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2a5c99> 김포 | ↔제주 | ↔김해(부산) | ↔광주 | ↔포항경주 |
↔김포 | ↔제주 | ||||
제주 | ↔김포 | ↔김해(부산) | ↔청주 | ↔대구 | |
↔광주 | ↔포항경주 | ||||
환승내항기 | 인천↔부산 | 인천↔대구 | |||
기타 |
1. 개요
서울(김포) - 부산(김해) / Seoul(Gimpo) - Busan(Gimhae) / GMP-PUS or RKSS-RKPK[1]대한민국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매년 360만명이 이용하는 육지-육지 구간의 대표 노선이다. 또한 김포-제주 노선, 김해-제주 노선과 함께 국내선 수송 Top 3 노선 중 2위이다.[2] 비행시간은 통상 이륙 후 45분 정도로, 김포-제주 노선보다 10분 정도 짧다.
2. 특징
김포-제주 노선에 이어 대한민국 국내선 항공 수송 2위 실적을 가지고 있다. 대한항공, 에어부산[3][4],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이 운항하고 있다.2023년 기준 약 360만명이 이용한다. 김포-제주 노선과 비교하면 별로 많은 수치는 아니지만, 도로, 철도 등 다른 교통수단의 높은 접근성을 고려하면 꽤 많은 수치이다.
2008년 10월 27일 에어부산이 설립 후 처음으로 운항을 시작한 뜻깊은 노선이기도 하다.
3. 혼잡도
자세한 내용은 가축수송(교통)/사례/대한민국/항공기 문서 참고하십시오.대한민국 본토 내의 국내선 노선 중 가장 수요가 많으며, 2021년에는 김포-제주 노선에 이어 연간 운항 횟수 세계 2위에 랭크되는 기염을 토한 적도 있을 정도로 수요가 꾸준히 나오는 노선이다.[5] 비록 엔데믹 이후로는 다시 수송량이 줄기는 했지만 여전히 에어부산이 3060 스케줄을 유지하며 양쪽에서 1시간 간격으로 배차하고있고 다른 항공사들도 그 사이에 운항을 이어가고있어 여전히 서울과 광역시의 중수요 간선 시내버스와 중소도시의 주력 시내버스 노선와 비슷한 배차간격을 보이고 있다.
4. 비행 경로
김포에서 김해로 갈때는 Y782, 반대로 김해에서 김포로 갈때는 Y782를 이용하다가 BITUX에서 Z53으로 갈아탄 후 BASEM부터 GUKDO까지는 Y685를 이용한다.이 노선을 운항하는 항로는 다음과 같다.
- 김해 → 김포 (Y782, Z53, Y685): MASTA 또는 KALOD[11]-TGU(DALSEONG)[12]-BITUX[13]-TEBEX(Z53)-BASEM[14]-ENSAL-GUKDO[15]
항로나 웨이포인트를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쉽게 쓰자면 대체로 과거 서울과 부산을 잇는 최단거리 경로인 영남대로의 선형을 따라간다. 그 사이 주요 경유 지역을 풀어쓰자면 다음과 같은 경로를 그린다.
- 김포 → 김해: 서울 김포국제공항을 이륙한 비행기는 14L/R[16]를 이용할 경우 안양, 용인, 안성 상공을 차례로 날며 경기도를 빠져나가고, 32L/R[17]를 이용할 경우 김포를 지나 좌선회 하여 영종도 옆을 지나 인천, 부천 상공을 가로지르며 안양 상공에서 14L/R에서 이륙하는 비행기들의 경로로 합류한다. 안성 상공을 거쳐 경기도를 빠져나간 뒤에는 충남 천안[18]과 충북 청주 상공을 거쳐 충북 보은, 영동 과 경북 경계선에 붙게 되며 경상도에 진입한 이후 김천과 대구 달성, 경남 합천을 거쳐 함안 즈음에서 하강하면서 창원을 끼고 내려가다가 가덕도 인근에서 좌선회를 시작한다. 이때 36L/R[19]의 경우 가덕도와 수직으로 통과하면서 좌선회를 잠시 멈춘 뒤 도요등 부근에서 에코델타시티 오른쪽으로 재차 좌선회하여 김해공항에 내려앉는다. 18L/R[20]의 경우 녹산공단, 화전산단을 거쳐 남해 제2고속도로지선 가락IC 방면으로 비행하다가 김해공항이 보이면 선회접근을 하여 김해공항에 내려앉는다.[21]
- 김해 → 김포: 부산 김해국제공항을 이륙한 비행기는 36L/R[22]의 경우 먼저 이륙 직후 고도를 높이면서 김해 시내로 방향을 틀어 부원동, 내외동, 구산동 상공을 차례로 지난다. 18L/R[23]의 경우 도요등 방면으로 부산을 빠져나간 뒤, 우선회를 하여 김해 시내 방면으로 방향을 바꾸며 고도를 높인다. 18L/R과 36L/R 두 경우 모두 진영 상공에서 합류한 뒤 경북 고령, 대구 달성을 거친 다음 김천[24], 상주, 문경을 차례로 거치며 경상도를 빠져나간 뒤 충북 진천, 충주 등 충북 북동쪽을 가로질러 용인 상공에서 경기도로 진입한다. 이후 성남 상공에서 좌선회를 한다. 32L/R[25]의 경우 이때부터 하강하면서 청계산 정상을 지나 관악-목동 구간을 가로지르며 그대로 김포공항에 착륙한다. 14L/R[26]를 사용할 경우 안양 상공을 지나 인천 상공을 C자형으로 크게 선회하여 하강, 김포 도심을 가로지른 뒤 김포공항에 앉게 된다.
