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3:59:46

광주 버스 좌석02

{{{#!wiki style="margin:-10px auto"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0>
광주광역시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광주광역시의 수요응답형버스|
수요응답
]]
순환01-A/B 좌석02 수완03
매월06 진월07 첨단09
파일:RP02_UC.jpg
파일:JS02_UC.jpg
라정시내버스 차량 현대교통 차량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요금표4.2. 노선
5. 사건사고6. 연계 철도역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급행좌석버스 좌석0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20231024 좌석02번 노선도.png
기점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종점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종점
첫차 05:40 기점
첫차 05:40
막차 22:10 막차 22:10
평일배차 5~20분 주말배차 16~24분
운수사명 대창운수, 대원시내버스, 대진운수, 동화운수, 라정시내버스, 삼아교통, 삼원운수, 세영운수, 을로운수, 현대교통 인가대수 22대[1][2]
노선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학동증심사입구역 - 조선대병원 - 조선대공과대학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대인시장(서) - 광주역 - 전남대사거리(서) - 광천치안센터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시청 - 한국은행 - 한국국토정보공사 - 한국수자원공사 - 5.18자유공원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공항역 - 송정공원역 - 영광통 - 광주송정역 - 도산역 - 동곡 - 건재로 - 본덕IC - 빛가람장성로 - 석전교차로 - 전력거래소 - 한전KDN - 빛가람동행정복지센터 - 우정사업정보센터 - 매성고등학교 - 부영3단지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2. 개요

2015년 개통한 광주광역시 급행좌석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좌석버스 노선으로는 2006년 개편으로 사라진 이후 9년 만에 처음으로 개통한 노선이다.

3. 역사

  • 2015년 8월 27일에 22대로 증차되면서 평일 174회, 공휴일 148회로 운행 횟수가 늘어났다.
  • 2015년 11월 28일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로 드디어 연장되었다. 관련 기사 관련 게시물 한편 동시에 연장 요구가 있었던 당시 광신고속 1160번은 노선 연장이 반려되었다고 한다. 연장 구간 내 정류장은 동곡, 문화예술위원회(상행)/한전KDN(하행), 호수공원(상행)/빛가람행정복지센터(하행), 국립전파연구원(상행)/우정사업정보센터(하행), 정류장 이름이 정해지지 않은 임시 정류장 세 곳까지 총 10곳이다.[7] 노선이 연장된 만큼 운행 횟수 역시 평일 157회, 공휴일 115회로 줄어들었다.
  • 2016년 2월 21일부터 당초 조선대학교 해오름관이었던 노선 기점이 월남공영차고지로 바뀌면서, 조선대는 장미원까지만 진입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파일:광주 좌석02 노선도(신).png }}}

