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10:58:18

M2020 차륜형 장갑차

파일:북한 국기.svg 현대 조선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조선인민군 (1948~현재)
朝鮮人民軍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 T-34-76 개량형WPRG | OT-34 | T-34-85WPRG | OT-34-85
MBT 1세대 59식 전차 | T-54 | T-55
2세대 T-62 | 천마-(가/나/다/ 92/ 98/ 214) | T-72 우랄X
2.5세대 천마-( 215/ 216) | 선군-915
3세대 천마-2추정
경전차 공신호L/R | PT-76 | 82식 신흥 | 62식 전차 | 63식 전차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152 | BTR-60PB | BTR-80A/Y | BRDM-2 | M-1992 WAPC | M-2010 WAPC | M-2020 WAPC
궤도장갑차 BTR-50(P/PK) | 63식 | VTT-323 신흥 | 준마-ㄹ
차량 소형 GAZ 보드닉 | GAZ-69 | UAZ-469/승리-415 | BZ-2020SJ | 갱생-(68/85) | 신형 장갑 4륜구동차
트럭 ZiL-(130/131/135/151/157) | MAZ-7310 | 우랄-4320 | KrAZ-255 | 로만 | 승리-(58(가)/61(나))WPRG | HEMTT 유사 신형 중트럭 | 2022년 등장 ATGM 탑재차량 | 기타 잡다 차량
자주포 자주곡사포 곡산포 | 주체포 | M-1977 | 덕천 | 주체107년식 155mm 자행형곡사포
자주박격포 M-1992 120mm
대전차 자주포 SU-76MWPRG | SU-85WPRG | SU-100WPRG | M-1974 | M-1972 | 신형 기동포(2020년형, 2024년형)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 ZSU-23-4 | M-1985 | 30mm 쌍신자행자동고사포
단거리
대공미사일
화승총 | 번개-3 |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다연장로켓 63식, 75식 여맹호, M1977, M-1977/1985/1993 | BM-11 | BMD-20 | BM-24 | M-1989/1991 | KN-09 | KN-16 | 신형 방사포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WPRG: 준군사조직인 로농적위군 (Worker-Peasant Red Guard)에서 사용하는 차량들
※ 윗첨자R: 퇴역 차량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파일:북스트라이커.jpg
파일:1610673373.jpg

1. 개요2. 제원3. 파생형
3.1. 2020년 첫 공개 신형 기동포3.2. 신형 5연장 대전차미사일 발사차량3.3. 2024년 첫 공개 신형 기동포

1. 개요

M2020 차륜형 장갑차는 북한에서 대전차포, 대전차 미사일 등의 무기를 탑재한 플랫폼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8X8륜형 차륜형 장갑차이다.

기존 북한군의 주력 차륜형 장갑차인 M2010 APC가 원본인 러시아의 BTR-80을 거의 그대로 본딴데 반해, M2020 차륜형 장갑차는 BTR 차량으로 굳이 M1126 스트라이커 장갑차의 모습을 흉내낸 흔적이 가득하다.
34초부터
2023년 8월 11일~12일 김정은이 생산공장을 시찰했는데, 이 소식을 다룬 북한 조선중앙TV 뉴스 보도에서 다용도 전투장갑차라는 제식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2. 제원

3. 파생형

3.1. 2020년 첫 공개 신형 기동포

파일:북한기동포.png

2020년 10월 10일 조선노동당 창당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공개된 M2010 8륜형 기반 북한의 신형 기동포로 북한판 스트라이커 MGS. 원본이 D30 곡사포로 추정되는 122mm 대전차포를 오버헤드건 방식으로 탑재하고 있다. # 한국 밀리터리 매니아들은 북스트라이커, 북괴트라이커라는 별명을 붙였다. 북한이 실제로 운용가능하다는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의 임철균 연구원의 주장 #과 오버헤드건 방식등 여러가지 문제점으로 더미에 불과하다는 주장 #이 같이 제기되고 있다.

2021년 1월 14일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를 기념하는 열병식에 다시 등장하였다.그런데 포탑 뒤쪽의 자동장전장치로 추정되는 부분이 2020년 열병식에 공개된 기동포보다 조금 더 커진 형태를 하고 있는데 장탄수를 늘린 것으로 보인다.

3.2. 신형 5연장 대전차미사일 발사차량

파일:북한코넷.png

2020년 10월 10일 조선노동당 창당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같은 차대를 쓰는 신형 대전차 미사일 5발을 탑재한 자주 대전차미사일 차량이 등장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 미사일을 9K135 코넷 북한 버전으로 추정했으나, 자위-2021에서 등장한 불새-5 사진 등과의 검증에서 열상조준기의 형상이 9K135 코넷이 아닌 9M113 콘쿠르스와 유사하다는 분석이 조셉 뎀시[1]와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의 임철균 연구원[2]에 의해 제기되었다.


파일:M-2020 APC 1.jpg
파일:M-2020 APC 2.jpg
2021년 《자위-2021》 소개 영상에서 기동 모습과 사격 모습이 잠깐 등장한다.

파일:북코넷 2023.jpg
2023년 7월 26일 무장장비전시회-2023 소개 영상에서 더 선명한 사격 모습이 등장했으며, 미사일의 형상으로 보아 9M113 콘쿠르스가 아니라 9K135 코넷-EM형 카피임이 확인되었다.

파일:0001081316_002_20230814081003319.jpg
파일:0003242433_001_20230814084801109.jpg
2023년 8월 11일 김정은이 생산공장을 시찰하고 직접 운전하는 모습이 북한 언론에 보도되었다.

3.3. 2024년 첫 공개 신형 기동포

파일:2024ssssss.jpg

첸타우로와 비슷하게 생긴 목업이 전시되어있다. 2020년 기동포와는 다르게 첸타우로처럼 포탑형인게 특징.


[1] 출처 - # [2] 출처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