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나무위키:프로젝트/의학
이 문서는 나무위키 프로젝트 관련 문서입니다.
나무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주시는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나무위키:프로젝트 문서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에 있는 내용을 꼭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주시는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나무위키:프로젝트 문서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에 있는 내용을 꼭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 의학 프로젝트 | |||
작성 필요 | 보완 필요 | 프로젝트 성과 | 재개설 이전 |
1. 개요2. 애매한 문서들3. 전공 지식 필요없는 문서들4. 의학 관련 인물5.
생리학 관련6.
생화학 관련7.
면역학 관련8.
병리학 관련9.
미생물학 관련10.
기생충학 관련11.
약리학 관련12. 질병, 증상
12.1. 감각기관계 질환12.2. 피부계 질환12.3. 혈관계 질환12.4. 소화계 질환12.5. 순환계 질환12.6. 림프계 질환12.7. 호흡계 질환12.8. 신경계 질환12.9. 근골격계 질환12.10. 내분비계 질환12.11. 정신 질환12.12. 감염 질환12.13. 희귀 유전 질환12.14. 기타 질환
13. 기구14. 이론15. 행정16. 약품 관련 사이트17.
한의학 관련1. 개요
나무위키:프로젝트/의학에서 새로 생성해야 할 문서가 있다면 여기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너무 문단이 길어지면 문단을 접기 처리해둘 수 있습니다. 문단을 누르면 펴서 볼 수 있습니다.2. 애매한 문서들
어디에다가도 넣어놓기 애매하거나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고 있어 다수 유저들의 도움이 필요하면 이쪽에 분류 바랍니다.- 반상치(mottled teeth)
- VRSA
- 안와격막
- 란츠압통점 - 맥버니점 문서 참고.
- 복강경 - 유명한데 아직 문서가 없습니다. 만드시고 나면 역링크를 꼭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 만든 후 역링크 추가는 프로젝트에 요청하셔도 될 거 같습니다.
- 트롬빈, 프로트롬빈 등의 응고인자
- 수평적 유전자 이동
- 수용체-리간드 결합 관련 문서들 (affinity, spare receptor 등의 개념 담을 문서 필요)
-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 신경계 문서 참고
- 사이토크롬, 사이토크롬 P450(CYP), 헴(heme)
- 지질다당류(LPS)
- 림프, 림프액
- 분변 이식(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 디피실리균 치료 문단 참고.
- 각막반사
3. 전공 지식 필요없는 문서들
아직 대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중학생, 고등학생 연령대의 분들도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약간의 교차검증을 통해 충분히 생성할 수 있을 만한 문서들을 모아뒀습니다. 물론 내용이 비교적 쉽다고 정확성이 떨어져선 안되니, 최소한의 검증(구글이라는 좋은 도구가 있습니다)을 거치고 작성해 주세요. 리다이렉트로 되어 있으나 단독 문서화할 여지가 충분한 경우도 많습니다.4. 의학 관련 인물
- 노벨생리학·의학상/수상자 - 수상자 중 아직 단독 문서가 없는 다수의 과학자들을 추가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합니다. 노벨상이 나오기 이전 시대 사람이거나 노벨상을 수상하진 못하였어도 유명한 의학 관련 학자들 문서를 추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른 문서에서 언급은 되고 있는데 문서가 없는 학자들 위주로요.
- 오무라 사토시(Satoshi Omura) - 2015년 생리의학상 수상자. 회충 감염에 대한 아버멕틴(avermectin)과 이버멕틴(ivermectin)의 효과를 밝힌 공로로 미국의 윌리엄 켐벨과 공동수상했습니다.
- 코비니안 브로드만 - 브로드만 영역의 개념을 제안한 독일의 해부학자.
- 찰스 맥버니 - 맥버니점 문서 참고. #
- 피에르 루(Pierre Paul Émile Roux) - 루이 파스퇴르와 함께 연구를 했던 만큼 미생물학과 면역학에 대한 많은 업적을 남긴 프랑스의 의사입니다. 노벨상을 타지 못 한 게 이상할 정도로 업적이 많은데, 이는 그가 1880년대에 만들었던 항 디프테리아 혈청은 이후 에밀 아돌프 폰 베링과 키타사토 시바사부로에 의해 개발된 혈청보다 오래됐기 때문에 수상에 실패했던 것이 주 요인입니다. 이는 '첫 노벨상'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국가 간 자존심 싸움으로까지 번지기도 헀습니다.
- 테오도르 에셰리히(Theodor Escherich) - 대장균을 발견한 독일(또는 오스트리아)의 미생물학자 및 소아과 의사.
- 레베카 란스필드(Rebecca Lancefield) - 연쇄상구균의 혈청학적 분류법인 란스필드 분류(Lancefield grouping)를 제안한 미생물학자.
- 알버트 나이서(Albert Neisser) - 독일의 의사로, 나이세리아는 이 사람의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 루이 필레머(Louis Pillemer) - 보체활성화 대체경로와 프로퍼딘의 첫 발견자로, 보체가 항체 없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중요한 사실을 밝혀냈으나 당시에는 다른 학자의 반론으로 인해 인정받지 못하고 좋지 못한 죽음을 맞았습니다.
- 알렉상드르 예르생(Alexandre Yersin) - 스위스와 프랑스의 생물학자로, 페스트균(Yersinia pestis)을 처음으로 규명해냈습니다. 페스트균이 속한 속인 예르시니아(Yersinia)는 그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베트남에서도 여러 업적을 남겨 사후 베트남의 명예 시민으로 추대되기도 했습니다.
- 키타사토 시바사부로(Kitasato Shibasaburo) - 일본의 미생물학자로, 에밀 아돌프 폰 베링과 함께 혈청 관련 업적을 남긴 것이 유명합니다. 2024년에는 새로운 1000엔짜리 지폐에 그의 초상화가 들어갈 예정입니다. 그의 이름을 딴 실험기구(Kitasato flask)나 계통분류학상 속(Kitasatospora)도 있습니다. 참고로 해당 속의 이름을 붙인 것은 위의 노벨상 수상자인 오무라 사토시입니다.
- 에드워드 프란시스(Edward Francis) - 야토병균(Francisella tularensis)이 야토병의 원인인 것을 밝혀낸 미국의 생물학자로, 야토병균이 속한 프란시셀라(Francisella)의 이름의 유래입니다.
