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7:11:56

갤럭시 워치 F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갤럭시 스마트폰 아이콘.svg 갤럭시 S23 FE
파일:갤럭시 탭 아이콘.svg 갤럭시 탭 S9 FE | S9 FE+
파일:갤럭시 워치 아이콘.svg 갤럭시 워치 FE
파일:갤럭시 버즈 아이콘.svg 갤럭시 버즈 FE
스마트폰 · · 워치 · 버즈
}}}}}}}}}}}} ||
<colcolor=#fff> 파일:1px 투명.svg 파일:갤럭시 워치 로고_화이트.svg 파일:1px 투명.svg
삼성 갤럭시 워치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f5f5f><colcolor=#fff><rowcolor=#fff> 워치 클래식 프로
2018 워치
2019 워치 액티브
워치 액티브2
2020 워치3
2021 워치4 워치4 클래식
2022 워치5 워치5 프로
2023 워치6 워치6 클래식
2024 워치7
워치 FE
스마트폰 · · 워치 · 버즈 · · · · 스마트태그
}}}}}}}}}}}} ||

Galaxy Watch FE
SM-R861 & SM-R866
슬로건

파일:galaxy-watch-fe-black-front.jpg 파일:galaxy-watch-fe-silver-front.jpg 파일:galaxy-watch-fe-pinkgold-front.jpg
블랙 실버 핑크 골드
한국 삼성전자 SM-R861 고객지원 사이트
1. 개요2. 사양3. 지원 기기4. 상세5. 주변 기기 및 액세서리6. 출시
6.1. 한국 시장6.2. 한국 시장 외
7. 소프트웨어 지원
7.1. 제조사 공식
7.1.1. One UI Watch 5 마이너 업데이트
8. 논란 및 문제점9. 기타

[clearfix]

1. 개요

삼성전자 2024년 6월 13일에 공개한 스마트 워치이다.

2. 사양

||<tablealign=center><colbgcolor=#cdcdcd,#313131><:><width=8%> 프로세서||<width=92%> 삼성 엑시노스 W920 Wearlable Processor (SC55515XBD)
[ 구성 내용 확인 ]
||<colbgcolor=#cdcdcd,#313131><:> CPU|| ARM Cortex-A55 MP2 1.15 GHz||
GPU ARM Mali-G68 MP2 667 MHz
NPU -
Sensor
Hub
-
통신
모뎀
삼성 (파트넘버 불명) LTE 모뎀
||
메모리 1.5 GB LPDDR4X SDRAM, 16 GB eMMC 5.1 규격 내장 메모리
디스
플레이
1.2인치 (30.2 mm)[크기] 1:1 비율 396 x 396 Circular Super AMOLED (333 ppi)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colbgcolor=#cdcdcd,#666666>공급사 삼성디스플레이
패널정보 Super AMOLED
픽셀배열 S-Stripe RGB 서브픽셀
재생빈도 최대 60 Hz
부가정보 사파이어 크리스탈 }}}}}}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이동통신[CM]
[ 4G Network ]
LTE Cat.4·5 FDD & TDD
VoLTE 지원
[ 3G Network ]
UMTS & HSDPA & HSUPA & HSPA+
↓42.2·↑5.76 Mbps
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2G Network ]
GSM & GPRS & EDGE
↓384 Kbps
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 Wi-Fi 1/ 2/ 3/ 4, 블루투스 5.3, NFC
위성항법 GPS & A-GPS, GLONASS, Beidou, Galileo[A]
배터리 내장형 Li-Ion 247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무선충전 WPC(Qi 미호환) (5 W) }}}}}}
운영체제 Wear OS Powered by Samsung 4.0
One UI Watch 5.0
규격 40.4 x 39.3 x 9.8 mm, 26.6 g
색상 블랙, 실버, 핑크골드
내장센서 가속도, 기압, 자이로, 지자기, 조도,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 심전도, 광학식 심박, 적외선식 체온
기타 IP68 등급 방수·방진 지원, 5ATM 등급 방수 지원, MIL-STD-810H 인증 취득

3. 지원 기기

4. 상세

갤럭시 워치4 40 mm 모델의 리프레시 모델로 사양이 유사하며 모델명도 동일하고, 한때 '갤럭시 워치4 (2024)'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었다.

