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12:23:56

GM EV1


파일:나무위키+유도.png  
ev1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기아의 경형 전기 해치백에 대한 내용은 기아 EV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너럴 모터스의 전기자동차 플랫폼
초대 EV1 BEV2 플랫폼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1964-2021).svg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a0001620_4e87fedeef133.jpg
EV1

1. 개요2. 상세3. 쇠락4. 기타5. 둘러보기

1. 개요

제너럴 모터스가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생산한 세계 최초의 대량생산 전기자동차이며, GM 브랜드로 판매된 얼마 안 되는 차량이다.

2. 상세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a0001620_4e87fedeef133.jpg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a0001620_4e88013bc57f0.jpg
외부 내부
EV1
<colbgcolor=#0771d8> 생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미시간주 잉그햄카운티 랜싱
차량형태 2도어 쿠페
승차인원 2명
전장 4,309mm
전폭 1,766mm
전고 1,281mm
축거 2,512mm
윤거(전) 1,470mm
윤거(후) 1,244mm
공차중량 1,350kg
타이어 크기 175/65R14
배터리 용량 납축전지: 16.5-18.7kWh / 니켈수소전지:26.4kWh
항속거리 (EPA) 납축전지: 89km / 니켈수소전지:169km
플랫폼 GM P 플랫폼(전륜구동)
구동방식 앞모터-앞바퀴굴림(FF)
전륜 현가장치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멀티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드럼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모터 형식 제어 방식 최고출력 최고토크
3상 교류 유도전동기 IGBT 139ps 15.2kg·m
The electric car it's here
EV1 런칭 당시 슬로건

1990년 캘리포니아 대기자원국은 자동차 메이커들이 무공해차 판매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당연히 자동차업계에 후폭풍이 몰아쳤고 그 무공해차 판매에 선두에 선게 당시 세계 최대의 자동차 메이커였던 GM이었다. 1990년에 공개한 GM 임팩트(Impact) 컨셉트카를 양산화한 EV1은 메이저급 자동차 메이커에서 첫 대량생산 전기차로 내놓은 물건이었고, 태양열 전기자동차 대회 준비와 임팩트 컨셉트카의 개발 등으로부터 얻은 기술력들이 대거 투입되었다.[1]

EV1은 GM P-바디 플랫폼[2]을 기반으로 했고 중량을 줄이기 위해 132kg에 불과한 가벼운 알루미늄 섀시를 사용한 2도어 2인승 소형 쿠페 바디를 가졌다.[3] AC 전기모터와 납축전지의 조합은 1998년식에서 고성능 납축전지로 교체했다가 1999년의 2세대 모델부터 가볍고 성능이 좋은 니켈수소 전지로 교체되었다.[4][5] 장난감 같아 보이는 허술한 모양새지만 마그네슘 구조의 시트, 경량 강화플라스틱 바디 등, 고가의 경량 소재를 아낌없이 사용했고, 0.19Cd의 뛰어난 공기역학적 설계는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0-100km/h 가속 10초 미만, 최고속도는 130km/h까지 가능하여 승차인원을 빼고는 일반 휘발유 소형차에 크게 뒤지지 않았다. 실제 구입 대신 장기 리스만 가능하게 했지만, 33,995달러에 맞춘 가격은 2인승밖에 안되는 소형 바디를 차치하더라도 당시 최첨단을 달리던 EV1의 성격을 감안하면 마냥 터무니없이 비싼 가격도 아니었다.