- 아우구스트 폰 바서만(August von Wassermann) - 독일의 미생물학자로, 매독의 진단법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으며 아예 그의 이름을 딴 바서만 검사(Wassermann test)가 존재합니다.
- 프리드리히 트렌델렌부르크(Friedrich Trendelenburg) - 독일의 외과의사. 중간볼기근 및 작은볼기근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트렌델렌부르크 보행(Trendelenburg gait), 똑바로 누운 채로 머리를 아래로 15~30도 기울인 트렌델렌부르크 자세(- position), 정맥류 치료를 위한 외과적 요법인 트렌델렌부르크 수술(- operation) 등이 모두 그의 이름에서 따온 것입니다. 프리드리히 아돌프 트렌델렌부르크라는 독일 철학자와 헷갈릴 수 있으니 자료 검색 시 주의.
- 존 엔더스(John Enders) - 폴리오바이러스를 배양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습니다.
- 프리츠 샤우딘(Fritz Schaudinn)
==# 해부학 관련 #==
주로 근육, 혈관, 신경, 뼈 등이 여기 들어갑니다. 현재 팔과 하반신의 근육들만 완료된 상태입니다. 작성 시 템플릿:근육, 템플릿:동맥, 템플릿:신경, 템플릿:뼈를 사용해 주세요.
n. = nerve, v. = vein, a. = artery, lig. = ligament, m. = muscle입니다.
볼기 부위 신경
- 위볼기피부신경 (superior clunial n.)
- 중간볼기피부신경 (middle clunial n.)
- 아래볼기피부신경 (inferior clunial n.)
- 궁둥신경 (sciatic n.) : 이후 정강신경과 온종아리신경으로 분지
- 뒤넙다리피부신경 (posterior femoral cutaneous n.) : 가장 넓은 면적의 피부 지배하는 피부신경
- 위볼기신경 (superior gluteal n.)
- 아래볼기신경 (inferior gluteal n.)
- 넙다리네모근신경 (quadratus femoris n.)
- 음부신경 (pudendal n.)
- 속폐쇄근신경 (obturator internus n.)
볼기 부위 동맥
- 위볼기동맥 (superior gluteal a.) - 얕은가지와 깊은가지 존재. 깊은가지가 다시 위가지와 아래가지로 나뉨
- 아래볼기동맥 (inferior gluteal a.) - 깊은넙다리동맥의 첫째관통동맥, 안쪽/가쪽넙다리휘돌이동맥과 연결: 동맥의 십자연결(cruciate anastomosis of thigh)
- 속음부동맥 (internal pudendal a.) - 볼기부위 동맥이면서 볼기부위에선 가지 없음. 바깥생식기관과 근육에 가지를 냄.
볼기 부위 인대
- 엉치가시인대 (sacrospinal lig.)
- 엉치결절인대 (sacrotubercle lig.)
- 엉덩넙다리인대 (iliofemoral lig.)
- 궁둥넙다리인대 (ischiofemoral lig.)
- 두덩넙다리인대 (pubofemoral lig.)
넓적다리 부위 신경
- 갈비밑신경 (subcostal n.) - T12
- 엉덩아랫배신경 (iliohypogastric n.) - L1
- 엉덩고샅신경 (ilioinguinal n.) - L1
- 음부넙다리신경 (genitofemoral n.) - L1, L2. 음부가지(genital branch)와 넙다리가지(femoral branch)
- 가쪽넙다리피부신경 (lateral femoral cutaneous n.) - L2, L3
- 넙다리신경 앞피부가지 (anterior cutaneous branch of femoral n.) - L2, L3, L4
- 폐쇄신경 피부가지 (cutaneous branch of obturator n.) - L2, L3, L4
- 뒤넙다리피부신경 (posterior femoral cutaneous n.) - S1, S2, S3
- 넙다리신경 (femoral n.) - L2, L3, L4. 가장 큰 허리신경얼기 가지. 가장 큰 피부가지는 두렁신경(saphenous n.)
- 폐쇄신경 (obturator n.) - L2, L3, L4. 앞가지와 뒤가지 존재.
넓적다리 부위 동맥, 정맥
- 넙다리동맥 (femoral a.) - 바깥엉덩동맥(external iliac a.)의 연장. 고샅인대 들어오면서 이름 바뀌고 넙다리삼각. 모음근굴 주행. 그 후 모음근구멍(adductor hiatus) 통과하고 오금동맥(popliteal a.) 됨
- 얕은배벽동맥 (superficial epigastric a.)
- 얕은엉덩휘돌이동맥 (superficial circumflex iliac a.)
- 얕은바깥음부동맥 (superficial external pudendal a.)
- 깊은바깥음부동맥 (deep external pudendal a.)
- 깊은넙다리동맥 (profunda femoris; deep femoral a.)
- 안쪽넙다리휘돌이동맥 (medial circumflex femoral a.)
- 가쪽넙다리휘돌이동맥 (lateral circumflex femoral a.)
- 관통동맥 (perforating aa.) - 보통 3개, 큰모음근의 널힘줄 구멍들로 빠져나감. 깊은넙다리동맥 종말가지(terminal branch)가 넷째관통동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넙다리정맥 (femoral v.) - 오금정맥(popliteal v.)이 몸쪽으로 주행. 모음근굴, 넙다리혈관집 싸이고 바깥엉덩정맥(external iliac v.) 됨. 합류하는 가지들은 깊은넙다리정맥, 큰두렁정맥 등. 깊은넙다리정맥은 관통정맥 세네개 합류해서 형성. (걍 동맥 거꾸로)
다리 부위 신경
궁둥신경이 다리오금 위에서 정강신경과 온종아리신경으로 분지
- 정강신경 (tibial n.) - 다리 뒤칸에 가지.
- 안쪽장딴지피부신경 (medial sural cutaneous n.)
- 온종아리신경 (common peroneal n.) - 다리 앞칸, 가쪽칸에 가지.
- 가쪽장딴지피부신경 (lateral sural cutaneous n.)
- 얕은종아리신경 (superficial peroeal n.) - 온종아리신경이 종아리뼈머리 지난 후 긴종아리근에 덮인 채 얕은/깊은으로 분지
- 깊은종아리신경 (deep peroneal n.)
