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6 08:05:52

훠선산 병원

화신산의원에서 넘어옴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황/국가별/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집단감염 사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2023년 이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현황 / 평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대한민국의 법률과 정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단계적 일상회복 / 과학방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경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반응/대한민국 여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사건 사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주요 국가 (2023년 5월)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0,#fff> 공통
개요
<colbgcolor=#ccc,#222>
경과 / 현황
경과 · 발생 국가 · 전 세계 현황 · 국가별 현황
사회적 영향
대응 아시아( 대만, 북한, 인도, 일본, 중국 ( 본토 ( 경과), 홍콩),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미얀마,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이란,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 유럽( 영국, 튀르키예, 러시아, 스위스,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 아메리카( 미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 오세아니아( 호주, 뉴질랜드) · 아프리카(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제기구 · 출입국 현황 · 중국 책임론 · 대중국 소송
반응 아시아인 혐오 · 논란 · 루머
영향 경제 · 교육( 등교 관련) · 문화 · 물류 · 시험 · 스포츠 · 종교 · 환경
마스크 착용 의무화 · 코로나 세대 · 코로나 블루 · 코로나 학번 · 완치 이후 · 포스트 코로나 · 단계적 일상회복 · 방역 부조리 및 형평성 문제 · 손실보상 문제 · 사생활 침해 논란 · 코로나 버블 · 물류 대란 · 식량·에너지 대란 · 단백질 식품 대란
사건 사고 군대 · 병원 · 종교 · 기타
의학 정보
질병 SARS-CoV-2( 원인 · 전염성 · 예방)
변이 및 변종( Α 알파 · Β 베타 · Γ 감마 · Δ 델타 · Δ+ 델타 플러스 · Ε 엡실론 · Η 에타 · Κ 카파 · Λ 람다 · Μ · Ο 오미크론 · 델타크론 · A.VOI.V2 · AV.1 · Π 파이 · Ω 오메가 · B.1.640.2 · BA.2 · XE · XJ · XL · XM · BA.2.12.1 · BA.2.75 · BA.5)
증상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 털곰팡이증
진단 및 검사( 신속항원키트) · 완치 및 후유증
치료 치료제 종류 · 대증요법 · 음압병실 · 인공호흡기 · 에크모
알약( 팍스로비드 · 라게브리오) · 주사( 렘데시비르 · 악템라주 · 렉키로나주항체 · 이부실드항체) *
백신 종류 · 논란 · 백신 음모론 · 온실 면역(방역의 역설) / 혼합 면역(하이브리드 면역) · 집단 면역 · 돌파감염 · 코백스 퍼실리티 · 부스터샷 · 항원 결정기 / 항원 결합부 / 항원의 원죄
Ad26.COV2-S( 존슨앤드존슨 / 얀센) · Vaxzevria(AZD1222)( 아스트라제네카 / 옥스퍼드대) · Comirnaty(BNT162) ( 화이자 / 바이온테크) · Spikevax(mRNA-1273)( 모더나) · Nuvaxovid(NVX-CoV2373)( 노바백스) · SKYCovione(GBP510)( SK바이오사이언스) *
그 밖의 정보
인물
단체
인물( T. A. 거브러여수스, 권덕철, 백경란, 앤서니 파우치) · 사망자
파일:세계보건기구기.svg 세계보건기구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의약품청 · 파일:러시아 국기.svg 로스포트레브나드조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청 · 식품의약품안전처 · 국립보건연구원 · 씨젠 · 셀트리온 · SK바이오사이언스 · 파일:북한 국기.svg 국가비상방역사령부 ·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앤드존슨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 FDA · 화이자 · 모더나 · 파일:중국 국기.svg 국가위생건강위원회 · 국가질병예방공제국 · 파일:일본 국기.svg 후생노동성 · 내각감염증위기관리총괄청 · 파일:영국 국기.svg 아스트라제네카 · MHRA · 파일:대만 국기.svg 위생복리부 · 파일:벨기에 국기.svg 얀센
의료시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선별진료소 · 생활치료센터 ·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콥 K. 재비츠 컨벤션센터 · 매코믹 플레이스 · 파일:중국 국기.svg 훠선산 병원 · 파일:일본 국기.svg 마쿠하리 멧세 · 오다이바 · 파일:영국 국기.svg ExCeL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라 밀라노
기타 마스크 불량 착용 · 마기꾼 · 예스마스크 · 정보감염증 · 포스트 코로나 · 다함께 이겨내요 · 덕분에 챌린지 · 관련 웹사이트 · 엄격성 지수 · 창작물 · 학생 건강상태 자가진단 · 신속항원키트
* 최종 서술 시점 기준 대한민국에서 유통 중인 백신 및 치료제만 표기함.
}}}}}}}}}

