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확장자를 주로 사용하는 음악 코덱에 대한 내용은 Vorbis 문서
, 자낳대의 팀에 대한 내용은
2020 AMD 자낳대 시즌 2
문서
, IATA 코드가 OGG인 공항에 대한 내용은
카훌루이 공항
문서
참고하십시오.컨테이너 | 비디오 | 오디오 | |||
무손실 | 음악 | 겸용 | 음성 | ||
Ogg | Theora | FLAC | Vorbis | Opus | Speex |
🎞️ 비디오 코덱 및 포맷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bgcolor=#555>
코 덱 |
<colbgcolor=#555> | MPEG-1 · MPEG-2 Part 2(H.262) · MPEG-4 Part.2 ( DivX · Xvid) · H.261 · H.262 · H.263 · H.264 · H.265 · H.266 |
기타 | DV · WMV · Theora · VP8 · VP9 · AV1 · Apple ProRes · Bink · GoPro CineForm · Motion JPEG | ||
컨테이너(확장자) | ASF · AVI · BIK · FLV · MKV · MOV · MP4 · MPEG · OGG(OGV) · SKM · TS · WebM · WMV | ||
관련 틀: 그래픽 · 오디오 · 비디오 |
1. 개요
Xiph.Org 재단에서 개발하고 있는 오픈소스 컨테이너 포맷이다.2. 특징
본래 Ogg라 하면 .ogg에 담기는 음악 코덱인 Vorbis가 유명하지만, 그 외에도 동영상이나 자막 등 여러 가지 포맷이 존재한다. 'Ogg'는 이 모든 것의 '껍질'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포맷이다. 확장자는 .ogg[1], .ogv[2], .oga[3], .ogx, .spx[4], .opus[5], .flac[6] 등이 있다.원래는 Vorbis 빼고는 듣보잡에 가까웠지만, HTML5가 이 Ogg를 공식적으로 지원하면서 앞으로 성장이 기대될 거라 예상되었던 포맷이다. 오디오의 경우 FLAC(확장자로써 .ogg 대신 .flac을 더 많이 쓴다)을 제외하면 수요가 오히려 줄어들고 있으며, 비디오의 경우 후속 코덱인 VP8, VP9, AV1으로 대체되며 역시 수요가 줄고 있다.
MP3의 경우, 특정 기업에서 파일 포맷과 코덱에 대해 특허권을 행사 중이라 음원을 MP3 형식으로 만들어 상업용으로 활용할 때 이 MP3 기술에 특허를 가지고 있는 집단에 로열티를 지불해야 했다[7]. 하지만 Vorbis를 포함한 Ogg 포맷은 처음부터 오픈 소스 자유 소프트웨어라서 코덱 라이선스의 로열티 지불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8]
3. 지원 코덱 종류
- 오디오
- 손실 압축 포맷
- Vorbis
- Speex - 음성통화용도의 포맷으로, 알게 모르게 많이 쓰이는 코덱. 대표적으로 Xbox 360의 음성 채팅, iPhone의 Siri에 쓰인다. 아래 항목의 Opus 코덱은 이 Speex를 대체하기 위하여 나온 것.
- CELT - 2007년에 개발된 코덱. Opus의 전신이다.
-
Opus - 2012년에 개발된 코덱. 확장자는 .ogg와 .opus를 쓸 수 있다. Xiph.Org을 포함한 오픈소스 그룹,
마이크로소프트,
브로드컴,
구글,
모질라재단 등등에서 공동제작한
오픈소스 코덱이다. 본래
스카이프 같은 인터넷 전화나 화상회의 등에서 쓰이는 G.7xx나 Speex 코덱을 대체[9]하는 용도였는데
AAC와
Vorbis 뺨 때릴 만한 음질을 자랑하는 괴물이 되었다. 스테레오 기준 최대 512kb/s의 비트레이트를 자랑하여 음악감상용으로도 손색이 없다.
2013년 6월부터 ffmpeg에서 인코딩이 가능하며, 음악재생 프로그램은 foobar2000이 지원을 하고, 동영상 코덱팩인 Lavfilter나 K-lite codec pack, 다음 팟플레이어 역시 지원한다. 소개(한글) - 무손실 압축 포맷
- 무손실 무압축 포맷
- OggPCM
- 비디오
- 손실 압축 포맷
- Theora - HTML5에서 구글과 모질라 재단이 밀고 있던 Ogg에 들어가는 코덱이다. 하지만 다른 더 성능이 좋은 코덱들에 밀려 사실상 사장되었다.
- Tarkin
- Dirac - Theora의 후속 코덱이었지만 Daala로 대체되었다.
- Daala - VP10, Thor와 함께 AV1에 통합되었다.
- 무손실 압축 포맷
- OGGUVS
- 기타
- CMML
- Writ
- OggKate
4. 경쟁 컨테이너 종류
- mp4 - 가장 범용적인 ISO 표준 컨테이너.
- mkv - 널리 사용되는 컨테이너 중 하나로서, 코덱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코덱을 담을 수 있게 하기위해 개발된 범용 컨테이너.
- webm - mkv에서 확장된, 구글이 밀어주는 컨테이너.[10]
[1]
Vorbis, Opus, FLAC 등의 오디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컨테이너
[2]
Theora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는 컨테이너
[3]
오디오 전용 컨테이너
[4]
Speex 오디오 전용 컨테이너
[5]
Opus 오디오 전용 컨테이너
[6]
FLAC 오디오 전용 컨테이너
[7]
MP3의 특허는 2017년에 만료되었다. 즉, 2017년 이전까지 있었던 해프닝이었다.
[8]
한때는 이 내용이 '.ogg 파일로 된 음악은 저작권이 없다'라는 식으로 잘못 퍼져서, "저작권이 없는 ogg로 올립니다"라는 멘트와 함께 실제로 Ogg 형식의 음악 파일을 멋대로 업로드하는 사람들이 꽤 있었으며, 이 때문에
뜻하지 않은 정모가 개최되기도 했다. 확장자와 코덱이 무료 자유 소프트웨어 포맷이라고 해도 일단 그 음악 자체의 저작권이 죽는 건 아니니까 주의하는 게 좋다. 박스(Ogg)와 포장 방법(Vorbis)이 공짜라고 해서 그 내용물(음악)까지 공짜가 되는 건 아니니까 말이다. MP3의 경우 박스(mp3), 포장 방법(MPEG Audio Layer 3), 그 내용물(음악)이 모두 유료였다가 대략 2018년 이전에 박스와 포장 방법의 특허가 하나둘 만료되어 무료가 되었으나, 그 내용물인 음악 자체는 여전히 저작권이 존재하고
저작자 사망 후 70년이 지나야 저작권이 소멸되는 건 마찬가지이다.
[9]
64kb/s 이하의 저 비트레이트에서 쓰인다.
[10]
이거 때문에 ogg 미래는 그리 밝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