- 장딴지신경 (sural n.) - 안쪽장딴지피부신경과 가쪽장딴지피부신경이 합쳐짐 (해부실습 때 봄)
- 뒤넙다리피부신경 (posterior femoral cutaneous n.) - 넙다리가지(femoral branches)들은 넓적다리, 다리오금 뒷면과 안쪽면 피부에 분포. 장딴지가지(sural branches)들은 종아리 뒤부위 피부에 분포하며 장딴지신경과 연결. 세네 개의 아래볼기피부가지(inferior clunial branches)들이 볼기 아래쪽 피부에 존재.
오금림프절
- 오금림프절 (popliteal nodes) - 6~7개. 다리지방층 밑에 분포. 대부분은 넙다리혈관 따라서 위로 가서 깊은고샅림프절로 유입. 소수는 큰두렁정맥 따라서 얕은고샅림프절로.
무릎 밑쪽의 인대
- 십자인대 (crucial lig. of knee joint)
- 반달 (menisci of knee joint)
- 관상인대 (coronary lig.)
- 무릎가로인대 (transverse lig. of knee)
- 뒤반달넙다리인대 (posterior meniscofemoral lig.)
발의 지지띠
- 위폄근지지띠 (superior extensor retinaculum) - 양쪽 복사(malleolus) 위에서 가로지름. 형태 불분명.
- 아래폄근지지띠 (inferior extensor retinaculum) - 발등의 Y자 모양 지지띠. 가쪽에선 발꿈치뼈(calcaneus) 가쪽면, 안쪽에서 두 갈래로 나뉘어 몸쪽 갈래가 안쪽복사(medial malleolus)에, 먼쪽 갈래는 발바닥널힘줄(plantar aponeurosis)에 붙음.
- 위종아리근지지띠 (superior peroneal retinaculum)
- 아래종아리근지지띠 (inferior peroneal retinaculum)
종아리의 신경
종아리의 동맥
- 뒤정강동맥 (posterior tibial a.) - 오금동맥 종말가지 두 개 중 굵은 것.
- 안쪽발바닥동맥 (medial plantar a.)
- 가쪽발바닥동맥 (lateral plantar a.)
- 정강뼈영양동맥 (nutrient a. of tibia) - 몸의 영양동맥 중 가장 크다.
- 종아리휘돌이가지 (common peroneal branch)
- 발꿈치가지 (calcaneal branch)
- 안쪽복사가지 (medial malleolar branch)
- 종아리동맥 (peroneal a.) - 뒤정강동맥 가지들 중에 가장 큼. 뒤정강동맥과 비슷한 크기. 얘가 종아리뒤칸과 가쪽칸에 또 가지를 치며, 종아리뼈에 영양동맥을 친다. 가쪽복사가지(lateral malleolar branch)와 가쪽발꿈치가지(lateral calcaneal branch), 관통가지(perforating branch) 나옴.
발의 신경
- 두렁신경 (saphenous n.) - 넙다리신경이 피부신경 된 가지.
- 장딴지신경 (sural n.) - 가쪽장딴지피부신경(lateral sural cutaneous n.)의 가지인 장딴지신경교통가지(sural communicating branch)가 안쪽장딴지피부신경(medial sural cutaneous n.)과 합쳐져 형성.
- 가쪽발꿈치가지 (lateral calcaneal branches)
- 가쪽발등피부신경 (lateral dorsal cutaneous n.)
- 안쪽발등피부신경 (medial dorsal cutaneous n.) - 얘랑 밑의 중간발등은 온종아리신경 가지인 얕은종아리신경의 가지들.
- 중간발등피부신경 (intermediate dorsal cutaneous n.)
- 등쪽발가락신경 (dorsal digital n. of foot) - 깊은종아리신경(deep peroneal n.)에서 나옴.
- 안쪽발꿈치가지 (medial calcaneal branch) - 정강신경(tibial n.)의 가지.
- 안쪽발바닥신경 (medial plantar n.) - 정강신경 가지. 고유바닥쪽발가락신경(proper plantar digital n.) 1개와 온바닥쪽발가락신경(common plantar digital n.) 3개로 나뉨.
- 가쪽발바닥신경 (lateral plantar n.) - 정강신경 가지. 얕은가지가 온바닥쪽발가락신경 1개와 고유바닥쪽발가락신경 1개로 나뉨.
- 안쪽발바닥신경 (medial plantar n.) - 정강신경 두 종말가지 중 큰 쪽.
- 가쪽발바닥신경 (lateral plantar n.) - 정강신경 두 종말가지 중 작은 쪽.
- 깊은종아리신경 (deep peroneal n.)
발의 동맥
- 발등동맥 (dorsal a. of foot; dorsalis pedis a.) - 앞정강동맥에서 이어짐.
- 첫째등쪽발허리동맥 (1st dorsal metatarsal a.) - 둘째발가락으로 가는 등쪽발가락동맥(dorsal plantar aa.) 나옴.
- 가쪽발목동맥 (lateral tarsal a.)
- 활꼴동맥 (arcuate a.) - 가쪽발목동맥과 연결되어 발등 동맥얼기(arterial network) 형성. 종아리뒤칸의 종아리동맥 관통가지도 여기로 연결되어 종아리 앞뒤칸 동맥이 여기서 모두 모임.
- 등쪽발허리동맥 (dorsal metatarsal aa.) - 2, 3, 4번째 애들이 활꼴동맥에서 나옴. 각각이 다시 발가락으로 가는 등쪽발가락동맥 2개씩 만듦.
- 관통동맥 (perforating a.) - 깊은발바닥동맥활(deep plantar arch)과 바닥쪽발허리동맥(plantar metatarsal a.)에 연결.
- 깊은발바닥동맥 (deep plantar a.) - 발등동맥이 발바닥으로 들어가면서 형성. 가쪽발바닥동맥과 연결되어 깊은발바닥동맥활 형성.
- 발바닥의 동맥
- 발의 정맥
- 등쪽발가락정맥 (dorsal digital vv.) -> 등쪽발허리정맥 (dorsal metatarsal vv.) 이들이 합류해 발등정맥활 (dorsal venous arch) 형성. 정맥활 몸쪽에 발등정맥그물 (dorsal venous network) 형성. 안쪽모서리정맥 (medial marginal vv.), 가쪽모서리정맥 (lateral marginal vv.)이 정맥그물과 연결. 그 후 큰두렁정맥과 작은두렁정맥으로 각각 연결.