4. 특징

  • 일요일 한정으로 심야버스를 운행했다. 단, 운행했었을 당시에는 일부 어플에선 토요일에도 다닌다고 나오는 오류가 있었다. 심야버스는 총 3회 운행하며, 에너지공대 방향으로 1회(23:15), 증심사 방향으로 2회(22:56, 23:59) 운행했으며 에너지공대행이 기점에서 출발해 광주송정역에 도착하는 데에는 약 1시간이 걸렸고, 증심사행이 광주송정역에 도착하는데는 약 20분이 소요됐다. 또한 일요일 기준으로 에너지공대행 23:15 막차는 광주송정역에서 24:30까지 대기 후 출발하였고, 증심사행 22:56 차량은 광주송정역에서 23:13까지 대기 후, 23:59 차량은 24:30까지 대기 후 출발했다.[10][11] 그러나 차량 내부 안내문에 의하면 저조한 수요로 인해 2024년 들어서 23:59(증심사행)이 운행 종료함에 이어 1월 21일부로 심야 지원운행이 폐지될 예정이라고 못박은 상태다. 만약 실제로 심야버스가 폐지되면 요일 무관 22:10에 막차가 떠나는 이야기가 되며 결국 1월 21일 부로 심야운행이 폐지되었다. 따라서 일요일이여도 22:10에 막차가 출발한다.
  • 요금은 현금 기준 1,800원으로 일반 요금인 1,400원에 비해 비싸다.[13] 나주시 빛가람동으로 연장되면서 시계외요금을 받게 되면 최대 2,150원까지 징수된다. 에너지공대 방면으로 갈 때는 동곡 정류장을 지나면 시계외요금이 붙으며, 혁신도시 진입 후 정류장마다 추가요금이 최소 250원에서 700원까지 부과되며 하차시 하차 단말기에 카드를 태그하거나 추가로 현금을 내야 한다. 에너지공대에서 광주광역시 방향은 교통카드 단말기가 처음부터 시외요금으로 설정돼 있어 시계외요금이 부과되니 요금이 더 많이 부과된다고 오해하지 말자.[14]
  • 빛가람동으로 연장되기 전까지는 공기수송을 면치 못하던 상태로, 아침 출근 및 등교 시간 한정으로 가축수송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15] 빛가람동 연장 이후에는 빛가람동 ~ 광주 수요가 많은 편으로, 혁신도시 이전기관 근로자들이 수도권과 혁신도시 사이를 오가는 금요일 오후와 일요일 오후가 가장 붐비고, 그 외에는 번화가 수요가 있는 주말과 평일 출퇴근 시간에 특히 붐비는 편. 월남동으로 노선이 바뀐 후 운전기사의 말에 의하면 출근과 등교 시간 때 입석금지임에도 불구하고 월남동행에서만 75명을 태웠다고 한다. 좌석이 41개임을 감안하면 34명이 입석으로 탔다는 셈. 연장 및 노선 변경으로 현재는 승객이 꽤나 많아진 편으로, 광주광역시에서는 심야라고 볼 수 있는 저녁 9시~10시 이후에도 에너지공대행과 증심사행이 골고루 승객이 있다. 가장 붐비는 구간은 혁신도시 ~ 광주송정역 ~ 유스퀘어 구간이다. 배차간격도 준수한 편이라 평일 출근 시간대에 혁신도시 방향 배차가 상당히 짧아서 3분에 한 대가 오는 현상을 볼 수 있다.
  • 신설 초기에는 시내 구간만 운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잔여 좌석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는 나주시 연장을 대비한 것인데, 연장 경로 가운데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된 49번 지방도 중 일부가 입석금지가 적용되는 구간이기 때문이다. 승차 시 교통카드를 태그하면 잔여 좌석이 차감되고, 하차 시 교통카드를 태그하면 잔여 좌석이 오른다. 문제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요금이 단일요금제라 환승할 게 아니면 하차 단말기에 찍지 않고 그냥 내리는 승객들이 많기 때문에 잔여 좌석 정보가 틀린 경우가 많다. 물론 대부분 노선이 시내권이다 보니 잔여 좌석을 보고 타는 승객은 거의 없다. 어차피 뒷문이 없어 한 문으로만 승하차를 하기 때문에 내리는 사람이 있으면 타면 된다.
  • 교통카드 태그 시 특히 주의해야 한다. 좌석버스 구조상 앞문으로 승하차가 이뤄지기 때문에 하차 단말기도 앞문에 설치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슷한 곳에 승하차단말기가 모두 설치돼 있어 내릴 때도 승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승객이 가끔 있다. 수도권 시내버스와 다르게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는 승차 단말기에서 하차 처리가 불가능하며, 마찬가지로 하차 단말기로 승차요금 지불이 불가능하다.[16] 하차 단말기는 맨 앞 좌석 오른쪽에 설치돼 있으며, 승객의 혼동을 막기 위해 일부 버스에는 하차 단말기에 "하차 단말기"라는 문구를 붙여놓았다.
  • 좌석버스이기에 좌석마다 안전벨트가 설치돼 있다. 입석 금지 구간인 49번 지방도에선 입석 금지뿐만 아니라 안전벨트도 착용해야 한다.
  • 개통 당시부터 2023년 1월까지는 광주송정역에서부터 혁신도시까지 가는 1160번이 일반 시내버스 요금을 받고 있어[17] 혁신도시까지 연장되어도 공기수송으로 다닐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뚜껑을 열어 보니 1160번은 배차간격이 평균 38분으로 지나치게 길고[18] 상무지구, 광주종합버스터미널, 충장로 등 혁신도시에서 갈 만한 거리에 있는 번화가로 들어가지 못하여 실제로 좌석02번에 주는 영향이 그리 크지 않았다. 게다가 2023년 2월 나주시 시내버스 요금 인상으로 혁신도시~광주송정역 구간에서 교통카드 기준으로 광주 ~ 혁신도시 구간 요금이 좌석02번은 1,950 ~ 2,400원, 1160번은 2,000원으로 절반 정도의 정류장에서 좌석02번과 비슷하거나 더 비싸졌고, 이는 2023년 개편 이후 161번도 비슷하다. 게다가 161번은 한빛로를 추가로 경유하게 됐지만 그 대신 1160번이 가지고 있던 그린로 연선 아파트 단지 경유라는 장점마저 갖다버렸다! 따라서 광주송정역에서 혁신도시로 들어갈 때에는 시간이 맞고 목적지가 한빛로, 우정로, 호수로 연선일 때만 161번이 유용하고, 그 외 대부분 장소와 시간대에는 빛가람로~혁신로만 경유하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배차간격이 짧은 좌석02번이 압도적으로 편리하다.
