妙 묘할 묘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女,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ミョウ, ビョウ
|
||||||
일본어 훈독
|
たえ, わか-い
|
||||||
-
|
|||||||
표준 중국어
|
mià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妙는 '묘할 묘'라는 한자로, '묘(妙)하다', '오묘(奧妙)하다', '미묘(微妙)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묘하다 |
음 | 묘 | |
중국어 | 표준어 | miào |
광동어 | miu6 | |
객가어 | miéu, mieu | |
민동어 | miêu | |
민남어 | miāu | |
오어 | miau (T3) | |
일본어 | 음독 | ミョウ, ビョウ |
훈독 | たえ, わか-い | |
베트남어 | diệu |
유니코드에는 U+599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FH(女火竹)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女(계집 녀)와 소리를 나타내는 少(적을 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는 좌변에 女 대신 立을 쓰는 竗(U+7AD7, 준특급 한자)가 있다.
3. 용례
3.1. 단어
- 경묘( 輕妙)
- 교묘( 巧妙)
- 기묘( 奇妙)
- 묘각(妙 覺)
- 묘경(妙 境)
- 묘곡(妙 曲)
- 묘구(妙 句)
- 묘기(妙 技/妙 機)
- 묘년(妙 年)
- 묘덕(妙 德)
- 묘랑(妙 郞)
- 묘략(妙 略)
- 묘령(妙 齡)
- 묘미(妙 味)
- 묘사(妙 思)
- 묘소년(妙 少 年)
- 묘수(妙 手)
- 묘술(妙 術)
- 묘안(妙 案)
- 묘완(妙 腕)
- 묘약(妙 藥)
- 묘재(妙 才)
- 묘책(妙 策)
- 묘필(妙 筆)
- 미묘( 微妙/ 美妙)
- 신묘( 神妙)
- 영묘( 英妙/ 靈妙)
- 오묘( 奧妙)
- 원묘( 圓妙)
- 절묘( 絶妙)
- 진묘( 珍妙)
- 현묘( 玄妙)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나카니시 타에코( 中 西 妙 子)
- 린먀오커( 林妙 可)
- 모가미 타에코( 最 上 妙 子)
- 묘청(妙 淸)
- 스쿠나 신묘마루( 少 名 針妙 丸)
- 시무라 타에( 志 村 妙)
- 정먀오( 郑妙)
- 타케미 타에( 武 見 妙)
3.4. 지명
-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妙 山 面)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智妙 洞)
- 묘덴역(妙 典 駅)
- 묘신지역(妙 心 寺 駅)
- 묘온도리역(妙 音 通 駅)
- 묘코코겐역(妙 高 高 原 駅)
- 묘호지역(妙 法 寺 駅)
- 죠에츠묘코역( 上 越妙 高 駅)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묘원리(妙 院 里)
- 충청북도 영동군 양강면 묘동리(妙 洞 里)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妙 羅 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묘암리(妙 巖 里)
3.5. 창작물
- ジョジョの奇妙な冒険( 죠죠의 기묘한 모험)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䖢(개미누에 묘)
- 竗/ 玅(묘할 묘)
- 眇(애꾸 묘)
- 𦕈(애꾸눈 묘)
- 䏚(허구리 묘)
- 㠺(가는실 사, 가는그물 묘)
- 𩡾(걸어가는모양 사)
- 䩖(구두 사)
- 沙/ 砂(모래 사)
- 魦(문절망둑 사)
- 紗(비단 사)
- 粆(사탕 사)
- 𩨡(적을 선)
- 𨈘(칠한모양 소)
- 𢆷(작을 요)
- 䟞(머뭇거릴 주)
- 杪(나무끝 초)
- 鈔(노략질할 초)
- 吵(떠들 초, 울 묘)
- 𤰬(밭갈 초)
- 𦨖(배흔들리는모양 초)
- 𩚙(보릿가루 초)
- 炒(볶을 초)
- 秒(분초 초)
- 抄(뽑을 초)
- 觘(뿔숟가락 초)
- 仯(작은모양 초/묘)
- 訬(재빠를 초, 가냘플 묘)
- 𧘡(보맷부리 표)
- 𥘤(소맷부리 표)
- 𤤉(보)
- 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