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14:09:51

The Return of N.EX.T Part 2: The World

넥스트 3집에서 넘어옴
{{{#!folding [ 정규 앨범 ]
1집

Home
(1992.06.01.)
2집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1994.05.01.)
3집

The Return of N.EX.T Part 2: The World
(1995.09.15.)
4집

Lazenca - A Space Rock Opera
(1997.11.05.)
5집

The Return of N.EX.T Part 3: 개한민국
(2004.06.16.)
5.5집

ReGame?
(2006.02.26.)
6집

666 Trilogy Part I
(2008.12.09.)
}}} ||
{{{#!folding [ 싱글 ]
싱글

Here, I Stand For You
(1997.02.01.)
선공개

I Want It All (Demo 0.7)
(2014.09.18.)
Cry OST

Cry
(2016.07.19.)
}}} ||
{{{#!folding [ 라이브 앨범 ]
라이브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1995.05.25)
라이브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1995.05.25)
라이브

N.EX.T Is ALIVE
(1996.02.09)
라이브

N.EX.T Concert Album
(1997.08.01)
}}}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afad2,#010101><bgcolor=#fff,#191919> N.EX.T 크로놀로지 ||
데뷔
The Return of N.EX.T Part 2: The World
(1995)
Lazenca - A Space Rock Opera
(발매 취소)
The Return of N.EX.T
Part 2: The World
파일:N.EX.T 3집 The World.png
<colbgcolor=#E4A035><colcolor=#000000> 발매일 1995년 9월 15일
스튜디오 대영AV 스튜디오, Metropolis Mastering studios
장르 프로그레시브 메탈, 헤비 메탈, 스래시 메탈, 하드 록, 소프트 록
재생 시간 1:06:14
곡 수 14곡
언어 한국어, 영어
레이블 대영AV
프로듀서 신해철
타이틀곡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하여

1. 개요2. 상세3. 활동
3.1. 1995년 말
3.1.1. 라이브 투어 《N.EX.T IS ALIVE - THE WORLD TOUR》
3.2. 1996년: 개인 활동의 이력들
3.2.1. '96 Mini Tour: KBS 빅쇼 방송
3.3. 1997년: 비정규 음반 발매, 쉬어가는 컨셉의 편안한 공연들
3.3.1. '97 Live Tour: Tea Time With N.EX.T
4. 트랙 리스트
4.1. 세계의 문 (유년의 끝)4.2. Komerican Blues (Ver 3.1)4.3. Mama4.4. 나는 쓰레기야 Part I4.5. The Age of No God (無神時代)4.6. 나는 쓰레기야 Part II (Instrumental)4.7.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하여4.8. Requiem for The Embryo (Instrumental)4.9. Money4.10. 나른한 오후의 短想 (Instrumental)4.11. 아가에게4.12. Hope4.13. Questions4.14. Love Story (Bonus Track; Instrumental)
5. 참여 멤버6. 주요 가사

[clearfix]
파일:100BEAT 로고.png <keepall> 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100
52위

1. 개요

1995년 9월 15일에 발매된 N.EX.T의 정규 3집 앨범.

2. 상세

자타공인 넥스트의 앨범 중 가장 뛰어난 사운드 퀄리티를 자랑하는 앨범으로, 신해철의 원 맨 밴드에 가까웠던 지난 앨범들과 달리 드디어 정규 멤버들이 합류하여 밴드다운 라인업을 갖고 완성된 첫 앨범이다. 기존 1, 2집은 음악적 완성도는 뛰어났지만 사운드는 동시대에 나왔던 해외 록 앨범에 비하면 뭔가 비어 있고 단단함이 떨어졌다.

신해철은 언제나 해외 록 밴드와 버금가는 사운드를 만들고 싶은 강렬한 욕망이 있음과 동시에 '왜 우리나라에서는 그런 사운드가 안 나오지?'라는 의문을 품고 있었다. 그는 '혹시 외국 애들이 더 좋은 장비를 쓰나?'라는 의문을 가졌지만, 우리나라 녹음실에도 몇억은 족히 넘는 믹싱 콘솔에 빈티지 앰프, 아웃보드 등 그들과의 장비 차이는 전혀 없었다. 결국 신해철이 내린 결론은 '그럼, 사람이 문제구나'였다.

