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T'는 여기로 넘어옵니다. Carbon Nano Tube에 대한 내용은 탄소나노튜브 문서 참고하십시오.
전국 노동 연맹 Confederación Nacional del Trabajo |
||||
[1] |
||||
1910년 ~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연맹가 |
인민의 아들딸들이여 Hijos del pueblo[2] |
||
종교 | 무종교( 국가 무신론), 세속주의 | |||
언어 | 스페인어 | }}} |
스페인어: Confederación Nacional del Trabajo
카탈루냐어: Confederació Nacional del Treball
바스크어: Lanaren Konfederazio Nazionala
갈리시아어: Confederación Nacional do Traballo
[clearfix]
1. 개요
20세기에 휘몰아치던 혁명적 조합주의 운동의 영향을 받은 이베리아 반도의 아나키스트와 조합주의자들이 SO[3]를 바르셀로나에서 세웠고 1909년 바르셀로나 총파업을 일으켰지만 군인들에게 잔혹하게 탄압되었다.[4] 이후 1910년 10월부터 11월 까지 이어지던 총회에서 스페인 전국 노동자들의 조직을 세우자며 만든 것이 바로 CNT(Confederación Nacional del Trabajo. 전국노동총연맹) 조직 체계 자체는 프랑스의 CGT(Confédération Générale du Travail. 노동총연맹)에 기반을 두었으며 이후 스페인 역사의 혁명적 조합주의적 단체로 남게되었다. 이후 FAI(Federación Anarquista Ibérica. 이베리아 아나키스트 연방), JL(Juventudes Libertarias. 청년 자유의지주의자)등의 산하단체들을 만들며 CNT를 아나키즘적 조직으로 남게하려고 노력하기도 하였다.[5] 현재는 스페인 내전에서의 패배등으로 세력이 줄고 여러 분화되기도 하였지만 아직까지도 스페인내에서의 3번째로 큰 노동조합을 차지할 정도로 아직까지 건재한 세력을 유지하고있다.2. 역사
2.1. 스페인 아나키즘의 초기
17세기 중반에 제국으로서의 정점을 찍은 후 스페인은 각종 전쟁에서의 거듭 된 패배, 왕실, 귀족, 고위 성직자로 대표 되는 지배 계급의 역동성 상실, 경제적 몰락, 신대륙 제국의 상실, 내부적 민족 갈등 등을 겪으며 19세기에 들어서는 시작 부터 나폴레옹에게 강냉이 펑펑 터지도록 두들겨 맞고, 그 이후에도 1820년대에 잠시 집권한 자유주의 헌법주의 세력을 축출하기 위해 루이 18세가 보낸 '성 루이의 10만 아들'이라고 이름 불린 2차 군사 개입, 그에 따른 왕위 계승 문제와 북부 바스크, 나바라지방 자치 문제를 두고 터진 카를리스타 내전을 통해 나라 꼴이 어디 몽둥이로 때려 청소한 카페트 마냥 너덜너덜해져 있었다. 정치적 상황이 이렇게 난장판이다 보니 문화적 성향과 사회적 개방성 또한 지속적으로 움추려 들어서 이 이후로 스페인은 주로 선진 문물, 사상 등을 주로 외국에서 수입하는 입장이 되어 버렸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각각 역사적으로 관계가 깊은 프랑스, 이탈리아와의 교류가 잦았던 바스크지방, 카탈루냐를 중심으로 산업 혁명과 이에 따른 사회적, 정치적 여파가 밀려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런 새로운 국가적 규모의 경제적, 사상적, 사회적 전환 중에서 동시대 유럽 전체를 휩쓴 샤를 푸리에, 앙리 드생시몽,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미하일 바쿠닌 등의 굵직한 사상가들로 대표되는 사회주의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스페인에 직접적으로 좌파 사상이 유입 되기 시작했던 1860년대, 70년대는 정치적으로는 여전히 옛 버릇 못 버리고(...) 