- 발바닥 얕은정맥들은 발바닥정맥그물 (plantar venous network) 형성. 안쪽/가쪽모서리정맥으로 모여서 큰두렁정맥과 작은두렁정맥으로 합류.
- 발바닥 깊은정맥들은 발가락바닥의 바닥쪽발가락정맥 (plantar digital v.)으로 시작해서 관통정맥을 통해 등쪽발가락정맥 (dorsal digital v.)과 교통. 깊은정맥 통해 심장으로 환류.
4.1. 발생학 관련
발생학 문서에서 설명된 개념의 구체화, 개별 문서화 필요- 낭배 형성 (Gastrulation)
- 신경관형성 (Neurulation)
- 3배엽. 2배엽 등의 배엽 관련 척추동물 분류가 필요해 보임. 밑 문서들은 배엽론으로 리다이렉트되어 있어 내용 재작성이 필요합니다.
4.2. 조직학 관련
- 상피조직의 종류별 문서가 필요합니다. 작성 시 적절한 조직 사진을 기본적으로 첨부해 주세요.
- 기본 - 편평상피(squamous epithelium), 입방상피(cuboidal epithelium), 원주상피(columnar epithelium) / 단층상피(simple epithelium), 중층상피(stratified epithelium) - 이들을 표별로 묶어보면 기본상피 6종류가 나올 겁니다. 단층입방상피(simple cuboidal epithelium)처럼요.
- 거짓중층원주상피(pseudostatified columnar epithelium) - 코안 공간, 기관, 기관지의 상피로서 호흡상피(respiratory epithelium)라고도 불립니다.
- 이행상피(transitional epithelium) - 배설계 대다수의 상피를 덮는 상피 종류로, 그 특성으로 인해 urothelium이라고도 불립니다. 방광이 크게 늘어날 수 있게 하는 데에 기여합니다.
- 각질중층상피(keratinized stratified epithelium), 비각질중층상피(unkeratinized stratified epithelium)
- 사이원반(intercalated disc, 개재원반, 개재판) - 심장근의 특징적 구조.
- 조직학, 병리학에 자주 쓰이는 염색법에 대한 문서가 필요합니다.
- 헤마톡실린 에오신 염색 (H-E stain)
- 맛손 삼색 염색 (Masson's Trichrome stain)
- 레소룩신 푹신 염색 (Resorcin-Fuchsin stain)
- PAS 염색 (과요도산 쉬프반응, Periodic acid-Schiff's reaction)
- 면역조직화학염색 (Immunohistochemisty)
- 형광 제자리 부합법 (FISH)
4.3. 신경해부학 관련
아직 작성되지 않은 구조물과 중추신경계의 핵, 신경로에 대한 문서가 필요합니다. 뇌 문서와 틀:뇌도 함께 참고하면 좋습니다. 번역이 제대로 안된 용어가 많네요. 표제어 정할 때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뇌막(meninges)
- 앞가쪽시스템(전외측로, anterolateral system)
- 뒤섬유기둥-안쪽섬유띠로(후주내측섬유대로, dorsal column-medial lemniscus pathway, DCML): 현재 척수의 문단으로 리다이렉트 되어 있으나, 내용을 추가하여 독립문서화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5. 생리학 관련
심장생리, 호흡생리, 비뇨생리, 내분비생리 등5.1. 세포생리
- 막전압고정법
- 이온전류 - 안정세포막전위, 전류-전압 간 관계, 이온통로 저항과 전도도, 내향과 외향 전류, 시간상수, 공간상수, 전도속도를 변화시키는 요인.
- 깁스-도난 평형(Gibbs-Donnan equilibrium)
- 아쿠아포린 (물 채널)
- 이노시톨 1,4,5-삼인산(IP3), 다이아실글리세롤(DAG),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5-이인산(PIP2) - 작성 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문서와 연결. 연결 내용 인지질분해효소(PLC), 칼슘 이온, 칼슘 통로(Ca channel), 칼모듈린, 칼시뉴린, 단백질인산화효소 C(PKC)
5.2. 신경생리
- 투쟁-도피 반응(fight-flight reaction)
- 교감신경줄기(sympathetic chain)
- 절전신경(preganglionic neuron), 절후신경(postganglionic neuron), 세포체(cell body), 축삭(axon), 신경절(ganglion)
- 신경근육이음부(neuromuscular junction) - 체성신경계 시냅스 / 신경효과기이음부(nneuroeffector junction) - 절후신경과 표적 조직 간 이음부, 자율신경계 시냅스
- 뉴로펩티드(neuropeptide) - 뉴로펩티드 Y 등
- 콜린성 신경세포
- 아세틸콜린 수용체 - 니코틴 수용체, 무스카린 수용체
5.3. 근육생리
- 골격근, 심장근, 민무늬근( 내장근) 별로 근육 흥분-이완 기전 작성 필요. 관련 필요 문서 - 교차결합 주기(cross bridge cycle, 교차다리), L형 칼슘 통로(DHP receptor), 리아노딘 수용체(ryanodine receptor, RyR), Calcium induced calcium release(CICR)
- 액틴, 마이오신, 트로포닌
- 근절(sacromere)의 구조. 관련 단백질 - 티틴, 네뷸린, 트로포모듈린
- 근소포체(SR) 관련 구조 - 가로세관(T tubule, T세관)
- 탄뎀 게이트 기전 (Tandem gait)
5.4. 심장생리
5.5. 호흡생리
5.6. 배설생리
5.7. 소화생리
- 가스트린(gastrin), 콜레시스토키닌(cholescystokinin), 세크레틴(secretin), 포도당 의존성 인슐린 자극 펩티드(glucose dependent insulinotropic peptide, GIP),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GLP), 모틸린(motilin)
- 혈관 작용 장 펩티드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 하부식도괄약근(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 - 식도 밑쪽의 괄약근, 이 근육의 압력 조절과 관련한 글과 관련 질병을 소개. - 식도이완불능증(achalasia), 위식도 역류 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1]
- 이동운동수축파(migrating motor complex)
- 벽세포(parietal cell), 주세포(chief cell), 점액목세포(mucous neck cell)
- 이외 세포생리의 수용체들과 연결지어 작성.