4.1. 기능

  • Always On Display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황에서도 워치 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띄워둘 수 있다.
  • 빅스비
    삼성전자의 인공지능 비서 기술로, 2016년 10월에 인수한 Viv Labs의 기술을 사용하였다. 빅스비 보이스만 지원한다.
  • 삼성 페이[한국불가]
    NFC 방식과 EMV 토큰을 지원한다. MST 기능이 탑재되지 않아 국내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게다가 국내 삼성 페이 NFC는 독자 결제망이기 때문에 EMV 결제망만 지원하는 곳[5]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물론 CSC를 변경하고 해외 인터넷전문은행이나 금융 기술 회사의 선불카드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EMV Contactless 미인증 서명 패드나 해외 매입이 차단된 경우 사용할 수 없다.
  • 제스처 제어
    제스처를 통해 워치를 제어하는 기능이다. 전화받기[6], 전화 및 알림 끄기[7], 빠른 실행[8]의 3가지 제스처가 있다. 튜토리얼을 보고 감을 익혀 두면 상당히 높은 정확도로 실행된다. '설정 - 유용한 기능'에서 활성화할 수 있다.
  • 긴급 SOS
    긴급 상황에 휴대전화로 신고할 수 없을 때 홈 버튼을 다섯 번 누르면 사용자가 정해둔 시간(5초~30초) 동안 카운트다운 후 긴급 연락처에 자동으로 연결되는 기능이다. 경고음을 재생할지, 위치와 SOS 메시지를 긴급 연락처로 전송할지 선택할 수 있다.
  • 낙상 감지
    갑자기 쓰러지거나 추락하는 사고를 모션 센서가 감지하여 사용자가 정해둔 시간(5초~30초) 동안 카운트다운 후 긴급 연락처에 자동으로 연결되는 기능이다. 경고음을 재생할지, 위치와 SOS 메시지를 긴급 연락처로 전송할지 선택할 수 있다.
  • 운동 자동 인식
    내장된 모션 센서를 이용해 40가지 이상의 운동 종목을 감지하여 운동 도중의 심박수와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한다. 일부 종목[9]은 몇 분간 운동하면 워치가 자동으로 측정을 시작한다.
  • 수면 측정
    별도의 조작 없이 수면 상황을 감지하여 상태를 '수면 중 깸, 렘 수면, 얕은 수면, 깊은 수면'의 4가지의 수면 단계로 구분하여 측정한다. 수면 중 혈중 산소와 피부 온도를 측정하고, 코골이를 감지하여 녹음할 수 있다.
  • 수면 코칭
    수면 유형을 8가지의 동물[10]로 구분하여 좋은 수면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코칭한다.
  • 체성분 측정
    체중을 입력한 후, 두 버튼에 중지와 약지를 각각 올려 체성분을 측정한다. 두 버튼에 내장된 센서에서 다리와 팔에 약한 전류를 흘려보낸 후, 발생한 전기 저항으로 체성분을 측정한다. 갤럭시 워치 시리즈의 체성분 측정 결과는 체성분 산업표준인 DEXA 스캔 방식과 98%의 상관관계가 있을 정도로 정확하다.[11] [Tip]
  • 심박수 측정
    사용자의 심박수를 자동으로 측정한다. 휴식 시, 설정한 값보다 높거나 낮은 심박수가 10분 이상 지속되면 알림을 받을 수 있다.
  • 스트레스 측정
    사용자의 스트레스 수치를 자동으로 측정한다. 특정 수치 이상으로 올라갈 시 호흡을 통해 스트레스 수치를 낮출 수 있도록 유도한다.
  • 혈중 산소 측정
    혈중 산소 포화도를 측정한다. 과거 갤럭시 스마트폰에 탑재된 기능이었다.
  • 생리주기 예측
    적외선 체온 센서를 통해 피부 온도를 측정하여 생리주기와 다음 주기(배란일)을 예측한다. 워치를 수면 중 4시간 이상, 주 5회 이상 착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 혈압 측정
    사용자가 별도의 커프형 혈압계로 혈압을 3회 측정하여 기준 혈압을 입력하면, 광심박수 센서[13]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한다. 지속적인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혈압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준 혈압은 4주마다 별도의 커프형 혈압계를 통해 보정해야 한다. 혈압 측정은 삼성 헬스가 아닌 Samsung Health Monitor[B]에서 사용할 수 있다.
  • ECG 측정
    ECG를 측정하여 '동리듬, 심방세동, 판정 불가, 신호 불량'의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낸다. 불규칙 심장 리듬이 감지되면 워치와 휴대전화를 통해 알림을 받을 수 있다. ECG 측정은 삼성 헬스가 아닌 Samsung Health Monitor[B]에서 사용할 수 있다.