5. 운항 항공사
2024년 기준으로 이 노선을 운항하는 항공사는 총 6개다. 일일 운항 횟수는 평균 33회로, 의외로 김해국제공항에서 이 노선이 제주행 노선보다 더 많이 뜬다.[27] 김포-제주 노선보다는 매우 적은 횟수지만[28] 많은 승객들이 탑승한다. 대부분의 수요는 2개의 항공사가 책임지고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제 1민항사 대한항공과 김해공항에 본거지를 둔 에어부산이다.2020년 이전에는 대한항공, 에어부산만 거의 운항하다시피 했다. 코로나 사태가 발발하자, 일부 저비용 항공사가 이 노선에 취항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에어부산이 취항하기 전에는 아시아나항공도 이 노선을 운항했지만,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에게 모두 넘겨주고 코드셰어만 걸어둔 채 김해공항 국내선에서 철수하였고, 에어서울도 코로나 유행 시기에는 운항했으나 2022년 11월 부로 단항한 뒤 한 달 만인 12월에 운항을 재개했다가 다시 중단했다. 따라서 아시아나항공에서 부산행을 예약해도 실제로는 에어부산 소속 비행기를 타게 된다.[29]
2024년 3월 31일 부로 티웨이항공이 김포-김해 노선 단항을 결정했었으나 동년 6월 5일부터 복항했다.
2024년 7월 14, 16, 17일에 이스타항공이 하계 성수기를 대비해 부정기 노선을 운항하였고, 10월 27일부터 시작되는 동계 스케줄부터 정기 노선을 개설하여 운항할 예정이다.
어떨 때는 서울- 부산 간 KTX보다도 싼 가격으로 특가를 풀 때가 있는데, 심지어 대한항공도 4~5만원대의 가격이 나오기도 하며[30] 에어부산은 더 싼 가격대로 항공권을 풀고 있다. 코로나 이후에도 특가가 이따금씩 나오기 때문에 잘만 하면 KTX, SRT보다 비행기를 싸게 탈 수 있다.
운항 횟수는 성수기, 비성수기에 따라 조금씩 변경 될 수 있으니 참고바람.
- 에어부산 - 일 평균 12회 왕복 운항[A320][32]
- 대한항공 - 일 평균 9회 왕복 운항[B737-900][A220]
- 진에어 - 일 평균 2회 왕복 운항[B737-900][B737-800]
- 제주항공 - 일 평균 3회 왕복 운항[B737-800]
- 티웨이항공 - 일 평균 2회 왕복 운항[금요일비운항][B737-800]
- 이스타항공 - 일 평균 2회 왕복 운항[B737-800][B737-8]
6. 기타
- 남한의 서북쪽과 동남쪽을 이어주는 항로인지라 거의 국토 중심부를 관통하게 되는데, 비행기의 고도가 꽤 있는 만큼 비행중에 남한의 거의 대부분 지역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전라도 남부 끝자락과 영동 지방 북부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다 보이는데, 대전광역시, 안동시 등 항로에서 약간의 거리가 있는 도시들은 전체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다.
- 김해공항 이착륙시에는 형식상 사진과 동영상 촬영 및 업로드가 금지되어 있지만 군사시설이 보이지 않거나 군사시설을 모자이크 처리하면 별다른 문제가 없다.