EV1의 판매는 새턴 딜러망을 통해 제한된 숫자만큼만 LA, 피닉스, 애리조나 등의 지역 거주자에게만 리스 형식으로 이뤄지다가 대상 지역이 점차 확대되었다. 월 399~549달러를 3년간 내는 리스 형식의 판매였는데다가 당시 150군데가 넘는 전기충전소 덕분에 충전이 불편하지만도 않아서 EV1의 소비자 반응은 생각보다 괜찮은 편이었다. 하지만 하나부터 열까지 비싼 기술력으로 차를 완전히 새로 개발한데다가 성능과 내구성을 이유로 생산분마다 배터리 종류를 바꾸다보니, 고작 800대의 EV1 리스 판매로 인해 소모하게 되는 4년간 생산비는 백만 달러가 넘어 제너럴 모터스에게 있어서 수지타산이 맞지 않았다. 무공해차 정부지원이 나오고 있었지만, 전기차의 등장으로 장기적으로 손해를 보게 될 정유업체들이 앞장서서 전기차 충전소를 명목으로 세금을 걷는 것에 대규모 반대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더군다나 자동차 메이커 연합은 캘리포니아 대기자원국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이겨 무공해차 판매 시기를 늦추고 '저공해차' 판매 조약을 대신 이끌어냈다. 돈이 많이 드는 순수 전기차에 비해 천연가스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생산하는 상대적으로 만만한 대안을 얻어낸 셈이다.

3. 쇠락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a0001620_4e88014a27bfa.jpg
폐차된 EV1

결국 GM 혼자 개발하고 있던 전기차 프로그램은 2002년에 GM 본사 측에서 중단시켰고, 임차인이 EV1을 인수를 할 수 있는 선택의 여지 없이 전량 회수해버렸다. 회수한 은색, 진초록색, 빨간색의 EV1들은 일부 박물관이나 교육 시설에 기증된 것을 제외하고[6] 전량 폐차되었다.

EV1의 단종을 두고 지금까지도 말이 많다. 환경운동가들은 정부 규제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시작했다가 발을 뺄 수 있는 상황이 되자 재빨리 EV1을 폐기처분해버린 제너럴 모터스, 그리고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의 감축을 우려해 무공해차 판매 규제 폐지 로비에 가담했을 석유 업체들에 EV1 멸망의 책임을 묻고 있다. 이미 '누가 전기자동차를 죽였나?'라는 다큐멘터리 영화도 나온 적이 있었고, GM은 그러한 음모론과 별개로 여전히 이익 문제를 이유로 들고 있다.

당시 부회장이였던 밥 루츠의 저서 '빈 카운터스'에 의하면, 이익 문제 외에도 운전 시 사고가 났을 때 책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GM 법무실의 의견에 따라 전량 폐기를 결정했다고 하는데, 하필 홍보실에서 이를 누설하면서 지금과 같은 논란이 생겼다고 한다. 결국 부서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지금의 원인을 만든 것인지도...

4. 기타

파일:external/pds22.egloos.com/a0001620_4e8802a3195a7.jpg
EV1을 소재로 다룬 다큐멘터리 "누가 전기차를 죽였는가?"
  • 이렇게 사라진 EV1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 자우림 EV1이라는 곡이 있다.
  • 이후 2008년, GM에서 자신들의 가장 성공적인 차량 10대 중 하나로 선정하였다.[7]
  • 심슨 가족 시즌 11 1화(Beyond Blunderdome)에 'Elec-Taurus'라는 가명으로 등장.
  • 형사 가제트 실사영화에 은색 EV1이 두 차례 출연한다. 처음에는 주인공 존 브라운이 브렌다 브래드포드를 만나러 연구실 주차장으로 향하는 장면에서 은색 EV1이 주차된 상태로, 두 번째는 같은 조합의 차량이 가제트모빌이 페니를 급히 집에 바래다주는 장면에서 브렌다의 뒤편에서 주차된 차량으로 등장한다. 출연하는 장면 맥락상 브렌다의 개인 자가용으로 볼 수도 있다.
  • 기아의 전기자동차 브랜드 기아 EV에서 EV1이라는 동명의 차종이 나중에 출시 예정이다. 다만 모닝과 비슷한 크기의 경형 해치백으로 출시할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이다.

