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1 00:55:36

니콜라 1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20d0a, #d80500 20%, #d80500 80%, #820d0a);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페트로비치네고시 왕조
니콜라 1세 }}}
몬테네그로 공국 · 몬테네그로 왕국 · 몬테네그로
}}}}}}

니콜라 1세 관련 틀
<colbgcolor=#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20d0a, #d80500 20%, #d80500 80%, #820d0a);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페트로비치네고시 왕조
다닐로 1세 니콜라 1세 }}}
몬테네그로 공국 · 몬테네그로 왕국 · 몬테네그로
}}}}}}

<colbgcolor=#666633> 파일:러시아 국기.svg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 제국군의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야전원수
Генерал-фельдмаршал
육군
원수
명예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 니콜라 1세 | 명예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카롤 1세
대장
Генерал
파일:러시아 제국 보병대장(1차대전).png /파일:러시아 제국 기병대장(1차대전).png
육군
병과대장
알렉세이 쿠로팟킨보병 | 라브르 코르닐로프보병 | 니콜라이 유데니치보병 | 미하일 알렉세예프보병 | 알렉세이 칼레딘기병 | 알렉세이 브루실로프기병
해군
대장
-
중장
Генерал-лейтенант
육군
중장
안톤 데니킨 |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 표트르 브란겔 | 표트르 크라스노프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 니콜라이 유나코프 | 이오시프 도브보르무스니츠키 | 파벨 스코로파드스키
해군
중장
알렉산드르 콜차크
소장
Генерал-майор
육군
소장
다비트 시만손 | 이반 부이비트 | 실베스트르 주콥스키 | 이반 벨랴예프 | 안드레이 아우잔 | 미하일 디테리흐스
해군
소장
게오르기 스타르크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전사

}}}}}}}}} ||

<colbgcolor=#d80500><colcolor=#ffffff>
몬테네그로 페트로비치네고시 왕조 초대 국왕
니콜라 1세
Никола I
파일:Nicholas I of Montenegro.jpg
출생 1841년 10월 7일
몬테네그로 주교후국 녜구시
(現 몬테네그로 체티네)
사망 1921년 3월 1일 (향년 79세)
프랑스 알프마리팀주 앙티브
(現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알프마리팀주 앙티브)
재위기간 몬테네그로 공
1860년 8월 13일 ~ 1910년 8월 28일
몬테네그로 국왕
1910년 8월 28일 ~ 1918년 11월 26일
서명 파일:니콜라 1세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80500><colcolor=#fff> 가문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
이름 니콜라 미르코프 페트로비치네고시
(Никола Мирков Петровић Његош)
아버지 그라호보 대공 미르코 페트로비치네고시
어머니 아나스타시야 스타나 마르티노비치
형제자매 아나스타시야, 마리야
배우자 밀레나 부코티치 (1860년 결혼)
자녀 조르카, 밀리카, 아나스타시야, 마리야, 도닐로, 옐레나, 아나, 소피아, 미르코, 크세니야, 볘라, 페타르
종교 정교회 ( 세르비아 정교회) }}}}}}}}}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
3.1. 자녀3.2. 후손

[clearfix]

1. 개요

몬테네그로 공국의 마지막 군주이자, 몬테네그로 왕국의 유일한 국왕이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초대 국왕 페타르 1세, 이탈리아 왕국의 3대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장인이다.

2. 생애

1860년 니콜라 1세의 작은아버지인 다닐로 1세가 급작스럽게 사망하자 몬테네그로 공국의 제2대 공작으로 즉위하였다. 니콜라 1세는 1877년부터 1878년 사이에 러시아-튀르크 전쟁에 참전하였고 산 스테파노 조약 베를린 회의를 통해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인정받았다.

니콜라 1세는 헌법개정을 통해 1910년 몬테네그로 왕국의 국왕이 되었고, 1912년에 그리스 왕국,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과 함께 발칸 동맹을 체결하고 오스만 제국과 대립하였다. 니콜라 1세는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에 참전하여 승리하였지만, 이후 불가리아 왕국이 제1차 발칸 전쟁의 결과로 체결된 런던 강화조약에 불만을 품으면서 다시 제2차 발칸 전쟁을 벌였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범슬라브주의에 따라 세르비아 왕국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며 협상국으로 참여하였다. 하지만 1916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의해 몬테네그로가 점령되자, 니콜라 1세는 프랑스 보르도로 망명하였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종전한 이후 니콜라 1세는 몬테네그로 왕국으로 돌아왔다. 얼마 안 있어 몬테네그로 왕국이 세르비아 왕국에 흡수되어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되었다.[1] 당연히 니콜라 1세는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을 인정하지 않고 프랑스로 망명하여 몬테네그로 왕국의 왕위를 요구하다가 1921년에 사망하였다. 사망 5개월 후에 사위인 페타르 1세도 사망했다.