5.8. 내분비생리
- 프로락틴방출호르몬
- 갑상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
- 성장호르몬방출억제호르몬
-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방출억제호르몬
- 고나도트로핀방출호르몬
- 여포자극호르몬
- 황체형성호르몬
5.9. 기타 분야
6. 생화학 관련
자세한 내용은 나무위키:프로젝트/과학 문서 참고하십시오.생화학 자체가 의학에 속한다고 보긴 뭐하지만, 우선 생화학의 제일 대주제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그 외에도 작성이 필요한 주요 개념이 있다면 여기에 추가 바랍니다.
- 아미노산 생합성 (biosynthesis of amino acid)
- 핵산 생합성 (nucleotide biosynthesis)
- 스테로이드 생합성 (steroid biosynthesis)
- 막지질 생합성 (biosynthesis of membrane lipid)
- 미토콘드리아 셔틀 -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 글리세롤 인산 셔틀
주요 대사 과정에서의 중간 산물
7. 면역학 관련
-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Ig superfamily)
- 초항원
- B인자, D인자
- 분화표지분자군 (cluster of differentiation) - 면역학에서 잘 알려진 CD 분자들 문서가 필요합니다.
- 사이토카인(cytokine)의 개별 문서들.
- 패턴인지수용체(PRR) - 톨유사수용체(TLR), C형 렉틴 수용체(CLR), NOD-유사 수용체(NLR), AIM2-유사 수용체(ALR), RIG-1-유사 수용체(RLR), 청소제 수용체(scavenger receptor)
- B세포와 T세포의 발달, 아형 관련 문서.
- 포식세포. 포식작용 문서 참고.
8. 병리학 관련
- 세포 적응 (Cellular adaptation)
- 바르부르크 효과 (Warburg effect) - 암세포에서 나타나는 유산소당분해(aerobic glycolysis)의 일종.
- 신생물 딸림 증후군
- 간부전
- 석회화
- 에이코사노이드 관련 - 고리형 산소화 효소(cyclooxygenase), 지방질 산화 효소(lipoxygenase)
9. 미생물학 관련
- 기회감염(opportunistic infection)
- 지질 A (lipid A)
- 외독소, 내독소 - 분리 후 보충 필요
- 지질다당류 (LPS)
- 제3형 분비 시스템(Type 3 secretion system, T3SS), 제6형 분비 시스템(T6SS)
- 항원변이(antigenic variation), 상변이(phase variation)
- 병원성 유전자군(pathogenecity island, PI; 병원성 유전자섬)
- 란스필드 분류(Lancefield grouping) - 연쇄상구균의 구분에 쓰이는 혈청학적 분류법.
- 콜레라 독소, 디프테리아 독소
9.1. 배지 및 테스트, 기법
배지 관련해서는 분류:미생물 배양 배지 참고.- 맥콘키 한천배지(Mac Conkey agar) - 장내세균과를 선택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지. 담즙산으로 그람 양성균들을 거르고 락토스 분리 능력 기준으로 그람 음성균들을 분류 가능.
- 에오신 메틸렌 한천배지(eosin methylene blue agar, EMB배지) - 그람음성균 분리배지. 락토스 발효에 따른 세균 분류를 위해서도 사용하는 배지.
- 만니톨 식염 배지(Mannitol salt agar) - 높은 NaCl 농도로 인해 포도상구균 등만 자랄 수 있으며 만니톨을 이용 가능한 황색포도상구균이 페놀 레드 지시약을 노랗게 만들어 동정가능하다.
- HE 배지(Hektoen enteric agar) - 대다수 균들은 당 발효로 인해 오렌지색으로 관찰됨. 살모넬라는 황화수소(H2S) 형성으로 인해 검은 콜로니 형성.
- 그라나다 배지(Granada medium) -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 감별배지.
- X-gal 배지(X-gal agar) - 베타 갈락토시데이스(β-galactosidase) 유무 감별배지.
- 러셀 배지(Russell's medium) - 장내세균과 확인용 배지. 밑의 클리글러 배지와 TSI 배지의 원형이다.
- 클리글러 배지(Kligler's medium) - 장내세균과 확인용 배지.
- TSI 한천배지(triple suger iron agar, TSIA) - 살모넬라와 시겔라 감별 가능.
- 살모넬라-시겔라 배지(SS배지) - 살모넬라와 시겔라만 증식 가능한 분리배지.
- XLD 한천배지(xylose lysine deoxycholate agar)
- 셀레니트 배지(selenite agar) - 티푸스균의 증균배지.
- TCBS 한천배지(thiosulfate citrate bile salts sucrose agar)
- 뮐러-힌튼 배지(Mueller-Hinton agar)
- 세이어-마틴 배지(Thayer-Martin agar)
- BGLB 배지(Briliant Green Lactose Bile Broth) - 펩톤과 락토스 첨가 배지. 대장균 시험에 사용.
- 임빅시험(IMViC test) - indole, methyl red, VP, citrate의 4가지 요소로 구분하는 시험.
- 요소분해시험(urease test) - 요소분해효소(urease) 보유 여부 시험.
9.2. 미생물 및 계통분류
기생충을 제외한 병원체들과 그것들이 일으키는 전염병들에 관한 문서를 넣습니다. 병에 관한 문서만 있고 미생물 문서는 없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문서 생성 시 계통분류학상의 속, 과, 문, 강...순서로 분류도 생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내가 생성하려는 생물의 계통분류학상 분류가 이미 있는지 헷갈리면 분류:세균 등에서 찾거나, 다른 이미 있는 세균 문서들을 참고해 주세요. 다만 바이러스는 특히나 분류가 아직 자주 바뀌고 있어 애매한 면이 있으니, 아직까지는 RNA/DNA/레트로바이러스 등의 분류만 넣습니다.속에 속하는 종들도 작성해 주세요.
