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20:36:01

게임보이 미크로


6세대 콘솔 게임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가정용
드림캐스트 PS2 Xbox
휴대용
포켓몬 미니 GP32 원더스완 }}}}}}}}}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e60012><tablebgcolor=#e60012> 닌텐도
콘솔 게임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가정용
64DD · iQue 파나소닉 Q mini
휴대용
Lite XL
XL · 2DS XL · 2DS XL
하이브리드
Lite휴대용 · 개선판 · OLED
닌텐도 관련 문서 · 닌텐도 기종 목록 · 나무위키 닌텐도 프로젝트 }}}}}}}}}

파일:게임보이 미크로 로고.svg
게임보이 미크로
ゲームボーイミクロ
Game Boy micro
파일:800px-Game-Boy-Micro.jpg
<colbgcolor=#000000><colcolor=white> 개발 닌텐도 PTD
유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게임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5년 9월 13일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2005년 9월 19일
파일:중국 국기.svg 2005년 10월 1일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05년 11월 3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5년 11월 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12월 20일
판매량 파일:세계 지도.svg 294만 대
파일:일본 국기.svg 90만 대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95만 대

1. 개요2. 상세3. 판매량4. 색상

[clearfix]

1. 개요

닌텐도 DS의 발매 후에 나온 게임보이 어드밴스의 두 번째 파생형 모델이자, 게임보이 시리즈의 마지막 제품이다. 모델명은 OXY-001.

원문은 Micro. 외래어 표기법 상으로는 마이크로라고 표기하는 것이 맞으나, 일본 발음으로 표기되어 정식 출시되었기 때문에 미크로로 표기한다.

2. 상세

미크로는 그 이름에 걸맞게 손바닥보다 작은 크기[1]와 무게, 알루미늄 재질의 고급스러운 하우징이 장점이었으며, LCD도 4단으로 밝기를 조절[2]할 수 있는 백라이트를 탑재하여 밝은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십자키의 버튼감은 GBA의 것과 비슷한데, 더 개선되어 좋다는 평이 많다.

그러나 미크로는 여러 단점들이 있다. 우선 화면이 작아서[3] 장시간 게임할 경우 눈이 아플 수 있다. 게다가 이전 기종인 SP처럼 크기가 작아 밀착감이 좋지 않고, 이전에 출시된 주변 기기를 사용할 수 없어 새로운 주변 기기를 구매해야 했다. 또한 게임보이와 게임보이 컬러의 하위호환 기능이 제거되어 게임보이 어드밴스의 게임만 즐길 수 있었다.

전면 페이스 플레이트를 교환할 수 있어 게임기를 커스텀할 수 있다.[4]

유럽에서는 페이스 플레이트 두 개를 함께 동봉하여 판매하기도 하였다.

피크민 4의 보물로도 등장했다.

3. 판매량

미크로는 출시된 시기도 안 좋았다. 미크로가 출시되었을 때는 이미 게임보이 어드밴스의 하위호환을 지원하는 닌텐도 DS가 출시되어 굳이 어드밴스 게임 하나만을 지원하는 미크로를 살 이유는 없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미크로는 출시 이후 계속해서 판매량이 하락하였으며, 결국 전 세계에서 242만 대만 팔렸다. 이후 2008년 오리지널, 미크로와 함께 생산 종료가 선언되었다.

기능 면에서는 별 장점이 없어 판매량도 적었지만, 적은 판매량으로 인해 희소성이 더해지고 상기된 나름의 매력이 부각되어 현재는 공급에 비해 수요가 상당히 많아져 프리미엄이 굉장히 많이 붙은 상태이다. 상태와 구성품이 신품급에 한정판이거나 정발판이라면 가격이 최신 9세대 가정용 게임기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일 정도. 패미컴 슈퍼 패미컴의 염가판인 AV 패미컴, 슈퍼 패미컴 주니어와 비슷한 이유로 가격이 오른 케이스이다.[5]

4. 색상


[1] 조이콘 한쪽과 크기가 비슷한 정도다. 닌텐도는 이 작은 크기를 위해 아예 통신 단자와 충전 단자를 하나로 합쳤다. [2] L버튼을 누르는 상태에서 볼륨 버튼으로 조절할 수 있다. [3] 엄지 손가락과 새끼 손가락을 붙였을 때 정도의 크기다. [4] 대표적으로 클럽 닌텐도 한정판인 패미컴 2P 컨트롤러 플레이트와 슈퍼로봇대전 캠페인 플레이트가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서드 파티에서 미크로의 페이스 플레이트를 제작하였다. [5] 여러 부분에서 원가절감이 이루어진 염가형 모델이였지만 아날로그 TV에서 사용 시 화질이 더 좋다는 장점이 있고 희소성 때문에 기존 모델보다 비싼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7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7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