제 3차 카를리스타 전쟁, 서부 해안 발렌시아 지방 알코이 노동자들의 무장 봉기, 스페인 단일 왕국을 카스티야, 카탈루냐, 나바라, 안달루시아 등의 다양한 역사적 지방들의 연방 국가이자 입헌 군주국을 주장했던 칸톤주의자[6]들의 혁명으로 무려 트리플 쌍쌍으로 내전, 아니, 식민지 쿠바의 첫 독립 무장 봉기 까지 합치면 네개의 내전을 겪으면서 또 정부는 보르본 왕정에서 엉뚱하게 이탈리아 출신 아마데오 1세를 왕으로 뽑은 입헌 군주국에서 또 제1공화국, 그리고 이 제1공화국을 갈아 엎고 보르본 왕조가 다시 집권하며 4번이나 바뀌는 등 단일 국가로서의 스페인이 얼마나 취약하고, 무능한지 대내외적으로 똑똑하게 인증을 하던 시대이기도 했다. 이러니 본인들의 눈 앞에서 중앙 정부와 단일 국가가 자기 자신을 감당하지도 못하고 무너지는 꼴을 보고 살았던 스페인의 좌익 운동 1세대 지식인, 혁명가들은 나머지 유럽에서 1차 인터내셔널이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중앙 정부의 존재 여부를 두고 공산주의의 시조가 되는 마르크스파와 아나키즘의 시조가 되는 바쿠닌파로 쫙 갈라지자 자연스럽게 민족 국가와 수직적 관료제로 운영 되는 정부의 존재 자체를 악으로 보았던 바쿠닌 계열로 빠지게 되었다. 1868년 미하일 바쿠닌의 사상적 제자였던 주세페 파넬리가 1차 인터내셔널의 스페인 대표들을 모집하려고 온 마드리드에서 당시 칸톤주의 봉기와 노동 운동에 연관 되어 있었던 안셀모 로렌소 아스페리야, 프란세스크 페레르 과르디아 등의 지식인들과 만나며 스페인의 아나키즘은 첫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2.2. CNT의 태동에서 제 2공화국 까지
처음 스페인의 아나키스트들은 수도인 마드리드를 거점으로 삼았으나, 이때 까지만 하더라도 마드리드는 산업 도시가 아니라 수도로서의 행정 기능이 더 강했고 [7], 또 역시 수도로서의 자의식에 기반한 아나키스트들이 그토록 증오한 상하 계급의식이 널리 퍼져 있어 산업 도시로서 이미 큰 발전을 이루었고, 마드리드에게 눌린 카탈루냐의 역사적 수도라는 자부심과 불만으로 중앙 정부에 대한 반골 성향이 강했던 바르셀로나로 거점을 옮겼다. 바르셀로나 전통의 역사적, 정치적 반골 성향이 아나키즘과 잘 부합할 거라 생각하였던 초기 아나키스트들의 생각은 맞아 떨어져 짦은 시간 내에 바르셀로나의 새로 쑥쑥 자라고 있는 노동계급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고, 이들의 많은 수를 차지했던 안달루시아 출신의 노동자들이 고향에 돌아 가거나 타향으로 또 옮기면서 사상이 전국적으로 전파 되어 19세기 말이면 이미 전국에 상당한 영향력을 두고 있었다. 문제는 이 당시 아나키스트들은 초기의 단체 조직 시도가 좌파 인텔리 특유의 노선 싸움과 내분(...)으로 망한 이후 제대로 조직화 되어 있지 않았다. 게다가 이때만 하더라도 아나키즘 내부에서 유행하는 주류는 내래 저 간나 봉건 임금, 지주, 귀족놈들을 폭탄으로 시밤쾅!하고 날려 버리면 그 다음에 새로운 질서가 오겠지란 마인드를 기본에 깔고 있는 '행동의 프로파간다 (propaganda of deed, propaganda por el hecho)'라는 폭력 테러리즘이어서 공안 당국에게 합법적으로 두들겨 처맞기 딱 좋았다. 물론 노동운동이 그때 합법이었던 것도 아니긴 했지만. 1870년대에서 1920년대 까지 후안 프림, 까노바스 데 까스띠요, 호세 까날레하스, 에두아르도 다토 등 수상, 거대 정당 당수 등 거물급 정치인들이 아나키스트 테러 공격으로 암살 당했고, 국왕 알폰소 13세의 목숨도 노릴 만큼 국가 기관에 대놓고 도전장을 내밀었으며, 스페인 정부 또한 이에 무차별적인 아나키스트들에 대한 무지막지한 탄압과 처형, 투옥, 고문으로 회답하였다. 