그래서 해외의 유명 녹음 엔지니어들에게 데모를 인터넷으로 보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프랭크 자파, 이안 길런 등의 앨범의 엔지니어를 담당했던 당시 영국의 손꼽히는 믹싱 엔지니어 믹 글로솝(Mick Glossop)이 데모를 듣고 한국으로 날아오게 된다. 원래는 6개월 전에 스케줄을 잡았어야 했지만 운 좋게도 딱 시간이 맞아서 협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한국에 온 후 재미있는 일화가 있는데, 믹 글로솝이 녹음실에 들어서자마자 컨트롤 룸의 거대한 SSL 콘솔을 쭉 살펴보더니 맨 처음 한 이야기는 "메뉴얼 좀 가져와봐요"였다. 그러더니 녹음실에 연결된 모든 케이블을 죄다 뽑더니 매뉴얼을 보고 케이블 연결부터 다시 시작했다. 믹은 케이블을 연결하는 데만 3일 이나 되는 장시간을 보냈고, 너무나 길어지는 세팅 시간 그리고 그와 작업할 수 있는 일정이 정해져 있었기에 멤버들은 속으로 "이 양반 우리 무시하고 대충 때우려고 시간만 보내는 거 아니야?"라는 생각까지 했다고 한다.

마침내 기나긴 세팅 작업이 끝나자 믹 글로솝이 김세황을 부스에 들어가게 한 후, "자, 이제 기타 쳐보세요, 세황 씨"라고 했다. 그러자 스피커에서 할리우드의 그 우렁찬 소리가 나오며 모든 멤버들은 감동의 도가니. 즉, 한국의 모든 엔지니어들이 케이블 연결조차 제대로 하지 못해 그 비싼 장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항상 몇 달에 한 번씩 뭔가 문제가 생기던 스튜디오의 장비들은 믹이 세팅을 마친 후부터는 아무런 문제도 생기지 않았다고 한다. 어찌 됐든 한국 가요계의 사운드가 한층 더 발전하게 된 계기가 된 앨범이기도 하다. 한국 가요의 사운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케이블 연결부터 제대로 하면 된다는 단순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된 사건이다 보니...

본격적으로 녹음에 들어가며 신해철은 감탄에 감탄을 금치 못했고 멤버들은 모두 고양감 가득한 채로 녹음에 전념하게 된다. 또한 기존에 경험해 보지 못했던 믹싱 테크닉은 사운드를 완성하는 화룡점정이었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은 신해철이 꼼꼼하게 노트로 정리했고 이후 넥스트의 사운드가 탄탄해지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앨범 믹싱 시 가장 힘들었던 곡은 "Komerican Blues"였다고 한다. 국악기를 비롯한 수십 개의 악기 그리고 멤버들의 코러스 트랙까지 엄청난 양의 트랙으로 인해 믹 글로솝도 진땀을 뺐지만 결국 신해철이 원하는 사운드를 만들어 내고야 말았다는 후문. 너무 오래 걸리는 믹싱 시간과 그 어려움에 넥스트 멤버들마저도 이 정도면 됐다고 했지만 프로페셔널한 자세와 엄청난 집중력으로 작업을 마무리해냈다. 그 작업의 어려움은 다른 곡과는 달리 곡 제목 뒤에 붙은 (Ver. 3.1)이라는 숫자에서도 알 수 있다.

믹 글로솝에 대한 감탄은 앨범 크레딧에 Mick "Magic hands" Glossop(The Producers)라고 표현되어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3. 활동

파일:external/www.hani.co.kr/100-1.jpg

<황금기 멤버들. 왼쪽부터 김영석, 김세황, 이수용, 신해철>본격 신해철과 아이들[1]

3집 시기는 멤버 구성이나 활동에 있어 가장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 활동 기간: 1995~1997 봄
  • 멤버: 신해철, 김세황[2], 이동규[3], 김영석[4], 이수용, 장기순, 강석훈

'본질적인 존재'에 대한 탐구가 메인이었던 전작 <BEING>에 이어 '세상'으로 영역을 넓힌 앨범. 이동규가 떠나면서 공백이 생긴 베이시스트 자리에 김영석이 영입되면서 넥스트의 리즈 시절 멤버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리드보컬-키보드에 신해철, 기타에 김세황, 베이스 김영석, 드럼 이수용이라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넥스트 하면 떠올리는 바로 그 진용이 갖춰진 것.

