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 | ||
녹동 방면
상 무 ← 0.7 km |
1호선 (114) |
|
역명 표기 | ||
1호선 |
김대중컨벤션센터 Kim Daejung Convention Center [ruby(金大中, ruby=キム・デジュン)]コンベンションセンター |
|
주소 |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지하705 ( 마륵동 170-40) | ||
운영 기관 | ||
1호선 | 광주교통공사 | |
개업일 | ||
1호선 | 2008년 4월 11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clearfix]
1. 개요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14번.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지하705 [1]에 위치해 있다. 이 역부터 평동역까지를 이 역에서 관할한다.2. 역 정보
대합실 |
대한민국 도시철도 중에서 유일하게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의 이름이 들어간 역이라 개통 당시 적잖은 관심을 받았다.[5] 이것이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전라도에는 김대중역, 김대중공항이 있다’라는 식으로 정치적 목적으로 와전되기도 했는데, 실상은 인근에 위치한 대형 전시장 이름을 역명으로 채택한 것[6]이고 마침 그 전시장 이름에 김대중 前 대통령의 이름이 있었을 뿐이다. 참고로 사람 이름을 딴 역으로는 경춘선 김유정역[7], 용인 에버라인의 김량장역[8]이 있다. 강감찬을 부역명으로 가진 낙성대역도 있다. 수로왕릉역이나 세종대왕릉역과 같이 국사 속 왕의 이름이 들어간 역도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이 등장하기 전까지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함께 가장 이름이 긴 역[9]이었으나,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한글로는 10자, 로마자로는 40자)이 등장했으므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도 밀렸다.
JUC 페스티벌이 열리면 코스프레 복장을 한 코스어들이 역에 등장하는 진풍경을 볼수 있다.[10]
2.1. 승강장
승강장 |
역 안내도 |
상무 ↑ | |||
하 | ㅣ | ㅣ | 상 |
↓ 공항 |
상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상무· 농성· 금남로4가· 녹동 방면 |
하 | 공항· 송정공원· 광주송정· 평동 방면 |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 시설물은 500미터 떨어진 김대중컨벤션센터와 몇몇 단독주택, 5.18 기념공원과 상무시민공원 및 조각공원, 결혼식장, 광주를 대표하는 호텔 중 하나인 홀리데이 인 호텔 등이 있으나, 지하철 연계가 그다지 좋지 않아 주말이면 결혼식이나 공원, 김대중컨벤션센터에 방문한 차량들로 혼잡하기도 하다.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9088><bgcolor=#009088> 연도 ||
||<bgcolor=#009088> 비고 ||
2008년 ~ 2015년 |
자료없음 | |
2016년 | 2,268명 | |
2017년 | 2,239명 | |
2018년 | 2,210명 | |
2019년 | 2,388명 | |
2020년 | 1,604명 | |
2021년 | 1,876명 | |
2022년 | 2,333명 | |
2023년 | 2,469명 | |
출처 | ||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 역명 그대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제일 가까운 역이다. 그러나 역에서 도보로 접근하기에는 은근히 떨어져 있다. 게다가 광주 1호선이 커버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고 광주광역시 버스망이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컨벤션센터 철도분담률은 높은 편은 아니다.
- 상무지구를 끼고 있지만 서쪽 끝자락에 붙어있어 상무지구 이용객을 끌어오는 데 상당한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상무지구를 낀 세 역[11] 중에서 승하차량이 제일 낮다. 게다가 남쪽으로는 아무런 시설이 없고 논밭 뿐이다. 다만 탄약고와 광주공항 문제로 개발이 막혀 그렇게 된 것이니, 이전하고 개발하는 계획이 마무리되면 이용객 수가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5. 연계 교통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2131) | ||
급행버스 | 순환01, 좌석02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순환01 | |
세하공영차고지 - 남광주역 - 전남대사거리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시청 - 세하공영차고지 | ||
좌석02 |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광주송정역 - 한국에너지공과대학 |
간선버스 | 송정19, 일곡38, 운림50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송정19 | |
도산동 - 광주송정역 - 전남대동문 - 장등공영차고지 | ||
일곡38 | ||
살레시오고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시청 - 송산유원지 | ||
운림50 | ||
세하공영차고지 - 염주맨션 - 라인효친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지선버스 | 첨단20, 상무62, 상무64, 대촌69, 송암73, 대촌270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첨단20 | |
첨단공영차고지 - 광주우편집중국 - 흑석사거리 - 광주월드컵경기장 | ||
상무62 | ||
상무조각공원 - 동천마을3단지 - 영광통 - 상무조각공원 | ||
상무64 | ||
세하공영차고지 - 시청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전남대학교 - 비엔날레전시관 | ||
대촌69 | ||
칠석 - 서창동주민센터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양동시장역 | ||
송암73 | ||
도산동 - 상무역 - 백운광장 - 서광주역 | ||
대촌270 | ||
매월공영차고지 - 운천저수지 - 서창동주민센터- 구소 |
나주버스 | 160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160 | |
영산포공용터미널 - 광주송정역 - 서구청 - 전남대동문 - 문흥동 |
함평버스 | 500번대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500 |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영광통 - 삼도 - 월야 - 함평 |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2132) | ||
