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경찰청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54a6 {{{#!wiki style="margin: -6px -1px;" |
|
||||||
경무국장 (1945~1946) | 경무부장 (1946~1949) | ||||||
초대 로렌스 M. 쉬크 |
제2대 아더 참피니 |
제3대 윌리엄 매글린 |
제4대 조병옥 |
초대 조병옥 |
||<-5><tablebgcolor=#ffffff,#1f2023><tablewidth=100%><bgcolor=#ffcb05> 내무부 치안국장 (1949~1974) ||
초대 이호 |
2대 김태선 |
3대 장석윤 |
4대 김태선 |
5대 이익흥 |
|
6대 홍순봉 |
7대 윤우경 |
8대 문봉제 |
9대 이성주 |
10대 김장흥 |
|
11대 김종원 |
12대 서정학 |
13대 이성우 |
14대 이강학 |
15대 조인구 |
|
16대 강서룡 |
17대 박주식 |
18대 조흥만 |
19대 이소동 |
20대 박태원 |
|
21대 박영수 |
22대 한옥신 |
23대 채원식 |
24대 박영수 |
25대 최두열 |
|
26대 정상천 |
27대 장동식 |
28대 정석모 |
29대 최석원 |
30대 박현식 |
||<-6><tablebgcolor=#ffffff,#1f2023><tablewidth=100%><bgcolor=#ffcb05> 내무부 치안본부장 (1974~1991) ||
초대 박현식 |
2대 장일훈 |
3대 김성주 |
4대 손달용 |
5대 염보현 |
|
6대 유흥수 |
7대 안응모 |
8대 이해구 |
9대 박배근 |
10대 강민창 |
|
11대 이영창 |
12대 권복경 |
13대 조종석 |
14대 김우현 |
15대 이종국 |
||<-6><tablebgcolor=#ffffff,#1f2023><tablewidth=100%><bgcolor=#ffcb05> 경찰청장 (1991~현재) ||
}}}}}}}}}}}} ||
초대 김원환 |
2대 이인섭 |
3대 김효은 |
4대 김화남 |
5대 박일용 |
|
6대 황용하 |
7대 김세옥 |
8대 김광식 |
9대 이무영 |
10대 이팔호 |
|
11대 최기문 |
12대 허준영 |
13대 이택순 |
14대 어청수 |
15대 강희락 |
|
16대 조현오 |
17대 김기용 |
18대 이성한 |
19대 강신명 |
20대 이철성 |
|
21대 민갑룡 |
22대 김창룡 |
23대 윤희근 |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30대 이용표 |
→ |
31대 김창룡 |
→ |
32대 진정무 |
}}} |
대한민국 제22대 경찰청장 김창룡 金昌龍 | Kim Chang-ryong |
|
|
|
<colbgcolor=#0054a6><colcolor=#fff> 본관 | 경주 김씨[1] |
출생 | 1964년 11월 18일 ([age(1964-11-18)]세) |
경상남도 합천군 쌍백면 안계리 월계마을[2] | |
학력 |
가야고등학교 (
졸업) 경찰대학 (4기 / 학사) |
재임기간 | 제22대 경찰청장 |
2020년 7월 24일 ~ 2022년 7월 5일 | |
경력 |
충남연기경찰서장 경찰청 정보1과장 서울은평경찰서장 경찰대학 학생과장 서울지방경찰청 여성청소년과장 경남지방경찰청 제1부장 주미대사관 주재관 경찰청 생활안전국장 경남지방경찰청장 부산지방경찰청장 제22대 경찰청장 ( 문재인 정부) |
병역 | 전환복무 만기전역[3]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경찰공무원. 부산지방경찰청장으로 재임하던 2020년 6월 23일,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민갑룡 경찰청장의 후임 경찰청장으로 내정되었고 7월 24일 취임하였다.2. 생애
1964년 경상남도 합천군 쌍백면 안계리 월계마을에서 태어났다. 부산 가야고등학교, 경찰대학 법학과(4기)를 졸업하였다.경찰대를 졸업한 1988년 경위로 임용되었고 이후 경위에서 치안총감(현재)까지 올랐다.