가장 큰 골칫거리중 하나였던 멤버 구성이 안정을 찾음에 따라 기존의 신해철 1인 독재 체제에서 일정 부분 멤버들이 역할을 분담하는 시스템으로 바뀌어 부클릿의 작곡자 표기란에도 신해철 이외의 이름을 발견할 수 있는 앨범이기도 하다.

당시로서는 흔치 않던 커다란 시디 케이스와 부클릿에 수록된 부끄러운 사진들이 화제가 되기도.

컨셉트에서 포괄하는 범위가 커짐에 따라 곡 구성도 매우 풍성해졌다. 기존의 '세계의 문' 중 'THE WORLD WE MADE'와 '나는 쓰레기야'[5] 연작 같은 메탈 노선 뿐 아니라 'Komerican Blues'에서는 국악과 락의 조합을 시도했고, '날아라 병아리'의 소박한 감성을 잇는 발라드 'mama'에 김세황의 기타 솔로가 두 곡이나 포함되어 있는 등 스케일이 전작에 비해 확실히 커진 것을 체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반대로 말하자면 백화점식 구성이 한층 더 난삽해졌다는 걸 의미하기도 한다.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세계의 문 - 우리가 만든 세상을 보라 라이브.

삼풍백화점 성수대교,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안기게 한 두 붕괴 사건에 모티브를 얻은 'The World We Made', 황금만능주의를 조롱한 'Money'[6], 심지어 락발라드 곡인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하여'도 당시 대표적인 악법으로 위세를 떨치던 동성동본 금혼법에 강력한 딴지를 건 노래였다.

지금 와서는 우습지도 않은 이야기이지만, 이 법은 현재의 헌법불합치결정에 의해 효력이 소멸된 1998년까지만 해도 '사회 문제'로 거론될 정도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문제는 해당 법령으로 지정한 근친혼의 범위가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넓어서 국민의 기본권(행복추구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는 데 있었다. 중국에서 유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동성동본 금혼을 법으로 제정하고 있는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했었고,[7] 근친관계라고 하는 것도 모계는 제외한 채 부계 쪽만 따진다거나, 과학적 근거가 전무함에도 '동성동본끼리 결혼하면 유전적으로 기형아를 출산한다더라'는 헛소문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나돌던 시대였다.[8]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하여'의 발표가 이 법의 폐지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단초는 아니었을지 모르지만, 당시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것은 사실이고 사회의 싸늘한 시선에 맞서야 했던 동성동본 커플들의 편에 서서 위로를 주었던 것 역시 사실이다. 또한 신해철이 라디오에서 밝힌 바로는 동성(同姓)뿐 아니라 동성(同性)에 대해 비판하는 사람들에게도 비판의 의미로 담은 노래라고 밝힌 바 있다.[9]

<The Return of N.EX.T Part 2 : World> 활동으로 인해 넥스트는 본격 사회비판적 아티스트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었다.

'껍질의 파괴'를 잇는 대곡 'The World We Made'는 새 멤버들의 진가를 알 수 있는 곡으로, 특히 잉베이 말름스틴을 연상시키는 김세황의 강렬한 속주가 인상적이다. 김세황은 클라이막스 기타 솔로 파트에서 포복전진(!)을 하며 기타를 연주하거나, 무려 장난감 레이저 총(...)으로 연주를 하는 등의 무시무시한 스킬을 보여주며 비주얼적인 면을 확고히 유지했으나, 레코딩 당시에는 너무 힘들어서 유약한 성격으로[10] 감히 신해철한테 개기며(...) 이런 연주 한 번만 더 시키면 밴드에서 나가겠다는 협박까지 했다고.

보컬이었던 신해철에게만 몰려있었던 비주얼이 다른 멤버들에게도 차례대로 넘어가면서 멤버들의 살벌한 연주가 돋보이기 시작하고, 웅장한 사운드와 동시에 "발전이란 무엇이며 진보란 무엇인가 누굴 위한 발전이며 누굴 위한 진보인가"에서 보이듯 (내실은 고려하지 않고) 눈에 보이는 발전에만 집착하는 당시 풍토에 던지는 독기어린 가사가 일품인 노래.