간선버스 | 송정19, 운림50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송정19 | |
도산동 - 양동시장역 - 전남대동문 - 장등공영차고지 | ||
운림50 | ||
세하공영차고지 - 염주맨션 - 라인효친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지선버스 | 첨단20, 상무62, 대촌69, 송암73, 대촌270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첨단20 | |
첨단공영차고지 - 광주우편집중국 - 흑석사거리 - 광주월드컵경기장 | ||
상무62 | ||
상무조각공원 - 동천마을3단지 - 영광통 - 상무조각공원 | ||
대촌69 | ||
칠석 - 서창동행정복지센터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양동시장역 | ||
송암73 | ||
도산동 - 상무역 - 백운광장 - 서광주역 | ||
대촌270 | ||
매월공영차고지 - 운천저수지 - 서창동행정복지센터- 구소 |
나주버스 | 160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160 | |
영산포공용터미널 - 광주송정역 - 서구청 - 전남대후문 - 문흥동 |
함평버스 | 500번대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500 |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영광통 - 삼도 - 월야 - 함평 |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북)(2328) | ||
급행버스 | 순환01, 좌석02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순환01 | |
세하공영차고지 - 남광주역 - 전남대사거리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시청 - 세하공영차고지 | ||
좌석02 |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광주송정역 - 한국에너지공과대학 |
간선버스 | 일곡38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일곡38 | |
살레시오고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시청 - 송산유원지 |
지선버스 | 상무64 | |
{{{#!folding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 상무64 | |
세하공영차고지 - 시청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전남대학교 - 비엔날레전시관 |
6. 기타
- 이 역과 공항역 사이의 역간거리는 2.9km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구간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먼 구간이다.[12] 단, 역간 소요시간이 가장 긴 구간은 아니다. 소태역 - 녹동역 구간은 안 그래도 지상 구간이라 체감상 더 느리게 느껴지고 역간 거리도 먼 편인데다 이 구간에서는 정말 느린 속도로 운행하기 때문에[13] 여기가 가장 소요시간이 길다.
7. 둘러보기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녹동 -
소태 -
학동·증심사입구 -
남광주 -
문화전당 -
금남로4가 -
금남로5가 -
양동시장 -
돌고개 -
농성 -
화정 -
쌍촌 -
운천 -
상무 -
김대중컨벤션센터 -
공항 -
송정공원 -
광주송정역 -
도산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
김대중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AA7B> 일생 | 일생 | |
발언 | 행동하는 양심 · 앙망하옵니다 | ||
논란 | 논란 | ||
가족 | 아버지 김운식 · 아내 이희호 · 아들 김홍일 · 아들 김홍업 · 아들 김홍걸 | ||
정책 | 한일안보협력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햇볕정책 · 대중경제론 · 국민PC · 국립대학구조조정계획 · 2000 남북정상회담 | ||
역대 선거 | 제7대 대통령 선거 · 제13대 대통령 선거 · 제14대 대통령 선거 · 제15대 대통령 선거 | ||
사건사고 | 1964년 국회 필리버스터 · 김대중 납치 사건 ·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 김대중 직선제 반대발언 모함사건 · DJP연합 · 불법 대북송금 사건 | ||
기타 | 동교동계/ DJ키즈 · 아크로 닷컴 · DJ로드 · 남프라이즈 · 삼김시대/ 양김 · 대중경제론 · 김대중컨벤션센터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김대중평화센터 · 김대중도서관 · 김대중대교 · 청년김대중 · 별명 · 슨상님 · 앙망하옵니다 · 김대중 마이너 갤러리 · 자네가 다 먹어부렀어? · 길위에 김대중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국민의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국민의 정부 참고 |
[1]
마륵동 170-40
[2]
행정동 상의 지역명이자, 1988년 이전에는 광산군 서창면이었다. 광주 편입 이후에도
광산구에 속했다가 1995년에 서구로 편입되었다.
[3]
2005년 9월 6일 개관.
[4]
2단계 개통 전인 녹동~상무 구간만 운행하던 시절 차내 노선도와 플랫폼 노선도 등에 서창역으로 표시되어 있었으나, 개통 직전 현재의 역명이 확정된 뒤 모두 변경됐다.
[5]
개통 후
김대중 前 대통령은 이 역의 개통을 지켜본지 1년 후인 2009년 8월 18일에 세상을 떠났다.
[6]
벡스코역,
킨텍스역이 유사 사례이다.
[7]
본래 이름은 '신남역'이었으나 소재지인 신남면이 통폐합돼 사라졌고, 이에 춘천시가
김유정문학촌 조성에 발맞춰 역명 변경을 추진해 2004년 이름이 바뀌었다.
[8]
동네 이름이 '김량장동'인데, 김량장이라는 지명 자체가 역 인근의 '김량장'이라는
시장에서 따온 것이다. 그리고 김량장이라는 이름 자체가 '김량'이라는 장수가 살던 지역에서 세워진 장이라고 붙은 이름.
[9]
한글로 8자(부역명을 포함하면 10자), 로마자로 26자(부역명을 포함하면 32자). 로마자 명칭은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경성대·부경대역,
경기도청북부청사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 이어 5위.
[10]
서코행사장 주변의
학여울역,
양재시민의숲역과
부코행사장 주변의
센텀시티역과 비슷한 모습이다. 환승역인
종합운동장역(서울)도 비슷하다.
[11]
운천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상무역
[12]
그 이유는, 서구와 광산구를 가르는
영산강을 지하로 통과하고, 김대중컨벤션센터역과 공항역 사이에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13]
그래도 가속하며 높은 속도를 유지하는 공항역-김대중컨벤션센터역 구간과 달리 여기서는 아예 모터를 계속 돌리지 않고 켰다 껐다 하면서 탄력주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