記 기록할 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言,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キ
|
||||||
일본어 훈독
|
しる-す
|
||||||
记
|
|||||||
표준 중국어
|
j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記는 '기록할 기'라는 한자로, ' 기록(記錄)하다', ' 기억(記憶)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기록하다 |
음 | 기 | |
중국어 | 표준어 | jì |
광동어 | gei3 | |
객가어 | ki | |
민북어 | gi̿ | |
민동어 | gé | |
민남어 | kì | |
오어 | ji (T2) | |
일본어 | 음독 | キ |
훈독 | しる-す | |
베트남어 | ký |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己(몸 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죽간이나 종이 따위에 말을 적다'라는 뜻을 가지며, 이외에 파생된 뜻으로 '기억하다', '기록한 내용물' 등이 있다.
홍콩에서는 접미어로 사용시, ~표 혹은 ~의 식당 및 가게/기업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1]
3. 용례
3.1. 단어
- 기념(記 念)[2]
- 기록(記 錄)
- 기사(記 事/記 寫)
- 기수법(記 數 法)
- 기술(記 述)
- 기억(記 憶)
- 기억력(記憶 力)
- 기자(記 者)
- 기호(記 號)
- 등기( 登記)
- 부기( 簿記)
- 사기(事記/ 仕記/ 私記)
- 서기( 書記)
- 속기( 速記)
- 암기( 暗記)
- 연대기( 年 代記)
- 일기(日記)
- 전기( 傳記/ 前記)
- 중성기( 中 星記)
- 표기( 表記/ 標記)
- 필기( 筆記)
3.2. 고사성어/ 숙어
- 대서특기(大書特記)
- 박람강기(博覽强記)
- 박문강기(博聞强記)
3.3. 인명
- 강묵기( 康 默記)
- 사이토 코키( 齋 藤 綱記)
- 소에지마 시게노리( 副 島 成記)
- 시키자키 키키( 四 季 崎 記 紀)
- 오와리 노리코( 尾 張 記 子)
- 이기제( 李記 帝)
- 호소에 잇키( 細 江 逸記)
- 하이지마 이누키( 拝 島 去記)
- 히비노 노리코( 日 比 野 記 子)
3.4. 지명
3.5. 창작물
- 가대인시탕시일기(家大人侍湯時日記)
- 가정경술일기(嘉靖庚戌日記)
- 고사기(古事記)
- 난중일기(亂中日記)
- 남정일기(南征日記)
- 내전기(內戰記)
- 동명일기(東溟日記)
- 병자일기(丙子日記)
- 사기(史記)
- 삼국사기(三國史記)
- 서유기(西遊記)
- 석가여래성도기(釋迦如來成道記)
- 수신기(搜神記)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열하일기(熱河日記)
- 예기(禮記)
- 일기청등록(日記廳謄錄)
- 전원일기( 田 園 日記)
- 치우천왕기(蚩尤天王記)
- 태평광기(太平廣記)
- 태평광기상절(太平廣記詳節)
- 화랑세기(花郞世記)
- 환단고기(桓檀古記)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忋(믿을 개)
- 杞(구기자 기)
- 屺(민동산 기)
- 魢(벵에돔 기)
- 紀(벼리 기)
- 玘(패옥 기)
- 䄫(흰 차조 기)
- 配(나눌/짝 배)
- 圮(무너질 비)
- 妃(왕비 비)
- 𨥈(쇳덩어리 사)
- 𢀶
- 𠯇
- 𢩵
- 𣲆
- 𣅗
- 𥐦
- 𨊲
- 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