'마츠다 야스히로'라는 한 일본인 평론가가 심야 라디오에서 이 곡을 들은 후 '오오 넥스트 오오'를 외치며 일본의 'BURRN!'지에 투고한 리뷰가 있는데[11] 원문 보기 , 하이텔 메틀동의 한 회원이 번역한 버전이 웹상에 떠돌아다니며 한동안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이 평론가는 <WORLD> 앨범을 '1995년도 최고의 앨범'이라고 평하며 넥스트를 '한국의 드림 시어터'로 비유하기도 했다. 단, 드림시어터적인 접근을 보여 준 트랙은 The World We Made 하나라고 생각한 듯. '이런 낚였다. 하지만 다른 것도 좋은데? 아시아에서 이 정도 레벨이 있었다니!'가 총평. 또 The World We Made의 기타 솔로를 잉베이 말름스틴에 비유하기도 했고. Questions의 경우는 핑크 플로이드 데이비드 길모어에 비유하기도.

참고로 The World We Made에서 울리는 코러스 중 본인들이 레코딩하는 목소리가 아닌 다른 목소리가 있었다고 라디오에서 신해철 본인이 밝힌 적이 있다. 사실 여부는 불명. 히총통 귀신이라도 부른 건가

앞서 서술했듯, 작곡과 편곡에 있어 신해철 외 멤버들의 비중이 커졌고 매력도 잘 드러냈다.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하여'는 김영석을 대표하는 수작이며, 후반부의 'Questions'는 김세황을 대표하는 곡. 도입부와 중간의 기타솔로는 꼭 들어보도록 하자. 신해철, 김세황의 'Money'는 펑키하면서도 그루브한 감을 잘 살렸으며 특히 김영석의 베이스 주법이 인상적이다.

그 밖에도 <바람부는 날에는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OST에 수록되었던, 국악과 락의 크로스오버 'Komerican Blues'의 리메이크, 라이브에서 선보인 김세황의 'Love Story' 등이 수록되었다.

여타 넥스트 앨범과 마찬가지로 연기에 연기를 거듭해서 발매되었던 것은[12] 많은 사람들이 예상했던 것과 달리 완성도 때문에 신중을 기한 것이 아니라 신해철과 김세황이 워로드라는 게임에 미쳐서 그랬던 것이라고(...). 이것이 매니저들에게 발각되고, 곧바로 게임디스크에 철퇴를 가하고 둘을 스튜디오에 감금시킴으로써 그 다음달에 앨범이 나올 수 있었다는 비화가 있다.

2010년 음악웹진 100비트에 의해 선정된 1990년대 100대 명반 중 52위에 랭크되었다.

3.1. 1995년 말

95년 11월에 발매된 95' 내일은 늦으리 환경보전 슈퍼앨범에 MAXIMUM OVERDRIVE라는 곡으로 참여했다. 타이틀곡인 붉은 바다도 넥스트의 작품.

3.1.1. 라이브 투어 《N.EX.T IS ALIVE - THE WORLD TOUR》

  • 《Home》에서 선곡
    • Turn off the T.V.
  •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에서 선곡:
    • 껍질의 파괴: The Destruction of the Shell
  • 《The Return of N.EX.T Part 2: The World》에서 선곡:
    • 《아가에게》를 제외한 3집 전곡.[13]
  • 그 외

3.2. 1996년: 개인 활동의 이력들

멤버들의 각자의 활동도 두드러졌다.

