 리그 2위, bWAR(8.2)와 득점(121)은 3위를 했다. 1번 타자로는 최초로 100타점을 기록했으며 아메리칸 리그 실버 슬러거 상을 수상했고 아메리칸 리그 MVP 투표에서는 8위를 기록했다.[10]

커리어의 정점을 찍었던 2000시즌 이후 향후 아메리칸리그 MVP가 될 것이라는 찬사를 한 몸에 받았다. 그러나 그의 야구 인생은 2001년부터 꺽인다. 2001년 타율 2할5푼8리 9홈런으로 추락하더니 이후 부상과 부진에 시달리며 초반 활약을 이어가지 못했다. 한편 2002시즌 2002년 월드 시리즈에서 에인절스의 처음이자 유일한 월드시리즈 우승을 거뒀고,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363 타율을, 월드시리즈에서는 6차전 추격의 솔로 홈런 포함 .300 타율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11] 통산 3번의 골드글러브를 수상했고 모두 에인절스 소속일 때였다.[12] 특히 2000시즌과 2002시즌[13]은 중견수로써, 2004시즌은 1루수로써 수상했으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내외야 모두에서 골드 글러브를 수상한 유일한 선수이다. 2005년에는 개인 최다인 21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하며 0.273 타율 7홈런 66타점을 기록하며 준수해보이는 성적을 거뒀으나, 2006년에는 40경기에만 출장하며 입지를 완전히 잃었고 결국 에인절스와 11년간의 동행을 마무리한다.

시즌 후 1년 75만 달러 규모의 계약으로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입단했고, 개막전 첫 타석부터 홈런을 치며 화려한 출발을 했으나, 87경기 0.248 4홈런 32타점 .645 OPS로 부진했고 시즌 후 재계약에 실패했다. 이후 1년 100만 달러 계약으로 휴스턴 애스트로스에 입단한다. 에드 웨이드 단장은 "여러 포지션을 맡을 수 있다. 프로의식이 뛰어난 선수"라며 "우리팀에 유용한 자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휴스턴에서의 첫 시즌은 140경기 .276 타율 89안타 4홈런 31타점으로 준수한 백업 역할을 수행했으나, 2009시즌에는 왼쪽 햄스트링 부상으로 2차례 IL에 등재되는 등 107경기 .194 타율로 매우 부진했고 그 해 11월 5일 방출되었다.

2.3. 은퇴

2010년 6월 17일 공식 은퇴 선언을 했다.

14시즌 통산 1654경기 6628타석 1697안타 124홈런 699타점 179도루(59도루자)[14] .282 .336 .407 bWAR 32.3

3. 수상 내역

수상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2회 (1998, 2000)
파일:MLB 로고.svg 월드 시리즈 우승 1회 ( 2002)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골드 글러브 2회 (2000, 2002)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1루수 골드 글러브 1회 (2004)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실버 슬러거 1회 (2000)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최다안타 1위 (2000)

4.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2015년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 투표에 첫 후보자 자격을 얻었지만 1표 득표(득표율 0.2%)에 그치며 탈락했다.
블랙잉크 그레이잉크 HOF 모니터 HOF 스탠다드
대린 어스태드 4 20 35 14
HOF 입성자 평균 40 185 100 50
  • JAWS - Center Fielder (75th):
career WAR 7yr-peak WAR JAWS
대린 어스태드 32.3 28.8 30.5
중견 HOF 입성자 평균 71.6 44.7 58.1

5. 지도자 경력

은퇴 선언 후 2010년 7월 8일 네브래스카 대학교 야구팀인 네브래스카 콘허스커스의 타격 코치가 되었고, 2011년 6월 2일 수석코치가 되었다. 2011시즌 후 팀의 23대 감독으로 승진했다. 감독으로서 8년 동안 NCAA 토너먼트에 4번 출전했고 빅 텐 토너먼트[15]에 7번 출전했다. 2017시즌 빅 텐 콘퍼런스[16] 정규시즌에서 16승 7패 1무로 1위를 차지했고 빅 텐 올해의 감독상도 수상했다. 2019년 6월 3일부로 감독직을 사임했다.