9.2.1. 세균
주요 그람 양성균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05em" |
실험실 알고리즘 기준으로 분류 | ||||
구균 (Cocci) |
카탈레이스 양성 Catalase (+) 포도상구균 (Staphylcoccus) |
응고효소 양성 Coagulase (+) | 황색포도상구균 (S. aureus) | ||
응고효소 음성 Coagulase (-) |
표피포도상구균 (S. epidermis) 부생성포도상구균 (S. saprophyticus) S. capitis S. haemolyticus |
||||
카탈레이스 음성 Catalase (-) 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
부분 용혈 (partial hemolysis) 녹색, α 용혈 |
폐렴구균 (S. pneumoniae) 녹색연쇄상구균 (Viridans sterptococci) |
|||
완전 용혈 (complete hemolysis) 투명, β 용혈 |
Group A:
화농성연쇄상구균 (S. pyogenes) Group B: 스트렙토콕쿠스 아갈락티아이 (S. agalactiae) 그 외: 스트렙토콕쿠스 디스갈락티아이 (S. dysgalactiae) |
||||
용혈 없음 γ 용혈 |
장내구균 (Enterococcus) 펩토사슬알균 (Peptostreptococcus) |
||||
간균 (Bacilli) |
아포 형성 X | 코리네박테리움 (Corynebacterium) · 리스테리아 (Listeria) · 에리시펠로트릭스 (Erysipelothrix) | |||
아포 형성 O | 클로스트리디움 (Clostridium) · 바실러스균 (Bacillus) | }}}}}}}}} |
주요 그람 음성균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05em" |
실험실 알고리즘 기준으로 분류 | ||||
구균 (Coccus) |
말토스 발효 가능 (Maltose fermenter) |
수막구균 (Neisseria meningitidis) | |||
말토스 발효 불가능 (Maltose nonfermenter) |
임질균 (N. gonorrhoeae) | ||||
간균 (Bacillus) |
젖당 발효 가능 (Lactose fermenter) |
빠른 발효 (Fast fermenter) |
클렙시엘라 (Klebsiella) 대장균 (E. coli) 엔테로박터 (Enterobacter) |
||
느린 발효 (slow fermenter) |
시트로박터 (Citrobacter) 세라티아 (Serratia) |
||||
젖당 발효 불가능 (Lactose nonfermenter) |
산화효소 양성 Oxidase (+) |
슈도모나스 (Psuedomonas) | |||
산화효소 음성 Oxidase (-) |
시겔라 (Shigella) 살모넬라 (Salmonella) 프로테우스 (Proteus) |
||||
구간균 (Coccobacillus) |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Haemophilus influenzae) · 파스퇴렐라 (Pasteurella) · 브루셀라 (Brucella) · 백일해균 (Bordetella pertussis) | }}}}}}}}} |
템플릿:세균을 이용하여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문서 생성 후 학명 리다이렉트 생성해 주세요. (예: 황색포도상구균 문서는 Staphylococcus aureus와 S. aureus 리다이렉트 생성.)
그람 양성
- 클로스트리디움
-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톨리티쿰(C. histolyticum), 클로스트리디움 라모섬(C. ramosum)
-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 방선균속(Actinomyces)
-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 여드름균(P. acnes)
- 펩토사슬알균(Peptostreptococcus)
- 솔로박테리움(Solobacterium) - 속한 종이 솔로박테리움 무레이(S. moorei) 1개뿐이라고 알려진 에리시펠로트릭스과의 속.
그람 음성
- 장내세균과 (Enterobacteriaceae) - 분류:장내세균과
- 대장균속 (Escherichia) - 분류:대장균속
- 장외 병원성 대장균 (extraintestinal pathogenic E. coli, ExPEC)
- 장병원성대장균 (enteropathogenic E. coli, EPEC)
- 장독소성대장균 (enterotoxigenic E. coli, ETEC)
- 장침습성대장균 (enteroinvasive E .coli, EIEC)
- 장응집성대장균 (enteroaggregative E. coli, EAEC)
- 장출혈성대장균 (enterohemorrhagic E. coli, EHEC)
- 시가독소생성대장균 (shiga toxin producing E. coli, STEC)
- 시겔라 (Shigella) - 지금은 이질로의 리다이렉트입니다.
- S. dysenteriae, S. flexneri, S. boydii, S. sonnei
- 클렙시엘라 (Klebsiella)
- K. pneumonia, K. oxytoca, K. granulomatis
- 세라티아 (Serratia)
- S. marcescens
- 엔테로박터 (Enterobacter)
- E. cloacae
- 프로테우스속 (Proteus) - 생성 후 프로테우스 문서와 연결
- P. mirabilis
- 모르가넬라속 (Morganella)
- M. morgani
- 시트로박터 (Citrobacter) - 분류:시트로박터속이 현재 존재
- 살모넬라 (Salmonella)
- S. typhi, S. typhimurium, S. enteriditis, S. enterica, S. choleraesuis, S. paratyphi
- 예르시니아 (Yersinia)
- 페스트균 (Y. pestis), Y. enterocolitica
-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 C. coli, C. fetus, C. jejuni, C. upaliensis
- 헬리코박터(Helicobacter)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H. cinaedi, H. fennelliae
- 에어로모나스(Aeromonas)
- A. caviae, A. hydrophilia, A. veroni (크게 3가지 그룹)
- 비브리오(Vibrio)
- 스피로헤타목(Spirochetales)
- 슈도모나스(Pseudomonas) - 녹농균(P. aeruginosa), P. fluorescens, P. putida...
- 버크홀데리아, 또는 부르크홀데리아(Burkholderia) - 유비저의 원인균인 유비저균(B. psudomallei), 마비저의 원인균인 마비저균(B. mallei) - 둘 다 슈도모나스속에서 이동해온 종.
- 스테노트로포모나스(Stenotrophomonas) - S. maltophilia, S. nitritireducens
-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 A. baumannii
- 모락셀라(Moraxella) - M. osloenis
- 푸소박테리움(Fusobacterium) - F. necrophorum, F. nucleatum
-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 B. fragilis
- 포르피로모나스(Porphyromonas)
- 프리보텔라(Prevotella)
- 베일로넬라(Veillonella)
애매한 아이들
-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 미코플라스마 호미니스(M. hominis), 미코플라스마 제니탈리움(M. genitalium)
- 리케차(Rickettsia) - 리케차 티피(R. typhi)
- 아나플라스마(Anaplasma)
- 콕시엘라(Coxiella)
9.2.2. 바이러스
9.2.2.1. 사람 바이러스
- DNA 바이러스
- 폭스바이러스(poxvirus) - 백시니아바이러스, 물사마귀 바이러스
- 폴리오마바이러스(polyomavirus)
- 유두종바이러스(papilloma virus) - 인유두종 바이러스
- 파보바이러스
- RNA 바이러스
9.2.2.2. 척추동물 바이러스
- 블루텅바이러스
- 보아 봉입체병바이러스
- 개 파보바이러스
- 전염성연어빈혈증바이러스
- 점액종바이러스
- 돼지 서코바이러스
- 라우스육종바이러스
- 원숭이 바이러스 40
-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바이러스
- 고양이 백혈병바이러스
- 쥐 헤르페스바이러스 68
9.2.2.3. 식물바이러스
- 아프리카카사바 모자이크바이러스
- 보라 황화위축바이러스
- 꽃양배추 모자이크바이러스
- 감귤 트리스테자바이러스
- 오이 모자이크바이러스
- 벼 엔도르나바이러스
- 우루미아멜론바이러스
- 완두 돌출모자이크바이러스
9.2.3. 진균
9.3. 항생제
항생제 문서 가면 단독 문서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역링크 많은 것들 우선 생성.10. 기생충학 관련
기생충과 기생충이 일으키는 전염병들에 관한 문서를 만듭니다.- 연충(helminth) - 원충에 비해서 발달된 다세포 기생충군입니다.