신해철은 언제나 그랬듯 영화는 처참히 망하고 음악만 흥한 영화 < 정글 스토리>의 OST를 히트시켰다.[14] 분명히 영화는 처참하게 망했는데, OST는 대박이 나는 바람에 음반사는 영화에 비해 막대한 이득을 챙겼다고(...) 한다. MBC FM 신해철의 음악도시의 초대시장 노릇을 하기도 했다. 넥스트 멤버들은 당시 화요일 고정 코너였던 '막가는 스페셜'에서 '방송사고당'이라는 애칭을 달고 출연했는데 김영석은 매주 고정이었고 김세황과 이수용은 격주 출연이었다.
김영석은 '이지훈'의 히트곡 '왜 하늘은'으로 작곡가, ' 에메랄드 캐슬'의 베이시스트와 프로듀서로 활동했다. 결론적으로는 두 작업 모두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새로운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김세황과 이수용은 주로 다른 뮤지션의 앨범 및 콘서트의 세션으로 분주했다. 이중 김세황은 평소 본인이 존경해마지않던 희대의 기타리스트 ' 스티브 바이' 내한공연시 무대에 올라 잼을 펼치기도 했다. 나중에는 스티브 바이의 기타를 제작하는 회사에서 한국 대표로 기타를 선물받기도 했다.

3.2.1. '96 Mini Tour: KBS 빅쇼 방송

  • 《Home》에서 선곡
    • 도시인
    • Turn off the T.V
    • 아버지와 나 Part 1 + 2
  •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에서 선곡
    • 껍질의 파괴: The Destruction of the Shell
  • 《The Return of N.EX.T Part 2: The World》에서 선곡
    • The Age of No God
    • Money
  • 그 외

3.3. 1997년: 비정규 음반 발매, 쉬어가는 컨셉의 편안한 공연들

3집에서 4집까지의 기간은 팀 사상 가장 많은 비정규 앨범이 나왔던 시기이기도 하다. 3집 전국투어 콘서트 <The World Tour> [15] 를 기반으로 한 라이브 앨범 <N.EX.T Is Alive>[16], 최초의 싱글[17]이자 오프라인 싱글 최다판매를 기록한 < Here, I Stand For You>, 1~3집 수록곡뿐 아니라 밴 헤일런, 게리 무어 등의 커버와 신곡 'R.U.READY?'가 실린 라이브 앨범 <The First Fan Service - R. U. READY?>가 이 시기에 발매되었다.

'Here, I Stand For You'는 특유의 비장하고 애절한 가사와 고음역대의 보컬 등으로 어떤 병에 걸린 중고딩들의 애창곡이 되기도 했다. 그리고 Arirang도 필청, 역대 어떤 아리랑보다 시원하고 강렬히 통쾌한 느낌인 버전이라 할 수 있다.

3.3.1. '97 Live Tour: Tea Time With N.EX.T

  • 《Home》에서 선곡
    • 도시인
    • Turn off the T.V.
    • 영원히
  •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에서 선곡
    • 날아라 병아리
    • The Ocean: 불멸에 관하여
    • 나는 남들과 다르다
  • 《The Return of N.EX.T Part 2: The World》에서 선곡
    • Hope (어쿠스틱 버전)
    • Komerican Blues
    • Money
    • 나는 쓰레기야[18] - The Age of No God
  • 《넥스트 싱글 Here, I Stand for You》에서 선곡[19]
    • Here, I Stand for You
    • '97 Arirang
  • 그 외

4. 트랙 리스트

The Return of N.EX.T Part 2: The World》 Track List
트랙 제목 작사 작곡 러닝타임
1 세계의 문 신해철 신해철, 김세황 9:31
Part 1 - 유년의 끝
Part 2 - 우리가 만든 세상을 보라[23]
2 Komerican Blues (Ver. 3.1) 신해철 4:43
3 Mama 신해철 4:12
4 나는 쓰레기야 Part I 신해철 신해철, 김세황 0:50
5 The Age of No God 신해철 3:20
6 나는 쓰레기야 Part II[inst] - 신해철, 김세황 0:45
7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하여 [TITLE] 신해철 김영석 6:26
8 Requiem for the Embryo[inst] - 신해철 4:47
9 Money 신해철 신해철, 김세황 5:42
10 나른한 오후의 短想[26][inst] - 김세황 2:49
11 아가에게 신해철 5:04
12 Hope 신해철 신해철, 김세황 4:33
13 Questions 신해철 김세황 6:43
14[28] Love Story[inst] - 프랑시스 레이[30] 5:04
총 재생 시간: 1:06:14

4.1. 세계의 문 (유년의 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계의 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원곡 1995년 world 투어 라이브 1997년 show must go on 라이브
세계의 문
Part 1 : 유년의 끝