  • 나주혁신도시 내부에 조성된 아파트 단지 중 부영3단지를 제외한 대다수 단지를 지나가지 않는 취약점이 있다.[19] 그래도 혁신도시에서 광주종합버스터미널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라서 자차가 없으면 좌석02번을 타는 수밖에는 없다.[20] 다만 중흥2차는 한빛1교 정류장에서 간접적으로나마 지나가며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와 가까이 위치한 LH4, 5, 6단지, 루멘하임(구 부영1단지) 아파트의 경우에는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나 부영3단지까지 걸어가서[21] 버스를 이용할 수 있어 다른 단지보다는 편리한 편이다.
  •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나주시 동부 읍면 지역, 즉 남평읍과 금천, 산포, 봉황, 다도면에서도 나주 시내로 뺑 돌 필요 없이 좌석02번으로 한 번만 갈아타면 바로 광주송정역 광주공항, 유스퀘어, 광주역으로 갈 수 있게 되었다.[22] 각 읍면별 환승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남평읍: 북부에서는 997번을 타고 우정사업정보센터에서 환승 혹은 998번을 타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환승, 중부에서는 300번을 타고 통정길에서 내려서 부영3단지까지 도보
    • 산포면: 북부에서는 997번을 타고 우정사업정보센터에서 환승 혹은 998번을 타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환승, 중부에서는 300번을 타고 통정길에서 내려서 부영3단지까지 도보, 남부에서는 700번을 타고 부영3단지에서 환승
    • 금천면: 북부에서는 302번을 타고 한빛1교에서 환승, 중부에서는 7000번, 7001번, 7002번, 700번, 701번, 997번, 998번을 타고 전력거래소/한국농어촌공사에서 내려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전력거래소(KPX)까지 도보, 남부에서는 301번을 타고 부영3단지에서 환승
    • 봉황면, 다도면: 402번을 타고 한전KDN/한국문화예술위원회, 또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전력거래소(KPX)에서 환승
  • 예비차량이 없기 때문에 평일에는 차량 고장/사고/점검 때 대체 차량 투입이 불가능하여 필연적으로 감차 운행을 해야 한다. 다른 노선들은 각 회사의 예비차량을 투입할 수 있지만, 광주에 유니시티 예비차는 없기 때문. 그러나, 2021년 경에 삼원운수 측에서 예비차를 투입한 적이 있었다.
  • 일부 좌석버스가 아트버스로 운행 중이다.
  • 월남동 연장 이전에는 화순 사평리에서 출발하여 광천동 대원시내버스 본사까지 가는 228번[23]이 최장 거리 노선이었으나, 월남동 연장 이후로는 41.6km라는 기록을 달성하게 되면서 228번의 최장 거리 노선 타이틀을 가져왔다. 그러나 둘 다 노선 개편으로 인해 타이틀을 또 뺏겼다. 임곡89번이 광천동 회차지 문제로 인해서 덕흥동으로 연장되었는데, 운행 거리가 편도 42km, 왕복 84km가 되었다.[24][25]
  • 좌석02번의 경우 아직까진 승객 이용객 수 정보가 없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개통에 대비해 광주광역시에서 교통 데이터 자료 연구 용역을 새로 입찰할 계획이라고 한다.
  • 문화전당 일대에 행사가 있어 우회할 경우, 대인시장(서) ~ 전남여고 ~ 동구청 ~ 서남동행정복지센터로 우회한다.
  • 혁신도시 ~ 광주송정역, 광주종합버스터미널 구간까지는 자리를 많이 채우지만, 그 다음부터는 공기수송까지는 아니더라도 많이 이용하지 않는다. 이는 광주광역시 구간으로만 보면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문화전당역까지 이동하는데 전남대사거리나 광주역을 거쳐 우회하는 노선 선형 때문에 더 빨리 이동하고 더 저렴한 다른 시내버스 노선이 충분히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비싼 요금의 좌석버스를 이용할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주 혁신도시 주민들 입장에서는 혁신도시에서 광주의 주요 지점을 고급 차량으로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는 데다,[26] 광주-전남 광역 환승 시스템상 나주 노선(161번, 997번, 998번 등)을 이용한 뒤 광주 시내버스 및 광주 도시철도로 갈아탈 시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데, 이 노선은 광주 시내버스라 추가 요금이 없기 때문에 혁신도시에서 광주시내 진입 시에 어느 정도 경쟁력이 있는 노선이다. 한때는 환승은 안 돼도 차급이 유니버스 럭셔리로 훨씬 높은 공항버스 1000번의 노선 대부분이 겹치면서 열세에 놓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결정적으로 환승할인이 되지 않는 문제로 인해서 1000번은 폐선되었다.
  • 현재 광주광역시 급행버스(급행간선도 포함) 중에서 전라남도( 나주시) 땅을 밟는, 즉 광주 시외로 나가는 유일한 노선이다.[27]
  • 공군부대입구 정류장을 지나지만 정차하지는 않으므로 휴가, 전역 시 유스퀘어로 가려는 장병은 공군부대입구에 정차하는 다른 버스[목록][29]를 먼저 타고 좌석02번을 포함한 다른 버스로 환승하거나, 도산역까지 걸어가서 좌석02번을 타야 한다. 보통 통합생활관에서 사는 외지 출신 장병들 대상으로 부대 선임들이 도산역까지 가서 좌석02번을 타라고 교육한다.