- 대한항공 아침 비행편 같은 경우 머핀까지 준 적이 있었다. 물론 현재는 음료 서비스 정도만 하는 중.
- 이 김포-부산 항공노선 말고도, 과거에는 부산-인천 항공노선에도 양대 FSC에서 운항했었는데 특히 2023년 현재도 대한항공의 경우 인천-부산 항공편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이 항공편은 환승 전용 내항기 편으로, 김해국제공항에서 인천국제공항을 거쳐 해외로 가거나,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뒤 부울경 지역으로 이동하려는 환승객 수요를 노린 항공편이다. 그러한 특수성으로 인해 국제선에 준하게 취급되며, 반드시 인천 착발 항공권이 있어야 이용이 가능하며 국내선 구간발권은 불가능하다. 그래서인지 공항 연간 이용객 수 조사에서도 이 내항기 수요는 국제선 수요로 분류한다. 대한항공/노선망 참조.
-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는 요금을 대폭 인하하는 등, 마케팅 승부수를 던졌다. 이 영상 링크 19분48초에도 언급되었다. 심지어 2021년 바캉스 성수기에도 새마을호/무궁화호 수준의 운임이 나오기도 했었다.[42] 엔데믹 이후에도 여전히 이따금씩 특가가 나와서 KTX보다 싸게 비행기를 탈 수 있다.
- 에어부산은 이 노선을 99% 할인된 운임으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정기권을 발매하고 있다. 국내 유일의 항공 정기권이다. 가격은 30일권 50만원, 90일권 150만원, 180일권 300만원으로, 해당기간 중 99% 할인된 가격(660~860원)으로 항공권을 구매할 수 있다. 다만 유류할증료와 공항이용료는 별도이므로 실제로는 매번 탑승시마다 1~2만원 정도의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 1주일에 한번 이상 정기적으로 왕복한다면 구매를 고려해볼만 하고, 두번 이상 왕복한다면 확실히 이득이다.
[1]
김해공항에서 서울행 노선을 표기할때는 '김포'로 적어놓는다. 반면 김포공항에서 김해행 노선을 표기할 때는 '김해'가 아닌 '부산'으로 적어놓는다. 본 문서 제목 역시 이 점을 반영했다.
[2]
1위는
김포-제주, 3위는
김해-제주. 이렇게 해서 국내 항공 교통 거점 도시인 서울(김포), 제주, 부산(김해)이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3]
아시아나항공과 코드셰어. 아시아나항공 대신 투입된 셈이기도 하다.
[4]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에어부산의 국내선 주력 노선이기도 하다.
[5]
당시 543만명 이용. 물론
김포-제주노선보다는 수요가 당연히 적다. 이유는 당연히 둘 다 한 육지로 연결되어있기 때문.
철도,
도로망이 아예 없어 해상교통과 항공교통에 의존해야 하는 섬 지역인
제주도와 달리,
부산은
KTX,
SRT와 같은
고속철도나
서울경부-부산,
서울경부-부산사상,
동서울-부산,
동서울-부산사상 간
고속버스를 통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6]
김포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OSPOT으로 들어온다. 여기까지 오는데 비행 경로 절반을 지나게 되는데, 이 웨이포인트가
천안과
진천 사이 딱 경계선 위에 있기 때문이다.
[7]
임시
김포발 대구행 항공기는 BITUX이후 대구국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
추풍령 위에 있는 웨이포인트로, 목적지가
대경권이냐
부울경이냐에 따라 여기서부터 방향이 달라진다.
[8]
김포발 포항행 항공편은 TGU에서 좌선회 후 포항으로 진입한다. 대구
앞산터널 위에 있는
한국공항공사 대구항공무선표지소가 이 지점이다.
[9]
MASTA 또는 KALOD 이후 좌선회 하여 김해국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
[10]
김포발 사천행 항공편은 MASTA에서 우선회 후 사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 MASTA포인트는 현재 온라인에서 검색되지는 않으나
창녕에 있을 가능성이 높고, KALOD 포인트는
밀양 시내 한복판에 있다.
[11]
김해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MASTA 또는 KALOD로 들어온다. 마찬가지로 사천발 김포행 항공편도 사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MASTA 로 들어온다.
[12]
13R활주로를 사용해 이륙한 임시 대구발 김포행 항공기는 대구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TGU로 들어온다.
포항발 김포행 항공편은 TGU에서 만나 우선회 후 김포로 향한다.