4.2. Komerican Blues (Ver 3.1)

원곡 1995년 world 투어 라이브
  • 하여가 이후 시도된 국악풍 프로그레시브 록. 사물놀이 패를 동원해서 녹음했으며 그 분야 원탑인 김덕수가 참여했다는 말이 있다. 그리고 3집에서 녹음이 가장 오래 걸린 곡이기도 하다, 엄청난 라이브에서는 아무래도 이러한 사운드를 전부 낼 수 없기에 편곡을 적당히 거쳤는데, 2000년 노바소닉 콘서트에서 부른 걸 보면 상당히 뉴메탈스럽기도 하다. 라이브에서 되게 부르기 어려울 거 같지만 상당히 자주 불렀고 라이브 음원도 평가가 되게 좋다. 원곡은 밑의 Money에서도 그렇듯 살짝 아쉬운 랩 스킬을 김세황의 백보컬로 가린 느낌이 있었다면, 라이브에서는 단시간에 엄청나게 발전한 신해철의 랩을 볼 수 있다. 2000년 라이브에서는 옆에 당대 최고의 래퍼라 봐도 무방했던 김진표가 옆에 있는데도 그에 전혀 밀리지 않는 랩을 볼 수 있다.
Komerican Blues (Ver. 3.1)
(Shut the fuck up!)[31]

4.3. Mama

원곡 1996년 KMTV 라이브
Mama
한때는 당신도 꿈 많았던 소녀였죠

4.4. 나는 쓰레기야 Part I

원곡
나는 쓰레기야 Part I
시궁창 속에 사는 구더기조차

4.5. The Age of No God (無神時代)

원곡 1995년 world 투어 라이브 1997년 tea time with n.ex.t 라이브
  • 해외 스트리밍 사이트들의 음원에는 제목이 'The Age of No Gog'이라고 잘못 되어있다.
The Age of No God (無神時代)
이젠 살아남는 게 목적인 세대는 갔다

4.6. 나는 쓰레기야 Part II (Instrumental)

원곡 1995년 World 투어 라이브

4.7.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하여

원곡 1996년 KMTV 라이브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하여
아직 단 한 번의 후회도 느껴 본 적은 없어

4.8. Requiem for The Embryo (Instrumental)

원곡 1995년 World 투어 라이브

직역하면 배아(Embryo)를위한 진혼곡(Requiem)으로 태어난 이후에 불미스런 일로 죽은 태아와 배아를 위한 진혼곡으로 신해철의 심오한 연주와 명창의 애절한 외침이 묘한 절묘를 이루는 곡이다.

4.9. Money

원곡 1995년 World 투어 라이브
  • Komerican Blues와 궤를 같이 하는 곡. 중간에 랩이 나오는데, 한국어 랩 파트는 국어책 읽기스러운 느낌이 나지만 영어 파트는 상당히 잘 불렀다.
  • 가사에 ‘너’는 곡을 듣는 청자가 아닌 ‘돈’을 뜻한다. 즉, ‘너 = 돈’이라는 의미다.
Money
손에 잡힐 듯

4.10. 나른한 오후의 短想 (Instrumental)

원곡 1995년 World 투어 라이브

4.11. 아가에게

  • 3집 작업 도중 신해철의 조카가 태어났는데, 그 조카를 위해 넥스트 멤버들이 전부 보컬에 참여해 만든 잔잔한 발라드 노래. 신해철은 이 조카가 수능을 보는 2014년에 Welcome to the Real World를 불러 다시 선물하려 했으나 안타깝게도 본인의 손으로 곡을 완성하지는 못 했다. 이후 N.EX.T의 7집으로 추측되는 앨범에 수록될 예정이었던 Welcome To The Real World가 신해철 사후 성지훈 엔지니어와 서태지 등의 손을 거쳐 유작으로 발표된다.
아가에게
해철