EV1의 정보와 설계도 등등 자료가 있는 사이트

5. 둘러보기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 화이트.svg
제너럴 모터스의 차량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771d8,#191919><rowcolor=#fff> 차종 차량
승용차 EV1 · 하이드로젠3 · 하이드로젠4
상용차 올드 룩 버스 · 뉴 룩 버스 · 버팔로 버스 · 퍼더라이너 ·
TDH-4801 & TDM-4801 · PD-4103 · PD-4501 시닉크루저 · 클래식
대전차 자주포 M10 GMC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각 브랜드별 차량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현재 계열사별 차량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771d8,#191919><rowcolor=#fff> 쉐보레의 차량 목록
GMC의 차량 목록
뷰익의 차량 목록
캐딜락의 차량 목록 }}}}}}{{{#!folding [ 과거 계열사별 차량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771d8,#191919><rowcolor=#fff> GM대우의 차량 목록
마르퀘테의 차량 목록
홀덴의 차량 목록
브라이트드롭의 차량 목록
올즈모빌의 차량 목록
허머의 차량 목록
폰티악의 차량 목록
새턴의 차량 목록
아스나의 차량 목록
지오의 차량 목록 }}}}}}}}}}}}
}}}}}}}}} ||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 화이트.svg
제너럴 모터스의 플랫폼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e5e5e5
<rowcolor=#fff><colbgcolor=#0771D8><colcolor=#fff> 차급 현역 플랫폼 퇴역 플랫폼
소형차
소형 SUV
VSS-F Y, T, P, M, J, H(RWD), 4200, 감마, SCCS피아트 공동 개발, G2XX
준중형차 D2XX X(RWD), X(FWD), L, R, T, Z, 델타
중형차 E2XX, 알파 F, A(FWD), W, J, 2900, N( GMX130), 입실론, 프리미엄피아트 공동 개발
준대형차 VSS-R예정, P2XX, 알파Ⅱ V, K, W, 시그마, 제타, 입실론
대형차 오메가 A(RWD), B, C(FWD), C(RWD), E, D, HQ, H(FWD), G(FWD), G(RWD), V, 제타
스포츠카 Y2XX 카파
SUV VSS-S, C1XX GMT200, 세타, 람다
트럭 VSS-T, T1XX GMT325, GMT330, GMT355, GMT360, GMT400,
GMT600, GMT700, GMT800, GMT900, K2XX, 31XX
MPV SGM258, SGM358 -
전기자동차 BEV2, BEV3, BT1 BEV1
개발도상국용 GEM, PATAC-K -
}}}}}}}}}}}} ||




[1] 다만 세계 최초의 전기차는 19세기 후반에 등장했다. 대량 생산에 성공하기까지 100년이 넘게 걸린 셈이다. 토마스 에디슨이 전기자동차를 만들어 판 적이 있었고, 포드의 창업자인 헨리 포드가 그 밑에서 잠시 일한 적도 있었다. [2] 전륜구동 플랫폼으로 폰티악 피에로에 썼던 동명의 후륜구동 플랫폼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3] 비슷한 시기에 나온 혼다 인사이트도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섀시로 만든 2인승 쿠페로 만들어졌다. 결국에는 실용성이 떨어져 판매 성과는 영 아니었다. [4] GM측은 배터리의 기술이 충분치 않아, 주행거리나 충전속도 등 효율이 떨어진다며 EV1의 폐기이유를 들었으나, 이미 당시 모 배터리 개발자가 효율이 훌륭한 배터리를 개발했었다. 개발자는 자신이 찬사를 받을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여러 단체와 기업, 정부에 의해 광고도 내지 못하게 하는 등 압력을 받자 이상하게 생각했다고 한다. 그 뒤 GM은 초기 EV1에 DELCO사의 저효율 배터리를 탑재했다. [5] 주행 거리는 생산 시기에 따라 90~240km으로 제너럴 모터스에서는 배터리의 성능과 내구성 때문에 고심하면서 생산분마다 배터리를 다른 종류로 바꾸었다. [6] 물론 이때도 공도에서 절대 주행하지 못하도록 아예 전기 구동계를 무력화 시켰고, 이것을 복구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기증되었다. [7] EV1 외에 선정된 다른 차량으로는 1910년형 캐딜락 모델 30, 1912년형 캐딜락, 1927년형 오펠 올림피아 LsSalle, 1930년형 캐딜락 V16, 1949년형 사브 92, 1953년형 쉐보레 콜벳, 1955년형 쉐보레 벨 에어, 1964년형 폰티악 GTO 등이 있다. 보다시피 EV1을 제외하면 전부 클래식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