감독 통산 8시즌 267승 193패 1무를 기록했으며, 네브래스카 대학교 야구팀 역사상 최다승 4위에 해당한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184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65 1966 1967 1968 1969
파일: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엠블럼.png
릭 먼데이
(OF)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스티븐 칠콧
(C)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1947~1967).png
론 블롬버그
(1B)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팀 폴리
(SS)
파일:워싱턴 세네터스 엠블럼(1961~1971).png
제프 버로우스
(OF)
1970 1971 1972 1973 1974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1969~1984).png
마이크 아이비
(C)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1960~1975).png
대니 굿윈
(C)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1969~1984).png
데이브 로버츠
(3B)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1972~1981).png
데이비드 클라이드
(LHP)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1969~1984).png
빌 알몬
(SS)
1975 1976 1977 1978 1979
파일:캘리포니아 에인절스 엠블럼(1973~1985).png
대니 굿윈
(C)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1965~1976).png
플로이드 배니스터
(LHP)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1976~1981).svg
해롤드 베인스
(1B)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엠블럼(1972~1984).png
밥 호너
(3B)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1977~1980).png
알 챔버스
(OF)
1980 1981 1982 1983 1984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대럴 스트로베리
(OF)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1981~1986).svg
마이크 무어
(RHP)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숀 던스턴
(SS)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76~1986).png
팀 벨처
(RHP)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숀 아브너
(OF)
1985 1986 1987 1988 1989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1978~1993).svg
B.J. 서호프
(SS)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1967~1986).png
제프 킹
(SS)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1987~1992).svg
켄 그리피 주니어
(OF)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1986~1989).png
앤디 베네스
(RHP)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89~1991).png
벤 맥도널드
(RHP)
1990 1991 1992 1993 1994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엠블럼.svg
치퍼 존스
(SS)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브라이언 테일러
(LHP)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1977~1993).svg
필 네빈
(3B)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알렉스 로드리게스
(SS)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폴 윌슨
(RHP)
1995 1996 1997 1998 1999
파일:캘리포니아 에인절스 엠블럼(1995~1996).png
대린 어스태드
(OF)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1987~1996).svg
크리스 벤슨
(RHP)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1994~2005).svg
맷 앤더슨
(RHP)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1992~2018).svg
팻 버렐
(3B)
파일: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엠블럼(1998~2000).png
조시 해밀턴
(OF)
2000 2001 2002 2003 2004
파일:플로리다 말린스 엠블럼.svg
아드리안 곤잘레스
(1B)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87~2009).svg
조 마우어
(C)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1997~2013).svg
브라이언 벌링턴
(RHP)
파일: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엠블럼(2001~2007).svg
델몬 영
(OF)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2004~2010).svg
맷 부시
(SS)
2005 2006 2007 2008 2009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1998~2006).svg
저스틴 업튼
(SS)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엠블럼(2002~2018).svg
루크 호체이버
(RHP)
파일: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엠블럼(2001~2007).svg
데이비드 프라이스
(LHP)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엠블럼(2008~2018).svg
팀 베컴
(SS)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2005~2010).svg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RHP)
2010 2011 2012 2013 2014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2005~2010).svg
브라이스 하퍼