간부 계급인 총경 때는 부산지방경찰청 외사과장, 충남연기서장, 서울은평서장, 경찰청 정보1과장, 경찰대학 학생과장, 서울지방경찰청 여성청소년과장을 거쳤다.
2014년 12월에는 경무관으로 승진하여 경남지방경찰청 제1부장, 주미대사관(워싱턴) 주재관을 역임하였다.
2017년 12월부터는 치안감으로 승진하여 경찰청 생활안전국장(17.12~18.12), 경남지방경찰청장(18.12~19.07)으로 재임하였다.
2019년 7월, 경찰 정기인사에서 치안정감으로 승진하여 부산지방경찰청장으로 영전하였다.
민갑룡 경찰청장 뒤를 이을 후임 청장 후보군으로 고려되었고 장하연 경찰청 차장, 이용표 서울청장과 함께 선두주자로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참여정부 시절 문재인 당시 시민수석과 행정관으로 같이 근무했던 것이 강점이었다.
2020년 6월, 경찰청장으로 내정되었다. 7월 20일,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인사청문회가 개최되었는데[4] 야당 미래통합당 청문위원 측에서는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사망 사건 및 그에 제반된 박원순 성추행 사건, 오거돈 성추행 사건 등에 대한 문제를 주요 초점으로 다뤘으며 이에 반해 여당 더불어민주당 청문위원 측에서는 공수처 설치, n번방 성착취물 제작 및 유포 사건, 손정우 범죄인 인도 요청 기각, 경주시청 트라이애슬론 팀 집단 가혹행위 사건 등이 주요 청문 의제가 되었다. # 이외에도 민주당 측에서는 교통안전 등 경찰 업무 전반 사항이 의제가 되기도 했다.
청문회 직후, 여야 합의로 인사청문경과보고서가 채택되었다. # 전반적으로 여야 공방보다는 현안 관련 질의·답변이 이어지며 무난했다는 평.
2020년 7월 24일, 전임 민갑룡 청장의 뒤를 이어 공식적으로 제22대 경찰청장에 취임했다. # 취임사에서 경찰개혁을 강조하며 존경과 사랑받는 경찰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2009년 강희락 경찰청장 이후 12년 만에 독도를 방문하였다. 대통령이나 국무총리, 장관급도 아니고 차관급에 불과한 경찰청장이 독도를 방문한 상황에서 일본은 격분하며 한미일 공동회견도 불참하고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과 기시다 총리가 유감을 표명하는 촌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또 자민당에서 대한국정책검토회를 만들게 된 계기가 된다. #
2022년 6월 27일, 사의를 표명했다. # 같은 해 7월 5일 면직안이 수리되었다. #
3. 경력
- 1988. 4. ~ 1988. 7. 치안본부 경무과( 경위)
- 1988. 7. ~ 1989. 7. 서울경찰국 제105전경대
- 1989. 7. ~ 1990. 7. 서울경찰국 제1기동대
- 1990. 7. ~ 1991. 7. 서울청량리경찰서 정보1계
- 1991. 7. ~ 1992. 1. 서울청량리경찰서 청량리2파출소장
- 1992. 1. ~ 1992. 1. 서울청량리경찰서 외사계장
- 1992. 1. ~ 1992. 1. 경남마산동부경찰서 방범순찰대장 (직무대리)
- 1992. 1. ~ 1993. 2. 경남 마산동부경찰서 방범순찰대장( 경감)
- 1993. 2. ~ 1993. 8. 경남장승포경찰서 방범과장
- 1993. 8. ~ 1993. 11. 경남장승포경찰서 (경찰청 경무국 경무과(경찰사편찬요원) 업무지원)
- 1993. 11. ~ 1994. 5. 경찰청 경무과
- 1994. 5. ~ 1994. 7. 서울 송파경찰서 경비계장