니콜라 1세의 유해는 그가 죽고 68년 뒤인 1989년에 와서야 고국으로 이장되었다.[2]

3. 가족관계

3.1.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녀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 왕자비 조르카
(Zorca, Princess Peter Karađorđević)
1864년 12월 23일 1890년 3월 16일 페타르 1세
슬하 3남 2녀[3]
2녀 러시아의 밀리차 니콜라예브나 대공비
(Grand Duchess Militza Nikolaevna of Russia)
1866년 7월 14일 1951년 9월 5일 러시아의 표트르 니콜라예비치 대공[4]
슬하 1남 3녀
3녀 러시아의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대공비
(Grand Duchess Anastasia Nikolaevna of Russia)
1868년 1월 4일 1935년 11월 15일 제6대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게오르기 막시밀리아노비치[5]
슬하 1남 1녀
러시아의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6]
4녀 마리야 공주
(Princess Marica)
1869년 3월 29일 1885년 5월 7일
1남 몬테네그로의 왕세자 다닐로
(Danilo, Crown Prince of Montenegro)
1872년 6월 29일 1939년 9월 24일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유타
5녀 이탈리아의 왕비 엘레나
(Elena, Queen of Italy)
1873년 1월 8일 1952년 11월 28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슬하 1남 4녀[7]
6녀 바텐베르크의 프란츠 요제프 공자비 아나
(Anna, Princess Francis Joseph of Battenberg)
1874년 8월 18일 1971년 4월 22일 바텐베르크의 프란츠 요제프 공자[8]
7녀 소피야 공주
(Princess Sofia)
1876년 5월 2일 1876년 6월 14일
2남 미르코 왕자
(Prince Mirko)
1879년 4월 17일 1918년 3월 2일 나탈리야 콘스탄티노비치
슬하 5남
8녀 크세니야 공주
(Princess Xenia)
1881년 4월 22일 1960년 3월 10일
9녀 베라 공주
(Princess Vjera)
1887년 2월 22일 1927년 10월 31일
3남 페타르 왕자
(Prince Peter)
1889년 10월 10일 1932년 5월 7일 바이올렛 웨그너

3.2. 후손

후손들 중 왕위 요구자 등 주요인물들만 작성.
  • 니콜라 1세(1841 ~ 1921) 몬테네그로 국왕, 몬테네그로 왕위 요구자
    • 1녀 조르카 (1864 ~ 1890) 유고슬라비아 왕비 / 페타르 1세 (1844 ~ 1921) 유고슬라비아 국왕
      • 알렉산다르 1세 (1888 ~ 1934) 유고슬라비아 국왕
        • 페타르 2세 (1923 ~ 1970) 유고슬라비아 국왕, 유고슬라비아 왕위 요구자
          • 알렉산다르 (1945년생) 유고슬라비아 왕위 요구자
    • 1남 다닐로 (1872 ~ 1939) 몬테네그로 왕세자, 몬테네그로 왕위 요구자
    • 5녀 엘레나 (1873 ~ 1952) 이탈리아 왕비 / 夫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1869 ~ 1947) 이탈리아 국왕
    • 2남 미르코 (1879 ~ 1918)
      • 미하일 (1908 ~ 1986) 몬테네그로 왕위 요구자
        • (자칭) 니콜라 2세 (1944년생) 몬테네그로 왕위 요구자
          • (후계자) 보리스 (1980년생) 몬테네그로 왕위 요구자 후계자

[1] 이 당시 세르비아 국왕은 사위인 페타르 1세였으나, 1차대전 4일 전인 1914년 6월 24일부터 그의 아들이자 니콜라의 외손자인 알렉산다르 1세가 섭정을 맡고 있던지라 세르비아의 몬테네그로 편입은 사실상 외손자의 의지였다. [2] 1921년 당시 유고슬라비아 섭정인 알렉산다르 왕세자는 외손자였지만 외할아버지의 유해를 당시에는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였던 그의 고국 몬테네그로로 이장하면 몬테네그로의 독립운동의 기폭제가 될 것을 우려해 고국으로의 이장을 반대했고,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멸망하고 등장한 유고슬라비아 인민 공화국은 공산권 국가였던 터라 당연히 유해 송환을 거절했다. 이로 인해 유해가 고국에 안장되는 게 늦어진 것. [3] 알렉산다르 1세 [4]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의 차남. [5] 니콜라이 1세의 외손자(장녀 마리야 여대공의 4남)다. [6]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의 장남. 전남편 게오르기 막시밀리아노비치의 외사촌이다. [7] 움베르토 2세, 불가리아의 왕비 조안나 등 [8] 헤센의 알렉산더 공자 바텐베르크 여공 율리아의 막내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