4.1. 요금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중 유일한 급행좌석버스 노선이라 광주시내 기본요금이 다른 노선에 비해 비싸며, 광주광역시~ 나주시간 이용 시에는 승하차 정류장에 따라 시계외요금이 다르다.

다른 시계외 노선들과는 다르게 나주시 내부 구간만 이용하려고 하면 탑승이 거부되기 때문에 광주광역시에서 나주시로 갈 때에는 다른 시계외 노선처럼 탈 때 기본요금만 내고 내릴 때 하차 단말기에 태그하여 시계외요금을 내지만, 나주시에서 광주광역시로 갈 때에는 목적지를 말하지 않아도 무조건 광주행 요금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그냥 교통카드만 태그하고 타면 된다.[30] 단, 현금 승차 시에는 정류장마다 요금이 다르니 양방향 모두 목적지를 말하고 기사에게 요금을 물어보고 내야 한다.
승하차 구간 현금 교통카드
일반 청소년 어린이 일반 청소년 어린이
광주시내 1,800 1,500 1,000 1,700 1,350 850
전력거래소/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50 1,600 1,100 1,950 1,450 950
문화예술위원회/한전KDN
호수공원/빛가람행정복지센터 2,150 1,650 1,150 2,050 1,500 1,000
우정사업정보센터/국립전파연구원
한빛1교 2,200 2,100
매성고[31] 2,250 1,700 1,200 2,150 1,550 1,050
부영3단지 2,400 1,800 1,300 2,300 1,650 1,150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입구 2,450 2,350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2,500 1,850 1,350 2,400 1,700 1,200