- 1994. 7. ~ 1997. 2. 경찰청 정보2과
- 1997. 2. ~ 1998. 3. 경찰청 수사과
- 1998. 4. ~ 1998. 4. 경기성남중부경찰서 경비과장(직무대리)
- 1998. 4. ~ 1999. 2. 경기성남중부경찰서 경비과장( 경정)
- 1999. 2. ~ 2000. 1. 서울기동단 행정과장
- 2000. 1. ~ 2001. 1. 서울남대문경찰서 청문감사관
- 2001. 1. ~ 2003. 4. 서울노원경찰서 정보보안과장
- 2003. 4. ~ 2003. 5. 서울지방경찰청 정보관리부 정보1과
- 2003. 5. ~ 2005. 6. 서울지방경찰청 정보관리부 정보1과(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실 파견)
- 2005. 6. ~ 2006. 3. 서울지방경찰청 정보1과(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실 파견)
- 2006. 3. ~ 2006. 4. 서울지방경찰청 경무과(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실 파견)
- 2006. 4. ~ 2006. 7. 서울지방경찰청 경무과(치안정책과정교육)
- 2006. 7. ~ 2006. 12. 부산지방경찰청 외사과장(직무대리)
- 2006. 12. ~ 2007. 1. 부산지방경찰청청 외사과장( 총경)
- 2007. 1. ~ 2008. 3. 충남연기경찰서장
- 2008. 3. ~ 2008. 12. 경찰청 정보1과장
- 2008. 12. ~ 2009. 2. 경찰청 운영지원과
- 2009. 2. ~ 2009. 2. 경찰청 외사기획과
- 2009. 2. ~ 2012. 2. 주 상파울루총영사관(주재관)
- 2012. 2. ~ 2012. 2. 경찰청 외사기획과
- 2012. 2. ~ 2012. 5. 경찰청 경무과(경찰청 인권보호담당관실 업무지원)
- 2012. 5. ~ 2012. 5. 경찰청 경무과(경찰청 경찰쇄신추진단 업무지원)
- 2012. 5. ~ 2013. 7. 서울은평경찰서장
- 2013. 7. ~ 2014. 1. 경찰대학 학생지도부 학생과장
- 2014. 1. ~ 2014. 12. 서울지방경찰청 생활안전부 여성청소년과장
- 2014. 12. ~ 2015. 7. 경남지방경찰청 1부장( 경무관)
- 2015. 7. ~ 2015. 7. 경찰청 외사국 외사기획과
- 2015. 7. ~ 2018. 2. 주 미합중국대한민국대사관
- 2018. 2. ~ 2018. 3. 경찰청 생활안전국장
- 2018. 3. ~ 2018. 12. 경찰청 생활안전국장( 치안감)
- 2018. 12. ~ 2019. 7. 경남지방경찰청장
- 2019. 7. ~ 2020.7 부산지방경찰청장( 치안정감)
- 2020. 7. ~ 2022. 7. 경찰청장( 치안총감)
4. 기타
- 전후임 경남지방경찰청장과 부산지방경찰청장이 모두 동일인물인데, 양쪽 모두 전임자는 이용표 전 치안정감이었으며, 후임자는 진정무 전 치안정감이었다.
- 대한민국 경찰청 사상 최초로 수도권 지역 지방경찰청장 이력 없이 비수도권 지역 지방경찰청장 이력만 가진 경찰청장이다.
- 정인이 사건 때 양천경찰서에서 제대로 조치하지 않아 아이가 사망한 것에 대해 대국민 사과를 했다.
- 여성 경찰관의 적극 기용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가진 경찰청장으로 알려져 있다. 여경의 당직근무 불가방침에 대한 항의에 "여경의 내근 근무 비율에 상대적으로 여경에게 강도가 강한 외근 근무 또한 동일 급여를 받는 현실 속에서 각자 맡은 바의 역할이 다르므로 차별이 아니다" 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