4.12. Hope

원곡 1995년 World 투어 라이브
Hope
지금까지 살아온 세월들 속에선

4.13. Questions

원곡 1995년 World 투어 라이브
Questions
병든 자와 노인들은 한쪽 문으로 사라지고

4.14. Love Story (Bonus Track; Instrumental)

원곡 1995년 World 투어 라이브

5. 참여 멤버

  • 녹음 멤버
    • 신해철 - 보컬, 건반 악기
    • 김세황 - 기타(전기 기타, 어쿠스틱 기타), 보컬(11)
    • 김영석 - 베이스 기타, 보컬(11)
    • 이수용 - 드럼, 보컬(11)
    • 서울 풍물단(최익환, 김광수, 임원식, 임영준) - 사물놀이(2, 5)
    • 남궁정애 - 창, 구음(2, 8)
    • 임강구, 김유성(디지털 아시아) - 백 보컬
  • 스탭
    • Mick "Magic hands" Glossop(The Producers) - 믹싱(대영A/V 스튜디오), 마스터링(Metropolis Mastering studios)
    • 김한구 - 보조
    • Ian Cooper(Metropolis Mastering studios) - 마스터링
    • 이상용, 오원철, 임동인, 정문원, 김용식(대영A/V 스튜디오) - 녹음
    • 김한구, 조규범, 양수열, 김원경, 정동철 - 보조
    • 김국현(Bay 스튜디오) - 녹음
    • 황기연, 김동훈 - 보조
    • 이유억(Universal 스튜디오) - 녹음
    • 김은석 - 보조
    • 김경남(레볼루션 No.9)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Annie Holloway - 매니지먼트(The Producers)
  • 시각 스태프
    • 전상일 - 아트 디렉터, 디자인, 컴퓨터 그래픽
    • 이강산 - 디자인, 3D 모델링, 랜더링
    • 이주은 - 디자인
    • 김형균 - 일러스트
    • 이인성 - 사진 디렉터, 사진
    • 나병은 - 사진
    • 조범 - 프로덕션 사진가
    • 유지원 - 스타일리스트
    • 명진아트 - 아트워크
  • 그 외

6. 주요 가사

발전이란 무엇이며, 진보란 무엇인가. 누굴 위한 발전이며, 누굴 위한 진보인가! - <세계의 문>[33]
상투틀던 머리 위에 무스를 머리부터 발끝까지 상표를 변하는 건 세상인가 사람인가 너무 빨라 현기증만 나누나 - <Komerican Blues>
내 삶에 엄마는 처음 알게된 친구였어요 나보다 더 많이 날 알았고 이해했죠 - <Mama>
난 오늘도 그냥 먹고 살고 나는 쓰레기야
어디로 가는가 얼만큼 왔는가 혹은 제자리인가 거꾸로 가는가 알기는 아는가 이게 뭔 소린가 - <나는 쓰레기야 +The Age of No God>
아직 단 한 번의 후회도 느껴본 적은 없어 다시 시간을 돌린대도 선택은 항상 너야 -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해>
사람보다도 위에 있고 종교보다도 강하다 겉으로는 다 아니라고 말을 하지만 약한 자는 밟아 버린다 강한자에겐 편하다 경배하라 그 이름은 돈 돈 돈 돈 - <Money>
네가 흘릴 눈물들은 지금의 눈물관 다르겠지 세상의 어두운 그늘을 알게 된 후엔 하지만 기억해 두렴 슬프고 괴로워도 피할 순 없어 넌 싸워 이겨야만 해 - <아가에게>
이제는 더 이상 흘릴 눈물조차 남아 있지 않을 때 바로 지금이야 망설이지 말고 그냥 뛰어가는 거야 - <Hope>
내게 주어진 시간 속에서 나는 무엇을 보았고 또 느껴야 하는가 내게 다가올 끝날이 오면 나는 무엇을 찾았다 말해야 하는가
- <Questions>