4.2. 노선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급행좌석버스 좌석02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6629 · 6630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입구
6628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입구
6627
부영3단지
6626
부영3단지
6625
매성고
6634
매성고
6448
한빛1교
6633
한빛1교
6452
국립전파연구원
6446
우정사업정보센터
6445
빛가람행정복지센터
6450
호수공원
6444
한전KDN
6451
문화예술위원회
644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622
전력거래소
6621
동곡
5017
동곡
5016
상선
5471
상선
5470
도산역
5008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도산역
5009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신동사거리
5164
신동사거리
5165
광주송정역
5159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송정역
5158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영광통
5166
영광통
5260
송정공원역
5149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송정공원역
5254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공항역
5203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공항역
5202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서창입구
2134
서창입구
2133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북)
2328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
2131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5.18자유공원
2209
5.18자유공원
2210
농협운천지점
2214
농협운천지점
2213
한국수자원공사
2239
한국수자원공사
2240
한국국토정보공사
2238
한국국토정보공사
2237
한국은행
2242
한국은행
2241
시청
2232
시청
2233
버들마을
2192
버들마을
2191
광주종합버스터미널
2002
광주종합버스터미널
2001
광천치안센터
2004
광천치안센터
2003
경신여고
4434
경신여고
4435
전남대사거리(서)
4350
전남대사거리(서)
4351
광주역
4333
광주역
4334
동부소방서
1117
동부소방서
1118
대인시장(서)
1115
대인시장(서)
1116
예술의거리입구
1127
국립아시아문화전당(구.도청)
1122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국립아시아문화전당(구.도청)
1123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서남동행정복지센터
1049
서남동행정복지센터
1050
조선대공과대학
1183
조선대공과대학
1148
조선대병원
1150
조선대병원
1149
학동증심사입구역
1152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학동증심사입구역
1151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학2마을아파트
1157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학동평화맨션
1164
학동무등파크
1163
홍림교
1168
홍림교
1167
연진회미술원
1101
연진회미술원
1100
운림중
1161
운림중
1160
성촌마을.전통문화관
1159
성촌마을.전통문화관
1158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1162
}}}}}} ||

5. 사건사고

2023년 5월 20일 해당 버스 내에서 50대 남성이 불법 촬영을 하다가 경찰에 체포되었다. 관련기사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광역시 - 근교 지역간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8f8f8f,#707070><colcolor=#fff> 나주시
장성군
담양군
화순군
217순천
217-1순천
함평군
영광군
500
}}}}}}}}} ||

파일:나주시 CI.svg 나주 - 타 시·군 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f8f8f,#707070><colcolor=#fff> 광주
광역시
영암군
함평군
화순군
}}}}}}}}} ||


