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运-20, Yun-20, Y-20 |
[clearfix]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의 4발 제트엔진 전략 수송기로, 러시아의 Il-76이나 미국의 C-17과 동급 수준이다. 별명은 곤붕(鲲鹏).[1]
2. 제원
Y-20 | ||
승무원 | 3명 | |
화물 탑재량 | 66t[2] | |
전장 | 47 m | |
전폭 | 45 m | |
전고 | 15 m | |
날개 면적 | 330 m² | |
공허 중량 | 100,000 kg | |
최대 이륙 중량 | 220,000 kg | |
엔진 | WS-20[3] |
3. 개발사
1950년대 말 중소밀월기에 중국은 소련으로부터 많은 군사기술을 도입했고, 이들 중에는 An-12(적재 용량 약 20t)의 수입도 있었다. 중소결렬로 소련과의 기술협력이 중단되자 중국은 An-12를 복제하기로 마음먹고 10여년간의 개발과정 끝에 An-12를 복제한 Y-8을 만들었다. 1972년 초도비행을 한 Y-8은 한동안 중국군의 주력 수송기였다. 비슷하게 An-24를 복제한 소형 수송기인 Y-7도 있었다.[4]하지만 원본 An-12가 1950년대까지 거슬러올라가는 수송기였기 때문에 불만이 많았고, 중국군이 현대화를 추진함에 따라서 고성능 수송기가 필요해졌다. 하지만 고성능의 제트수송기를 제작하기에는 중국의 기술이 부족했고, 그리하여 1990년대 러시아와의 관계가 개선됨에 따라서 Il-76을 수입해 사용하게 된다. 중국은 2005년까지 총 44대의 IL-76을 수입했다.
이렇게 인민해방군 공군은 Il-76을 계열기 포함해서 총 40여대 가량을 운용했지만 시대가 점점 지나고 인민해방군의 장비가 점점 발달하나 정작 수송기 전력은 수량이 턱없이 부족해졌다. 보통 상임이사국들은 대형수송기 등을 못해도 50기 이상 보유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수송기가 전력을 급파하는 가장 큰 자산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IL-76은 러시아제의 고질적인 문제로 유지비가 비쌌고, 이는 거액의 외화가 러시아에 계속 나간다는 것을 의미했다. 한두대가 아니라 수십대를 굴리는 이상 이는 문제가 아닐 수 없어서 2007년 중국측은 독자 수송기 개발을 계획했다. 중국 자체 기술도 수송기를 만들 만큼 어느 정도의 수준에 올랐기 때문에 MBD(model based definition) 설계 기술, 3D 프린팅과 같은 최신기술을 도입하여 수많은 공정을 단순화해서, 다른 기존의 중국제 항공기에 비해 설계시간 및 테스트시간이 매우 단축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디자인은 매우 보수적으로 잡아서 기존의 성공작인 IL-76, C-17과 같은 기존의 수송기의 형상과 비슷해졌다.
계획된지 5년만인 2012년에 프로토타입 1호기가 제작되어 지상 테스트에 들어갔고, 2013년 12월에 초도비행을 실시했다. 2016년부터 시제품이 중국 공군에 인도되어 실전데뷔를 했다.
4. 기종간 비교
기종 | 적재량 | 항속거리 |
Y-20 | 66t | 7,500km |
C-17 | 77.5t | 8,000km |
A400M | 37t | 8,700km |
Il-76MD | 60t | 9,300km |
가와사키 C-2 | 37.6t | 9,800km |
5. 실전/활약 기록
-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봉쇄된 우한 톈허 국제공항을 통해 의료진과 각종 물자를 수송하는 데 Il-76 등과 함께 동원되었다. 2008년 쓰촨성 대지진 때 민항사의 기체를 빌려 구호품을 수송하던 때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5] #
- 2022년 4월 11일 중국에서 세르비아까지 비행하여 모종의 부품을 운송했다. 중국은 수화물을 밝히지 않았지만, 서방 국가들은 HQ-22 지대공 미사일을 운송했다고 보고 있다. 세르비아는 중국제 HQ-22 미사일을 구입했기 때문이다. 이는 최초로 Y-20이 유럽 상공을 비행한 것이다. #
-
2020년 9월 25일,
중국 공군이 Y-20으로
6.25 전쟁 당시
중국군 전사자의
유해 117구를 송환했다. Y-20이
대한민국, 즉 미국의 동맹국에 방문한건 이번이 처음이다. 2021년과 2022년에도 이 수송기가 중국군 전사자의 유해를 인수해 갔다.
6. 파생형
6.1. Y-20U
위성이미지를 통해서 Y-20에 급유포드를 장착한 공중급유기가 생산 중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2018년에 처음 확인된 이 기종은 2020년 말부터 생산 중인 것으로 추정중이다.그러다 2022년, Y-20의 공중급유기 형식을 YU-20이라는 명칭으로 양산 및 급유 훈련을 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최대 90톤의 연료를 실을 수 있고 16톤의 연료를 최대 10,000km의 거리에 수송할 수 있다고 한다. 중국 공군은 앞으로 최대 100대의 급유기를 도입할 계획이다.
2024년 3월 15일, Y-20U라는 이름으로 우한시에 있는 중부전구 공군 제13수송사단 38연대에서 발견되었다. 기체 번호는 20544로, 이전 Il-76 수송기가 쓰던 번호이다. #
6.2. KJ-3000
Y-20B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KJ-2000의 후속 공중조기경보통제기. 2024년 말에 시험비행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7. 여담
- 중국 인민해방군 공강병군에 Y-20 수송기가 큰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15식 경전차 2대를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8. 미디어
8.1. 게임
8.1.1. 도미네이션즈
자동화 시대의 수송기인 캡틴 수송기로 등장한다.자세한 내용은 수송기(도미네이션즈) 문서 참고하십시오.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