[1] 여담으로 넥스트 1집(카세트)은 신해철과 엑스트라라는 이름으로 복제 음반이 나온 적이 있다(…). [2] 1994~1997, 2005~2012, 2014~ [3] Komerican Blues 리메이크 완료 이후 밴드를 떠났다. [4] 1994~1997, 2006, 2013~ [5] M.NET '최할리의 뮤직쇼' 타이틀 BGM으로 쓰이기도 했다. 한국 케이블TV업계 음악방송의 거의 조상격(…) 프로그램. [6] 원래 1집 'Home'에 도시인과 함께 수록될 예정이었으나 심의 때문에 안될 것 같아 묵혀두고 있었다고 한다. [7] 일본 정도가 직계비속간 결혼을 금하고 있다. [8] 애초에 우생학적 형질변이가 일어나려면 거의 직계비속이나 사촌쯤 되는 유전자교합이 몇 대에 걸쳐 이루어져야 한다. 유럽 왕실은 그게 실제로 일어나서 문제긴 했지만 한국의 동성동본처럼 폭넓으면 사실 그 영향은 미미하다. [9] 당시 라이브 앨범을 들어보면 이때의 상황이 더 편하게 와닿을 것이다. 신해철이 동성동본 커플들의 기본권에 대해 "우리는 죄를 지었으니까 용서해달라는 게 아니에요. 떳떳하니까 인정하라는 거예요."라며 강력히 역설하자 환호하는 관객들의 소리. [10] 허나 같은 멤버였던 김영석의 발언에서 알 수 있듯이 오히려 신해철보다도 김세황이 성격이 있는 편이었다고 한다. [11] 이 기고자는 일반인이 맞다. 왜냐하면 이 리뷰가 기고된 파트가 일반인 기고 파트인 Ready 4 Action이기 때문. [12] 넥스트의 앨범은 언제나 발매 연기를 거듭해왔다. "다음 달에 우리 앨범 나옴. 곡 다 만들었음ㅋㅋ"라는 언플을 접한다면, 그 시점 기준으로 2~3년 후에 나온다고 보면 대충 맞다(...). [13] 《아가에게》는 신해철 개인의 가족 이야기라서인지, 선곡되지 않았다. 이후 라이브 트랙에 단 한 번도 포함되지 않아, 넥스트 3집에서 유일하게 라이브되지 않은 곡으로 남아 있다. [14] 대표곡으로는 절망에 관하여, 아주 가끔은, 70년대에 바침 등이 있다. [15] 참고로 신해철은 투어 제목이 '월드 투어'라서 잠시 설레였었다고 한다(…). 항상 세계 진출에 대한 꿈이 있었던 신해철은 이후로 일본 진출을 앞뒀다가 멤버간 갈등으로 결국 앨범 하나 더 내고 팀을 해체했으며, 그 후로 세계 진출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살다 긴 시간이 지나고 다시 세계 진출의 꿈을 꾸기 시작했을 때에는 얼마 못가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16] The World We Made의 속주 콜라보레이션이 한층 더 날카로워졌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하여'를 부르기 전에는 아예 스캣트랙 비슷하게 대놓고 정부를 까는 코멘트를 그대로 집어넣었다. [17] 나중에는 싱글 자를 빼고 발매되었다. 근데 이 앨범의 아트웍은 전상일 작가가 48시간만에 작업한 날림 물건이라고… [18] 새로 편곡 [19] 기본적으로 싱글은 비정규 앨범이지만, 이 투어는 싱글 발매 때문에 하는 투어다. 이는 '싱글' 이란 제도가 한국에 정착되지 않았을 시절의 흔적이다. 다른 정규반처럼 대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0] 커버는 게리 무어 버전으로 했다. [21] 김영석이 불렀다. [22] 광주 민주화운동 희생자에 관한 추모의 의미. [23] 흔히들 The World We Made라 부르는 곡 맞다. 주로 Part 2만을 이렇게 부른다. [inst] 연주곡 [inst] 연주곡 [26] 단상, 짧은 생각 [inst] 연주곡 [28] 정식 트랙이 아닌 보너스 트랙, 영화 《러브스토리》 테마 [inst] 연주곡 [30] 편곡 김세황. [31] 샘플링된 소리. 원곡인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에서는 "Give me a break! 이다. 서로 일종의 답구를 이루는 셈. 라이브에서는 직접 부른다. [32] 2집까지 소속되어있던 멤버. [33] 최대 음역 F5. 시작이 무려 A#4이며 나레이션 부분을 제외하고 절대 B3 이하로 내려오지 않는다. 저 '진보인가' 부분이 싸그리 다 F5다! 신해철의 목 상태가 안 좋아지기 시작한 1996년 이후의 세계의 문 라이브는 그 때문에 전부 한 키 내려서 했으며(그래도 E5이지만) 2000년대 이후에는 아예 E5를 C#5로 떨어뜨려서 부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4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