[1] 평일에는 22대 중 20대로 운행하며, 공휴일에는 14대로 운행. [2] 대창운수는 4대를 투입했으며, 나머지 9개 회사는 2대씩 투입. [3] 이후 2007년 2월 8일에 폐선되면서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전 구간을 대체하였다. 시내버스 중에서는 평동역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 송정19가 대체노선이 되었으며, 좌석02번도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 ~ 도산역 구간에 한해 이 노선을 어느 정도 따라가는 형태이다. 평동역 구간은 송정96, 송정97, 송정100, 700, 나주 600번대 노선을 이용하면 된다. 다만 나주 버스의 경우 평동역에서 탑승해서 광주 안쪽으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타 광주 버스와 환승이 되지 않으며, 96, 97, 100번의 경우에도 배차간격이 엄청나게 넓은 노선들이기 때문에 이용이 불편하고, 700번은 광주송정역 바로 앞에 내려주지 않고 도산동 안쪽으로 돌기 때문에 광주송정역에 가려면 영광통에 내려 걸어야 한다. 따라서 평동역에서 지하철을 타는 것이 낫다. [4] 따라서 광주송정역에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으로 가려면 지하철을 타는 것이 가장 빠르고 편안하다. [5] 결국 1160번 연장은 무산되고 대신 999번 전남대학교까지 연장되었으나, 남평읍, 남광주역 등을 경유하여 크게 돌아가는 선형이고 999번의 광주 시내 구간이 정체가 심해서 혁신도시에서 전남대학교까지의 수요를 제대로 못 잡고 있으며, 2023년 들어서는 나주교통에서 적자를 이유로 광주광역시 백운광장까지 노선 단축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6] 대창운수와 세영운수는 예외적으로 두 대를 출고하여 운행하였다. [7] 이후 주변 도로나 지형지물을 따라 한빛1교, 전력로, 혁신로 정류장으로 확정되었으며, 매성고등학교 등이 개교한 뒤에도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연장 이전까지 해당 명칭이 유지되었다. [8] 파일:872d96c1-cb34-3f60-896e-fcaa5087eaf6.jpg [9] 기사에는 연장 이전 노선을 바탕으로 상행(광주 방면)은 우정로를 경유해 비교적 빠른 경로로 운행하지만 하행(한국에너지공대 방면)은 회차 구간(한빛1교~전력로~혁신로)을 경유해 한국에너지공대로 가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술하였듯이 양방향 모두 매성고등학교를 경유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10] 23:13(증심사행) 차량은 광주송정역에 22:57에 도착하는 수서발 목포행 SRT 667 열차 및 23:07에 도착하는 용산발 목포행 KTX 437 열차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24:30(양방향) 차량은 광주송정역에 00:06에 도착하는 수서발 광주송정행 SRT 619 열차 및 00:21에 도착하는 행신발 광주송정행 KTX 439 열차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대기하는 듯하다. 단, 일요일 밤에만 해당하는 이야기니 다른 날에 해당 열차를 타고 광주송정역에 도착했을 경우에는 모든 시내버스의 운행이 중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택시나 자차를 이용해야 하고, KTX 437 및 439 열차 도착 후 심야버스 출발까지 각각 6분, 9분의 여유밖에 없기 때문에 늑장부리거나 지연이라도 먹으면 놓칠 가능성이 높다. 00:42에 도착하는 수서발 광주송정행 SRT 621 열차 이용객의 경우에도 이미 심야버스가 떠난 뒤에 도착하기 때문에 택시나 자차를 이용해야 한다. [11]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광주송정역에서 요일무관 소태행 막차가 23:31, 평동행 막차는 23:55까지 있어서 SRT 667 및 KTX 437 열차 이용객은 지하철을 이용할 수도 있다. [12] 광주송정역의 경우 현재 존재하는 광주송정역 시외버스 정류장에서 영광, 목포, 무안, 완도, 무안공항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는 있으나, 시간대가 한정되어 있고 노선망이 빈약해 별 도움은 안 되고, 광주송정역 복합환승센터 광주광역시에서 계속 추진하고는 있으나 번번이 무산되고 있어서 현재로서는 목포시 주변과 나주시를 제외한 전남 서부권 대부분 지역에서 고속철도를 이용하려면 좌석02번이나 자차에 기댈 수밖에 없다. [13] 교통카드 금액은 일반 버스(1,250원)보다 450원 비싼 1,700원이다. 교통카드로 일반 버스에서 좌석02로 환승할 경우 일반은 450원, 청소년은 380원, 어린이는 180원이 추가로 결제되며, 광역환승 시 1,150원이 추가로 결제된다. [14] 노선 인가 목적이 목적인지라 혁신도시 내부(전력거래소/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에너지공대)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승차가 거부된다. 