(OF)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1997~2013).svg
게릿 콜
(RHP)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2000~2012).svg
카를로스 코레아
(SS)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svg
마크 어펠
(RHP)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svg
브래디 에이켄
(LHP)
2015 2016 2017 2018 2019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2012~2023).svg
댄스비 스완슨
(SS)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1992~2018).svg
미키 모니악
(OF)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2010~2022).svg
로이스 루이스
(SS)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
케이시 마이즈
(RHP)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애들리 러치맨
(C)
2020 2021 2022 2023 2024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
스펜서 토켈슨
(3B)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헨리 데이비스
(C)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잭슨 홀리데이
(SS)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폴 스킨스
(P)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엠블럼.svg
트래비스 바자나
(2B)
2025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svg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ba0021>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1965년 ~
1965
짐 스펜서
1루수 / 전체 11번
1966
짐 데네프
유격수 / 전체 8번
1967
마이크 넌
포수 / 전체 9번
1968
로이드 앨런
투수 / 전체 12번
1969
앨런 배니스터
유격수 / 전체 5번
1970
폴 데이드
3루수 / 전체 10번
1971
프랭크 타나나
투수 / 전체 13번
1972
데이브 찰크
3루수 / 전체 10번
1973
빌리 테일러
외야수 / 전체 7번
1974
마이크 마일리
유격수 / 전체 10번
1975
대니 굿윈
포수 / 전체 1번
1976
켄 랜드럭스
외야수 / 전체 6번
1977
리차드 돗슨
투수 / 전체 7번
1978
톰 브루난스키
외야수 / 전체 14번
1979
FA 짐 바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0[1]
데니스 라스무센
투수 / 전체 17번
1980
FA 브루스 키슨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1
딕 스코필드
유격수 / 전체 3번
1982
밥 키퍼
투수 / 전체 8번
1983
마크 도란
외야수 / 전체 23번
1984
에릭 파파스
포수 / 전체 6번
1985
윌리 프레이저
투수 / 전체 15번
1985[2]
마이크 쿡
투수 / 전체 19번
1986[3]
로베르토 에르난데스
투수 / 전체 16번
1986
리 스티븐스
외야수 / 전체 22번
1986[4]
테리 카
외야수 / 전체 25번
1986[3]
마이크 페터스
투수 / 전체 27번
1986[4]
대릴 그린
투수 / 전체 28번
1987
존 오튼
포수 / 전체 25번
1987[7]
데이비드 홀드리지
투수 / 전체 31번
1988
짐 애보트
투수 / 전체 8번
1989
카일 애보트
투수 / 전체 9번
1990
FA 마크 랭스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91
에두아르도 페레즈
1루수 / 전체 17번
1991[8]
호르헤 파브레가스
3루수 / 전체 34번
1992
피트 자니키
투수 / 전체 8번
1992[9]
제프 슈미트
투수 / 전체 29번
1993
브라이언 앤더슨
투수 / 전체 3번
1994
맥케이 크리스텐슨
외야수 / 전체 6번
1995
대린 어스태드
외야수 / 전체 1번
1996
FA 랜디 벨바르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97
트로이 글로스
3루수 / 전체 3번
1998
세스 에서튼
투수 / 전체 18번
1999
FA 모 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0
조 토레스
투수 / 전체 10번
2000[10]
크리스 부첵
투수 / 전체 20번
2001
케이시 코치맨
1루수 / 전체 13번
2001[11]
제프 매티스
포수 / 전체 33번
2002
조 손더스
투수 / 전체 12번
2003
브랜든 우드
유격수 / 전체 23번
2004
제러드 위버
투수 / 전체 12번
2005[12]
트레버 벨
투수 / 전체 37번
2005
FA 올랜도 카브레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6[13]
행크 콩거
포수 / 전체 25번
2006
FA 제프 위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7[14]
존 바차노브
투수 / 전체 58번
2007
FA 게리 매튜스 주니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8
FA 토리 헌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9[15]
랜달 그리칙
좌익수 / 전체 24번
2009[16]
마이크 트라웃
중견수 / 전체 25번
2009[16]
타일러 스캑스
투수 / 전체 40번
2009[15]
개럿 리차즈
투수 / 전체 42번
2009[19]
타일러 케러
투수 / 전체 48번
2009
FA 브라이언 푸엔테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0[20]
케일럽 코와트
투수 / 전체 18번
2010[21]
캠 베드로시안
투수 / 전체 29번
2010
체비 클라크
중견수 / 전체 30번
2010[21]
테일러 린드시
유격수 / 전체 37번
2010[20]
라이언 볼덴
중견수 / 전체 40번
2011
C.J. 크론
1루수 / 전체 17번
2012
FA 알버트 푸홀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3
FA 조시 해밀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4
션 뉴컴
투수 / 전체 15번
2015
테일러 워드
포수 / 전체 26번
2016
맷 타이스
포수 / 전체 16번
2017
조 아델
외야수 / 전체 10번
2018
조딘 애덤스
외야수 / 전체 17번
2019
윌 윌슨
유격수 / 전체 15번
2020
리드 데트머스
투수 / 전체 10번
2021
샘 바크만
투수 / 전체 9번
2022
잭 네토
유격수 / 전체 13번
2023
놀란 샤누엘
1루수 / 전체 11번
2024
크리스티안 무어
2루수 / 전체 8번
*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에인절스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