4.1.1. 갤럭시 에코시스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갤럭시 에코시스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주변 기기 및 액세서리

5.1. 액세서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액세서리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출시

2024년 6월 13일 공개되었으며, 여름에 출시 예정이다.

6.1. 한국 시장

B2B 전용으로 출시 예정이다. #

6.2. 한국 시장 외

7. 소프트웨어 지원

삼성전자는 기기 출시상 분류에 맞춰서 소프트웨어 지원 내역을 공개하고 있다. 기기명이 아닌 기기 출시상 분류를 따르는 이유는 동일한 기기명을 가진 단일 모델을 공급한다 하더라도 유통 과정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구분을 할 수 있게 조치해뒀기 때문이다.[16] 한국 시장에서의 소프트웨어 지원 내역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7.1. 제조사 공식

7.1.1. One UI Watch 5 마이너 업데이트

8. 논란 및 문제점

9. 기타

==# 공개 전 루머 #==
  • 2024년 5월 17일, GsmArena에서 SM-R861모델에 대해 FCC인증이 통과됐음을 확인했다. 해당 기사에서 모델명이 워치4(R860)와 매우 가까워 R861모델을 워치4의 리비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
  • 2024년 5월 17일, FCC인증 제출문서에서 SM-R861의 충전속도가 5W라고 유출됐다.[17]
  • 2024년 5월 18일, SM-R861의 한국 테스트 펌웨어가 발견되었다.[18]
  • 2024년 6월 2일, 삼성전자 영국, 라틴아메리카 지원 웹페이지에 Galaxy Watch FE가 출현했다. 모델명이 SM-R861임이 확실해졌다.[19]
  • 2024년 6월 6일, SM-R861의 사양은 삼성전자의 AP인 갤럭시 워치4의 들아갔던 것과 동일한 엑시노스 W920과 워치 4와 동일한 1.5GB 램 · 16GB 롬이 탑재될 것이라 전망됐다. #


[크기] 인치 환산 시 1.19인치. ppi 계산 시 1.68인치. [CM] 셀룰러 모델만 지원. [A] 지원 기기 추가 지원. [한국불가] 한국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5] 홈플러스 등. [6] 팔꿈치를 구부리고 팔을 두 번 흔들어 전화를 받을 수 있다. [7] 손목을 두 번 돌려 알림을 끄거나 전화를 거절할 수 있다. [8] 화면이 켜진 후 5초 이내에, 주먹을 쥐고 고개를 끄덕이는 것처럼 손목을 앞뒤로 두 번 구부려 앱이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9]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일립티컬, 로잉머신, 수영, 활동적인 운동 [10] 상어(1단계), 악어(2단계), 고슴도치(2단계), 사슴(2단계), 두더지(3단계), 바다코끼리(3단계), 펭귄(3단계), 사자(4단계). 높은 단계일수록 건강한 수면 습관을 가진 유형이다. [11] 젊은 남성 기준이다. 워치의 물리적 한계로 상체를 기반으로 추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체지방이 더 높게 나온다. 여성일 수록 더욱 [Tip] 사용하다보면 양손이 닿았다는 오류가 66%진행에서 뜨는 경우가 많은데, 손 뿐만 아니라 시계틀에 닿아도 같은 오류가 나온다. 따라서 버튼(센서)에만 닿도록 손끝만 가볍게 접촉시키면 오류가 덜 발생한다. [13] LED 빛을 혈관에 비춰 통과하는 혈액량을 측정한다. [B] 삼성 갤럭시가 아닌 타사 스마트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B] [16] 이는 Apple이나 LG전자 등 다른 제조사들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각 기기의 박스 패키징에 부착된 시리얼 넘버를 확인하지 않는 이상 Apple과 LG전자는 일반 사용자가 평상시에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삼성전자는 기기 고객지원 사이트의 URL에서 차이점을 찾아 구분할 수 있다. [17] 파일:SM-R861 충전 인증문서.png [18] R861XXU0AXE8 [19] https://www.samsung.com/uk/support/model/SM-R861NZKAEU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