- 선충류(nematode)
- 구충(hookworm) - 아메리카구충(Necator americanus), 두비니구충(Ancylostoma duodenale, 십이지장충이라고도 불린다.)
- 모세선충(capillaria) - 간모세선충(Capillaria hepatica), 장모세선충(Capillaria philippinenis)
- 광동주혈선충(Angiostrongylus catonensis)
- 동양안충(Thelezia callipaeda)
- 반크롭트사상충(Wuchereria bancrofti)
- 말레이사상충(Brugia malayi)
- 회선사상충(Onchocerca volvulus)
- 흡충류(trematode)
- 요코가와흡충(Metagonimus yokogawai), 미야타흡충(M. miyati), 타카하시흡충(M. takahashii) - 셋 모두 요코가와흡충증(Metagonimiasis)의 원인이 됩니다.
- 유해이형흡충(Heterophyes nocens), 간이형흡충(Heterophyopsis continua), 표주박이형흡충(Pygidiopsis summa), 수세미이형흡충(Stellantchasmus falcatus) - 장외이형흡충과증(extraintestinal heterophyiasis)의 원인이 되는 기생충들입니다.
- 극구흡충과(echinostomatidae)에 속하는 기생충들 - 호르텐스극구흡충(Echinostoma hortense), 이전고환극구흡충(E. cinetorchis), 일본극구흡충(E. japonicas), 한국극구흡충(Acanthoparyphium tyosenense)
- 참굴큰입흡충(Gymnophilloides seoi) - 신안군과 부안군에서 유행하는 기생충인데, 이는 제2중간숙주가 참굴이기 때문입니다.
- 조충류(cestode) - 유독 생활사가 복잡한 애들이 많아 작성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원충(protozoa) - 대개 단세포이며 원생생물에 속하는 기생충들입니다. 위의 연충들에 비해 구조가 단순합니다.
- 이질아메바(Entamoeba histolytica), 동형아메바(E. dispar) - 두 기생충은 형태가 비슷해 구분이 불가능하나, 이질아메바는 병원성이고 동형아메바는 비병원성입니다.
- 자유생활아메바(free-living ameba) - 본래 인체 밖에서 알아서 잘 사는 애들이지만 우연히 인체 내로 들어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가시아메바(Acanthamoeba spp.) - 육아종성 아메바성 뇌염(granulomatous amoebic encephalitis)의 원인 병원체입니다.
- 자유아메바(Naegleria spp.) -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의 원인 병원체인 파울러자유아메바(N. fowleri)가 대표적입니다.
- 람블편모충(Giardia lamblia)
- 질편모충(Trichomonas vaginalis) - 이름만 봐도 알 수 있듯 성적인 행동으로 인해 전파되는 기생충입니다.
- 리슈만편모충(Leishmania spp.) - 리슈만편모충증(Leishmaniasis)의 원인이 되는 기생충 종류이며, 각 하위 종이 서식하는 장소가 달라 감염된 하위 종에 따라 병의 발생 위치가 달라집니다. 샌드플라이(sandfly)를 매개로 전염됩니다.
- 피부리슈만편모충증(Cutaneous leishmaniasis; Oriental sore) - L. tropica, L. major, L.aethiopica
- 피부점막리슈만편모충증(Mucocutaeneous leishmaniasis; Chiclero ulcer, espundia, pian bois) - L. mexicana, L. venezuelensis, L. amazonensis
- 내장리슈만편모충증(Visceral leishmaniasis; 흑열병, Kala-azar) - L. donovani, L. chagasi, L. infantum
- 아프리카 수면병(African trypanosomiasis) - 감비아파동편모충(Trypanosoma gambiense), 로데시아파동편모충(T. rhodesiense)에 의해 발병하며, 체체파리가 매개곤충 역할을 한다. 로데시아 쪽에 감염됐을 때 더 예후가 안 좋다. 관련 문서: 윈터보톰 징후(Winterbottom's sign)
- 샤가스병(Chagas' disease) - 크루스파동편모충(Trypanosoma cruzi)가 원인 병원체이며 매개곤충은 빈대.