결국 암만 테러리즘으로 정부의 수뇌를 죽여도 정부가 사라지는게 아니라 딴놈이 대신 그 자리를 먹을 뿐이란 사실을 인식하며 스페인의 아나키스트들이 좀더 조직화 되고, 단발성 테러가 아니라 노동 계급의 의식적, 계급적 각성을 통해 장기적 관점에서 사회 혁명을 추구하기 위해 집결 하면서 1910년 바르셀로나에서 전국 노동 연맹이 탄생하였다. 1910년 당시 3만명이란 비교적 작은 수로 시작했던 CNT는 프리모 데 리베라 독재 정권과 보르본 왕조의 말년, 그리고 제2공화국 시기를 겪으며 스페인 내전때는 전국에 150만 노조원을 자랑하는 명실부공한 스페인 노동계의 최강의 조직으로 성장하였다.초기의 CNT는 세력과 전과가 컸던 만큼 탄압 또한 극심하게 받았고, 1910년대와 1920년대를 거쳐 여러 차례 불법 조직으로 취급 되어 국가 당국의 집중적인 박해를 받았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CNT는 아나키즘의 사상적 유연함에서 비롯 된 각종 문화적, 사회적 활동을 스페인 특유의 전통적인 지방자치주의 전통과 맞물려 세력을 크게 확장해 나갔고, 특히 1919년의 바르셀로나 수도 노동자들의 파업으로 시작했던 대규모 파업은 스페인을 세계 최초로 8시간 노동을 법제화 한 나라로 바꾸는 등, 성과 또한 커졌다. 스페인 노동 운동계 내에서도 이후 등장한 온건 사회주의 계열의 UGT, 그리고 훗날 소련의 노선을 따르는 스페인 공산당의 도전을 차례로 받았으나 이미 스페인 전국에 뿌리를 깊게 박은 CNT의 주도권이 뺏기는 일은 결코 없었다. 이렇게 CNT가 탄압 받으면서도 꾸준히 성장하는 와중, 1931년, 국내의 자유주의자, 사회주의자들의 압력을 견디다 못한 알폰소 13세가 퇴위하고 스페인 제2공화국이 선포 되면서 당시 스페인 좌파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CNT의 역할과 운명도 크게 바뀌게 된다.
2.3. 제2공화국과 스페인 내전 및 이후
이미 낡아 빠질 대로 낡아 빠진 보르본 왕조를 대체하고 새로 들어온 공화국 정부는 불안정한 자유주의적 부르주아 계열과 좌파 사회주의 세력의 협력으로 구성 되어 있었고, 정부 교체에 고무 받은 CNT와 아나키스트들은 공화국을 봉건 왕조와 무정부 상태의 해방 된 스페인의 과도기적인 상태로 간주하여 지속적인 파업, 노동 봉기와 쟁의를 통해 '혁명의 완성'을 이룩하려고 하였다.당연히 기존 좌익계와 아나키스트는 알력 다툼이 생길 수밖에 없었고, 이런 내부분열을 놓치지 않은 우익에게 좌익은 1933년 총선을 넘겨주게 된다. 위기의식을 느낀 기존 좌익계와 아나키스트는 임시로 대동단결, 바로 다음 총선인 1936년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이 혼란스러운 전간기, 스페인에서 좌익과 우익은 선거에서 서로를 굴복시키려 했고, 끝내는 서로를 스페인 본토에서 말끔히 '청소'하기로 한다. 정권을 잡은 좌익과, 정권을 놓치고 아프리카 군단을 비롯한 정예병을 확보한 우익 및 군부의 구도 속 그 방아쇠를 가장 먼저 당긴 건 군부였고 36년 2월부터 계획해왔던 쿠데타를 7월 17일 실행. 50만 명 가까이 되는 인명피해를 내게 되는 스페인 내전이 그렇게 시작된다.
내전 중, 아나키스트들은 후술할 관련 항목에 등장하는 여러 임시정부를 세우나, 피비린내나는 내전은 파시스트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과 붉은 물결이 퍼지는 것을 염려한 기존 협상국 세력의 방관으로 군부와 우익의 승리로 끝나면서, 내전 패배와 뒤이은 탄압으로 좌익은 결정타를 얻어맞아 그 세가 크게 줄어든다.
프랑코 정권 치하에서 좌익계 정당 및 단체가 불법화되어 다른 단체와 함께 탄압받으면서 끈질기게 버텨온 연맹은 후안 카를로스 1세가 아돌포 수아레스를 총리로 임명하는 등등의 민주화 개혁을 진행하면서 다시 합법화되어 현재에 이른다.