[13]
31R활주로를 사용해 이륙한 임시 대구발 김포행 항공기는 대구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BITUX으로 들어온다. 김포 32L/R 활주로로 가는 항공편은 여기서 우선회 하여 Z53 항공로를 이용한다.
[14]
김포 14L/R 활주로로 가는 항공편은 여기서 좌선회 하여 Y685 항공로를 이용한다.
[15]
GUKDO 이후 좌선회 하여 김포국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
충주와
음성군 경계에 있어 수도권 코앞이다.
[16]
김포시 방향에서 서울 양천구 방향, 즉 남동쪽으로 이륙할 때
[17]
서울 양천구 방향에서 김포시 방향, 즉 북서쪽으로 이륙할 때
[18]
이 항로 상 유일한 충남 공역이다. 이마저도 천안 시내 쪽으로는 안 가고, 입장면과 목천읍, 병천면 등 충북과의 경계 지역의 상공을 지나간다.
[19]
김해공항 남쪽, 즉 바다 쪽에서 접근하는 방향.
[20]
김해 지내동 돗대산 쪽에서 접근하는 방향. 김해공항에게
김해탁이라는 그
홍콩 카이탁 국제공항의 악명과 엮인 별명을 가져다 준 게 바로 이 접근 경로다.
[21]
자세한 내용은 김해공항 18 서클링 문단 참고.
[22]
바다 쪽에서 김해시 방향으로 활주할 때
[23]
김해를 등지고 바다 방향으로 활주할 때
[24]
Y782 항로는 여기쯤에서
경부고속철도와 교차한다. 거의
김천(구미)역이 있는 남면 상공을 지나간다.
[25]
서울 신도림, 영등포, 신월동, 목동 방향에서 접근할 때
[26]
김포 시내 상공에서 접근할 때
[27]
제주행 일 29회.
[28]
참고로 김포-제주 노선의 일일 운항 횟수는 김포-부산보다 약 4배 많은 131회다. 참고로 제주행은 편수는 적어도 성수기에 수요가 폭증하면 일부 항공사들은 330이나 777같은 큰 비행기를 끌고 오기도 하는 반면 김포-김해 노선에는 작은 협동체 비행기만 투입한다. 제주행은 대체로 여행 수요 위주지만 서울행은 여행 수요와 비즈니스 수요가 모두 있기 때문이며,
대
체
재
가 많아 수요 분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노선은 수요가 늘더라도 큰 비행기를 가져오기보다는 작은 비행기를 여러 대 배차하여 대응하는 편이다.
[29]
즉,아시아나클럽 상위티어나 스타얼라이언스 소속 항공사(전일본공수,에바항공,루프트한자,에어 캐나다 등) 마일리지 적립이 아닌이상 에어부산 홈페이지에서 예약하면 더 저렴하다. 반대로 아시아나 마일리지를 쓰려고 타는 것이라면 손해 볼 것 하나도 없이 부산과 서울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30]
서울-부산 간 KTX 운임이 59,800원인데 대한항공도 4만원대의 가격으로 특가를 풀고 있다.
[A320]
[32]
에어부산의 첫 운항 노선이자 현재까지도 3060관광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김포에서 매시30분 부산에서 매시 정각에 출발하는 에어부산의 역사깊은 최고 주력 스케쥴이다. 주로 A320이 투입되지만 간혹가다 A321-200나 A321neo 항공기도 투입되는 경우도 있다.
[B737-900]
[A220]
[B737-900]
[B737-800]
[B737-800]
[금요일비운항]
[B737-800]
[B737-800]
[B737-8]
[42]
코로나 시기에 김포-김해 운항편수가 대폭 늘어나고, 가격이 싸진 이유는 항공사, 특히
저비용 항공사의 수익구조와도 연관이 있다. 항공사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겠으나, 항공사의 원가를 살펴보면 약 1/3 정도가 유류대금이고 그 외의 비용 중 상당수는 고정비이다. 예컨대 항공기는 세워만 둬도 공항 주기료, 부품 유지비 등으로 막대한 돈이 지출되고, 임직원들에게도 기본적인 급여는 지급해야 한다. 저비용 항공사의 경우 거기다가 거의 모든 항공기를
리스, 즉 임대하여 쓰기 때문에 리스비까지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저비용 항공사 입장에서는 그렇게 놀려만 둬도 손해를 볼 바에는 저렴한 값에라도 운행을 해서 적자폭을 최대한 줄이는게 낫기 때문에 국내선 중에서 그나마 수요가 있는 김포-김해 노선의 운항을 대폭 늘리고 표값도 저렴하게 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