- 크립토스포리디움증(Cryptosporidiosis) - 작은와포자충(Cryptosporidium parvum), 사람와포자충(C. hominis)
- 사람등포자충(Isopora belli)
- 근육포자충(Sarcocystis spp.) - 돼지근육포자충(S. suihominis), 사람근육포자충(S. hominis), 린데만근육포자충(S. lindemani)
- 톡소포자충(Toxoplasma gondii) - 톡소포자충증(Toxoplasmosis)
- 사람폐포자충(Pneumocystis jiroveci)
- 말라리아(malaria) - 삼일열원충(Plasmodium vivax), 열대열원충(P. falciparum), 사일열원충(P. malariae), 난형열원충(P. ovale) 등
11. 약리학 관련
약물과 그것들의 작용 기전에 관한 새로운 문서를 넣습니다.기전별 구분
- 콜린작용제
- 콜린길항제
- 콜린에스터분해효소 억제제 - 에드로포니움, 네오스티그민, 피소스티그민
- 알파 작용제, 알파 차단제, 베타 작용제, 베타 차단제 문서의 각 약물들 / 맥각 알칼로이드
- 에이코사노이드 관련 약물 - NSAID( 인도메타신, 피록시캄, 메클로페나메이트), 세레콕시브, 질루톤, 자피르루카스트
- 세로토닌 관련 약물 - 세로토닌 수용체(5-HT receptor)
-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 - 부스피론, 수마트립탄, 덱스펜프루라민, 시사프라이드, 테가세로드, 프루칼로프라이드
-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 - 케탄세린, 메티세르자이드, 시프로헵타딘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제(SSRI) - 설트랄린, 플루복사민, 시탈로프람
- 히스타민 관련 약물
- 아편계 진통제의 개별 문서들
- 아편 수용체 문서 작성
- 아편 수용체 길항제 - 날록손
12. 질병, 증상
12.1. 감각기관계 질환
- 핵간 안근마비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INO)
- 구강건조증
- 마르판 증후군 (Marfan syndrome)
- 익상편 (Pterygium)
-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12.2. 피부계 질환
- 스티븐 존슨 증후군 (Stevens Johnson syndrome)
- 콜린성 두드러기 (Cholinergic urticaria)
- 수족구병 (Hand, foot and mouth disease)
- 한랭 두드러기 (Cold urticaria)
- 어린선 (Ichthyosis)
- 쥐젖 (Soft fibroma)
- 만성 영아 신경 피부 관절 증후군 (CINCA)
12.3. 혈관계 질환
- 범혈구감소증 (Pancytopenia)
- 판코니범혈구감소증 (Fanconi Pancytopenia syndrome)
- 문맥색전증 (Portal vein thrombosis)
- 헤노호 쉰라인 자반증 (Henoch-Schonlein purpura)
- 지중해빈혈 (Thalassemia)
- 철결핍빈혈 (Iron deficiency anemia)
- 레이노병 (Raynaud'S Phenomenon)
- 한랭글로불린혈증 (Cryoglobulinemia)
- 측두동맥염
- 타카야수 혈관염 (Takayasu’s Arteritis)
- 자가면역용혈질환
-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12.4. 소화계 질환
- 퀴트너 종양 (Kϋttner tumor)
- 미쿨리즈 증후군 (Mikulicz syndrome)
- 루드비히 안자이나 (Ludwig's angina)
- 바렛 식도 (Barrett's esophagus)
- 새열 낭종 (Branchial Cyst)
- 선천성 사경 (Congenital (sternomastoid) torticollis)
- 메켈 게실 (Meckel's diverticulum)
- 버드-키아리 증후군
- 항문소양증 (Pruritusani)
- 린치 증후군 (Lynch Syndrome)
12.5. 순환계 질환
- 심장긴간격증후군(long QT syndrome)
- 전도 장애 (Conduction disorders)
- 울프-파킨슨-화이트 증후군 (wolff-parkinson-white syndrome)
- 쿠싱 증후군 (Cushing's syndrome)
12.6. 림프계 질환
12.7. 호흡계 질환
-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 폐 혈전색전증 (Pulmonary thromboembolism)
- 객혈 (Hemoptysis)
-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비소세포성 폐암 (Non-small cell lung cancer)
- 태변 흡인 증후군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12.8. 신경계 질환
- 뇌경색 (내용을 보강해 문서를 분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 뇌출혈 (내용을 보강해 문서를 분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 자발성 두개강 내 출혈 (ICH)
- 뇌 동정맥 기형 (AVM)
- 경막 동정맥루 (dAVF)
- 뇌성 염분소실증후군 (CSWS)
- 일과성 뇌허혈증 (Transient cerebral ischemia)
- GM₂-강글리오시드증 (GM₂-gangliosidosis)
12.9. 근골격계 질환
- O자형 다리
- 충돌증후군 (impingement syndrome)
- 트렌델렌버그 보행 (Trendelenburg gait) - 중간볼기근이나 작은볼기근 이상으로 인해 골반이 기울어지는 이상 징후.
- 로이-디에츠 증후군 (Loeys-Dietz syndrome)
- 구획 증후군 (Compartment syndrome)
- 장골 치밀화 골염
12.10. 내분비계 질환
12.11. 정신 질환
- 충동장애 - 정신병의 일종, 정신병 참조
- 뮌하우젠 증후군 (Munchausen's syndrome)
- 해리성 둔주 등 해리장애 문서에서 지워진 문서들
- 거스트만 증후군 (Gerstmann Syndrome)
- 얼렌 증후군 (Irlen syndrome)
- 아스퍼거 증후군 (Asperger disorder)
12.12. 감염 질환
- 웨스트나일열
- 거대세포 바이러스 질환 (Cytomegaloviral diseases)
- 파라인플루엔자 감염증 (Parainfluenza infection)
- 효모균증 (Cryptococcosis)
- 쇼그렌 증후군 (Sicca syndrome (Sjogren))
- 스파르가눔증 (Sparganosis)
- 슈도모나스 감염 (Pseudomonas infection)
- 단독증 (Erysipelas)
12.13. 희귀 유전 질환
- 본히펠린다우 증후군 (Von Hippel-Lindau syndrome)
-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Ehlers-Danlos syndrome)
- 스핑고 지질증 (Other sphingolipidosis
- 갈락토오스혈증 (Galactosemia)
- 프리이드라이히 운동실조증 (Friedreich ataxia)
- 고셔병 (Gaucher disease)
- 하르트넙병 (Hartnup’s disease)
- 뮤코다당질축적증
- 푸고스축적증 (Fucosidosis)
-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 (Pelizaeus-Merzbacher disease)
- 유전 재발열 증후군 (Hereditary recurrent fever syndromes)
- 리 증후군 (Leigh syndrome)
- 오르니틴혈증
- 호모시스틴뇨 (Homocystinuria)
- 히스티딘혈증 (Histidinemia)
- 메발론산 키나아제 결핍증
- 위스콧-알드리치 증후군 (Wiskott-Aldrixh syndrome)
12.14. 기타 질환
- 골덴하 증후군 (Goldenhar syndrome)
- 급성 소뇌염
- 헤르만스키-푸들라크증후군 (Hermansky-Pudlak syndrome)
- 탈수소효소피루브산염의 결핍 (Deficiency of dehydrogenase pyruvate)
- 유전성 코프로포르피린증 (Hereditary coproporphyria)
- 항이뇨 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 (SIADH)
- 크라이오피린 연관 주기 (발열) 증후군 (CAPS)
- 머클-웰 증후군 (Muckle-Wells Syndrome, MWS)
- 메발론산 키나아제 결핍증
- 윌슨병 (Wilson's disease)
- 버팔로 험프 (buffalo hump)
- 부신발증 (Adrenal crisis)
- 부신피질발증 (Adrenocortical crisis)
- 애디슨발증 (Addisonian cri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