어쨌든 이 노선은 혁신도시에서 광주로 나갈 때만 이용해야 한다. 그런데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혁신도시 내를 경유하는 999번이 그린로, 한빛로 분기 997, 998번으로 대체되고 7003번, 7004번, 우정1번, 우정2번, 그린1번, 그린2번 노선마저 모두 폐지되면서 빛가람로를 지나는 버스 노선이 거의 이 노선밖에 남지 않게 되어 버렸다. 급행01번이나 급행02번은 빛가람로를 지나긴 하나 한전KDN과 빛가람동행정복지센터 두 곳에만 정차해서 별 의미가 없다.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셔틀 노선 700번, 701번이 다녀서 좀 낫다지만 빛가람로는 전보다 못하게 되어 버린 것. [15] 환승 수요를 끌기 위해 신설되었단 것을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돌아가는 노선인데다가, 정류장이 많은 편이고 운행하는 노선이 상습 정체 구간임에도 버스전용차로도 거의 없어 사실상 일반버스와 표정속도가 별반 차이가 나지 않는다. [16] 다만 시계외 구간에서는 승차 단말기에서도 하차 처리가 가능하다. 다른 노선의 경우 추가 요금 지불 후 앞문으로 하차한다. [17] 시계외요금이 적용되어도 2,000원을 넘지 않았다. [18] 혁신도시 내를 통과해 혁신도시 밖으로 나가는 나주 버스 중 세 번째로 배차간격이 길었다. 공동 1위는 당시 7003번과 7004번. [19] 애초에 좌석02번의 혁신도시 구간 원안부터 중앙로에서 우정사업정보센터 회차였던 만큼, 대다수 아파트 주민들은 한전KDN, 빛가람동주민센터 혹은 우정사업정보센터 부근까지 나와서, 아니면 161번을 타고 광주송정역까지 가서 좌석02번으로 환승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20]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은 터미널까지 가기 불편하다. 화정역이나 농성역에 내려서 15분은 걸어야 한다. [21] LH4단지에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입구 정류장까지 도보로 약 10분, 루멘하임아파트에서 부영3단지까지도 대략 10분이 걸린다. [22] 물론 남평읍과 산포면 소재지에서는 목적지에 따라 997번, 998번, 999번을 이용해서 다른 광주 시내버스로 환승하는 것이 더 나은 곳이 많다. 광주송정역과 광주공항은 혁신도시로 와서 갈아타는 것이 가장 빠르다. [23] 이때는 동림삼익아파트가 아닌 광천동 대원시내버스 본사까지 운행했다. 현재 본사는 세하공영차고지로 이사했다. [24] 좌석02번은 조선대 내부 미경유 및 증심사로 노선을 단축했고 228번은 동림삼익아파트 ~ 화순전남대병원으로 변경하되 일부 시간 한정으로 사평까지 연장 운행한다. [25] 하지만 임곡89번도 얼마 못가서 송정99번에게 최장거리 타이틀을 넘겨주었는데, 이쪽은 편도 45.3km, 왕복 90.6km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26] 물론 충장로, 금남로나 남광주역 근처로 갈 때에는 상무대로로 바로 질러주는 161번, 혁신도시~ 남광주역을 거의 최단거리로 잇는 997번, 998번, 광주송정역에서 환승이 되고 도로정체와 신호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등에 밀려 많이 이용하지 않는 편. 비싼 요금 때문에 다른 대체제가 없거나 있더라도 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혁신도시~ 광주송정역~ 유스퀘어 정도가 수요가 있다. [27] 2017년 광주 시내버스 개편 송정19번도 나주터미널까지 연장될 계획이었지만, 도산동까지만 운행하게 되었다. [목록] 송정19, 첨단40, 지원45, 송암73, 임곡90, 송정99, 송정100, 선운101, 160, 161 [29] 160번과 161번은 나주시 시내버스인데, 나주 버스 이용 시 광주광역시 관내에서 다른 버스로 무료 환승이 불가능하므로 목적지가 160, 161번 연선이 아닌 이상 다른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특히 송정19번은 160, 161번과 광주 내 선형이 95% 이상 일치하므로 대체 노선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30] 이 경우 광주광역시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는 것이 아닌 이상 하차태그를 하지 않아도 되긴 하지만, 모든 시내버스 하차 시에는 되도록 하차태그를 하는 것이 낫다. [31] 舊 전력로 정류장 [32]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정류장에서 하차후 도보이동 [33] 예술의거리입구 정류장에서 하차. 단, 나주혁신도시행 버스에 한하여 정차. [34] 농협운천지점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