3. 어록
"그것이 내가 처음 겪은 노동자들에 의해 운영되는 도시의 모습이었다. 도시 곳곳의 건물에 노동자들이 모여 붉은 깃발이나 적색과 흑색으로 된 아나키즘 깃발을 걸었다. 어디에나 낫과 망치가 걸려 있었고 혁명 정당의 약자가 새겨졌다. 교회에 걸려있던 성상은 파괴되고 불태워졌다. 모든 상점과 카페테리아에서는 삼삼오오 모여 앞으로의 향방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심지어 구두닦이까지 이러한 토론에 뛰어들었으며 그들의 공구함을 적색과 흑색으로 칠하여 들고 다녔다. 점원과 식당 종업원은 손님을 정면으로 응시하며 말하였고 그들과 자신이 동등하다는 것을 자부하고 있었다. 이전에 쓰이던 몇몇 단어들은 도시에서 더 이상 들리지 않게 되었다. 세뇨르(스페인어: señor, 영어의 sir에 해당하는 경칭), 돈(스페인어: don, 귀족의 성씨 앞에 붙이는 관사)이니 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스테드(스페인어: usted, 동사 변화에 사용되는 높임말)와 같은 것도 사라졌다. 누구나 상대를 '동지'나 '너'라 불렀다. 거리에서 만나는 사람마다 서로에게 "건강을"(스페인어: Salud), "안녕하세요"(스페인어: Buenos dias) 하고 인사하였다."
조지 오웰, 카탈로니아 찬가
조지 오웰, 카탈로니아 찬가
"이곳 스페인에서나, 저 멀리 미국에서나, 어디에서든지 저 웅장하고 거대한 궁전들과 도시들을 건설한 것은 바로 우리 노동 계급이오. 설령 지금 있는 것들이 파괴된다 할지언정 우리는 새로, 그것도 더 좋게 지을 수 있소. 다만 확실한 것은 이 세계를 물려받을 것은 우리라는 점뿐이오. 그러니 자본가들이 역사에서 퇴장하기 전에 세상을 잿더미로 만들고 간다 한들 전혀 두려울 게 없소. 우리는 새로운 세상을 가슴속에 품고 있소. 그리고 그 세상은 지금 이 순간에도 더 크게 자라고 있고."
부에나벤투라 두루티, 스페인 내전 당시 바르셀로나에서 있었던 기자 회견 중.
부에나벤투라 두루티, 스페인 내전 당시 바르셀로나에서 있었던 기자 회견 중.
"¡A las Barricadas! ¡A las Barricadas! Por el triunfo de la Confederación." "바리케이드를 향하여! 바리케이드를 향하서! 연맹의 승리를 위하여!"
연맹가 바리케이드를 향해의 후렴구. 사실 공식 연맹가는 바리케이드를 향해가 아니라 인민의 노래이지만 인지도가 바리케이드를 향해가 압도적이다.
연맹가 바리케이드를 향해의 후렴구. 사실 공식 연맹가는 바리케이드를 향해가 아니라 인민의 노래이지만 인지도가 바리케이드를 향해가 압도적이다.
4. 관련 항목
[1]
가운데의 마크가 빠지는 버전도 많이 나온다. 적색과 흑색의 위치도 종종 바뀌는데, 일단 가장 최근의 2010년 연맹 총 집회에서는 빨간색이 왼 위쪽, 검은색이 오른 아래쪽으로 내려오는 걸로 확실하게 정했다.
[2]
2010년 창건 100주년을 기념해 기록조차 제대로 남지 않은 원곡을
아나키스트 언론 Tierra y Libertad에서 발굴, 편곡하여
바리케이드를 향해와 함께 재녹음했다.
#
#
[3]
Solidaridad Obrera. 노동자의 연대라는 뜻의 조직으로 1907년에 바르셀로나에서 조직된 이베리아 아나키즘적 조합주의 조직이다. 이 조직 자체도 19세기 중후반에 있던 스페인 지역 연맹(Federación Regional Española de la Asociación Internacional de Trabajadores), 스페인 지역 노동자 연맹(Federación de Trabajadores de la Región Española)등이 전신으로 있다.
[4]
이를 비극의 한주(la Setmana Tràgica)라고 부른다.
[5]
사람들이 오해하지만 CNT 그 자체는 그 이름부터 전국 '노동' 연맹인 만큼 노동자들의
노동조합이였다. 그렇기에 지도부에는 개량주의자들, 심지어는 맑시스트도 있었으며 적색노동조합(프로핀테른)에 가입하려다가 조합원들한테 선넘지 않았나며 퇴짜맞기도 하는 일이 있었으며 몇몇 사람들은 진짜로 아나키즘 정당인 생디칼리슴당을 만들기도 하였다. 물론 아나키스트들이 정당에 옹호할 이유는 없기에 1%만 득표먹고 나가떨어젔으며 주요 지지층이어야 했던 아나키스트들은 투표거부를 행했지만
[6]
스위스의 주들을 부르는 그 칸톤 맞다.
[7]
도시 항목을 들어가 보면 나오는 내용이지만 오히려 마드리드는 역사적으로 주변 도시의 산업들을 상당히 빨아 먹으며 성장하다가, 19세기 말, 20세기 초반 쯤에야 본격적으로 자체적인 산업이 들어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