[1] FA 놀란 라이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 FA 프레드 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3] FA 후안 베니케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4] FA 알 홀랜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3] [4] [7] FA 레지 잭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8] FA 칠리 데이비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9] FA 월리 조이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0] FA 마이크 마그나테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1] FA 마크 피트코브섹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2] FA 트로이 퍼시벌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3] FA 폴 버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4] FA 애덤 케네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5] FA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6] FA 마크 테세이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6] [15] [19] FA 존 갈랜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0] FA 숀 피긴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1] FA 존 래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21] [20]
}}}}}}}}}}}}
대린 어스태드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애너하임 에인절스 엠블럼(2002~2004).sv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02

파일:1998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00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1998 2000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0년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버니 윌리엄스
( 뉴욕 양키스)
켄 그리피 주니어
( 시애틀 매리너스)
숀 그린
( 토론토 블루제이스)
대린 어스태드
( 애너하임 에인절스)

저메인 다이
( 캔자스시티 로열스)
버니 윌리엄스
( 뉴욕 양키스)
토리 헌터
( 미네소타 트윈스)
마이크 캐머런
( 시애틀 매리너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2년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드 글러브
토리 헌터
( 미네소타 트윈스)
마이크 캐머런
( 시애틀 매리너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대린 어스태드
( 애너하임 에인절스)

토리 헌터
( 미네소타 트윈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토리 헌터
( 미네소타 트윈스)
마이크 캐머런
( 시애틀 매리너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4년 아메리칸 리그 1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존 올러루드
( 시애틀 매리너스)
대린 어스태드
( 애너하임 에인절스)
마크 테세이라
( 텍사스 레인저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0년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매니 라미레즈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켄 그리피 주니어
( 시애틀 매리너스)
숀 그린
( 토론토 블루제이스)
대린 어스태드
( 애너하임 에인절스)

매글리오 오도녜즈
( 시카고 화이트삭스)
매니 라미레즈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매니 라미레즈
( 보스턴 레드삭스)
후안 곤잘레스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0년 아메리칸 리그 안타왕
데릭 지터
( 뉴욕 양키스)
대린 어스태드
( 애너하임 에인절스)
스즈키 이치로
( 시애틀 매리너스)
}}} ||

[1] 50야드 필드 골이라는 학교 최장 기록 보유자이다. [2] 고교 통산 26경기 36골 24도움 [3] 노스다코타 주 110m 허들과 300m 허들 우승 기록 보유 [4] American Legion League. 여름마다 열리는 청소년 리그. [5] 당시 수상자는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풀러턴 캠퍼스 소속의 외야수 마크 캇세이였다. [6] 에인절스 역사상 1975년 대니 굿윈 이후 첫 전체 1순위 지명이었다. 대니 굿윈의 통산 bWAR -1.7로 대실패한 지명이었다. [7] 1934년 이후 처음으로 기록을 갱신했다. [8] 첫 60경기까지의 타율 0.384에 달했다. [9] 2000년 아메리칸 리그 수위타자는 .372를 기록한 보스턴의 노마 가르시아파라 [10] 2000시즌은 어스태드의 처음이자 마지막 3할 시즌이며 대표적인 플루크 시즌으로 여겨진다. [11] 노스다코타 출신으로는 2번째로 우승반지를 받은 선수이다. 첫 번째는 1961년 양키스와 1967년 카디널스에서 우승했던 로저 매리스 [12] 2000, 2002, 2004 [13] 베이스볼 레퍼런스 기준 dWAR 4.2로 아메리칸 리그 전체 1위 기록 [14] 통산 성공률 75.5% [15] 빅 텐 콘퍼런스 소속 대학 스포츠팀 간 경기를 뜻한다. [16] 미국 중서부 지역의 아이오와, 미네소타, 네브래스카 주부터 동부의 펜실베이니아 지역에 이르기까지 스포츠 팀들의 명성과 더불어 학문적으로도 특화되어 명성을 날리는 대학교들의 모임이다. 최초 10곳의 대학교로 구성되었으나 현재 14개 대학교가 이 부류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