<colbgcolor=#de2910><colcolor=#fff> 훠선산병원
火神山医院
Huǒshénshān Hospital
파일:훠선산 병원.jpg
국가
[[중국|]][[틀:국기|]][[틀:국기|]]
분류 야전병원
개원일 2020년 2월 3일(부분 개원)
2020년 2월 7일(완전 개원)
폐원 2020년 4월 15일
운영 중국 인민해방군
위치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 차이뎬구 즈인후대도
武汉市蔡甸区知音湖大道
1. 개요2. 상세3. 시설4. 논란5. 사진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0일 간의 타임랩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감염자가 폭증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우한시에 군 야전병원 형식으로 건설한 임시 병원. 2020년 2월과 3월 초에 한시적으로 운영했다. 공사인력과 예산을 동원해서 속도전 식으로 지었는데 건설과정에서 조립식 건축 모듈러 건축 노하우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2. 상세

2020년 1월 24일 폭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자 수에 대응하기 위해 10일 안에 완공을 목표로 지어졌는데 이는 사스가 한창 유행했을 당시에 베이징시 당국에서 단시간 내에 임시병원을 지어 사스 환자들을 치료했던 것을 전례 삼았다.[1] 건축 당시 수십여 대의 포크레인을 동원하여 공사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담기면서 대륙의 기상을 보여주었다. 병원은 공사 시작 10일 만인 2020년 2월 2일에 완공되어 병원의 운영이 중국 인민해방군에게 인계되었다. 그리고 다음 날인 월요일부터 본격적으로 병원 운영에 들어갔다. 33940m² 규모의 면적에 1000병상 규모로 웬만한 대학병원 수준의 병상 수를 갖췄다. 운영권이 인민해방군에게 있는 만큼 병원 인력은 총 1400여 명의 인민해방군 소속 군인들로 편성되었다.

병원 건설 생중계 영상은 수천만 명의 네티즌들이 시청했다.

병원 명칭인 화신은 염제(炎帝)를 뜻한다. 염제는 곧 신농씨이며, 의술을 관장하는 신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오행 사상에 따르면 오장 중 폐는 쇠(金)에 대응되는데, 불(火)은 쇠를 녹이므로 불을 통해 폐렴을 제압한다는 뜻도 있다.

3. 시설

내부에는 중환자실, 외래 진료실, 의료 지원부, 음압병실, 중앙 공급 창고, 의료 폐기물 임시 보관소 등의 시설을 갖췄다고 보도했다. 병실마다 독립된 화장실도 있으며 TV와 5세대 이동통신인 5G까지 설치가 되어 있다고 한다.

4. 논란

히말라야 글로벌 메인 트윗

"타이완뉴스", "히말라야 글로벌" 등의 언론매체 등에 의해 밝혀진 사실을 보면 중국의 인권 유린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성토하는 댓글이 달리고 있다. 언론에 알려진 5G망이나 TV는 환자를 위한 용도가 아닌 감시용임에도 마치 환자의 인권을 생각한다는 것으로 포장한다는 것이다. 물론 근본적인 원인은 급하게 건설하였기 때문이다.

제대로 치료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수용소에 가깝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마치 "병원도 못 가고 죽었다"가 아닌, "병원에서 치료받다 죽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전시용 성격이 강하다는 것. 물론 이것은 여타 임시 병원이 보이는 공통적인 한계이다. 하지만 훠선산 병원의 내부 영상을 시청한 네티즌, 전문가들이 제기한 더 큰 문제점들을 정리하면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각 병실마다 세면대와 변기, 그리고 철창이 설치돼 있으며 병실 출입문은 바깥에서만 열 수 있다. 식사는 이중 창이 달린 조그마한 공간으로 넣어지며, 가족과의 면회도 불가능하다.

둘째, 완공 직후 해당 병원 내에 민간 의료진이 아닌 군인( 의무대)들이 운영 주체로 투입되었고, 또한 철저한 외부 통제가 가능하다는 이야기도 돌았는데, 이는 입원자, 감염 의심자, 확진자, 사망자 등의 수를 철저하게 조작, 은폐할 수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게다가 중국의 인권 문제와 ' 코로나19'에 대한 시진핑 정권의 축소, 은폐 정황 등을 생각해 보면 순수하게 치료만을 목적으로 만들지는 않았다는 설이 꾸준히 돌고 있다.

5. 사진

파일:PYH2020012503020034000_P4.jpg
파일:444.gif
건설 과정
파일:42E4D669-5620-4B02-9312-EF9977CA5B8A.jpg 파일:2050955E-D3DB-4B08-BD96-AB96BAA6ED2D.jpg
건설되는 병원을 상공에서 찍은 모습. 각각 1동과 2동의 모습이다.
파일:PYH2020020315490034000_P4_20200203154153951.jpg
병원 복도 내부

6. 여담

  • 훠선산 병원 이외에 레이선산 병원 등이 추가로 지어지고 있고, 기존에 있던 사람이 많이 들어갈 수 있는 시설도 병원으로 개조되고 있다. 하지만, 인권 유린 문제는 훠선산 병원만큼은 아니더라도 임시 병원 역시 인권 문제, 보건 문제 등으로 매우 좋지 않은 상황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고, 급하게 지어진 만큼 말 그대로 격리자를 위하기보다는 기본적인 매뉴얼에 맞춰서 지어진 결과이다보니 이러한 문제점이 더더욱 두드러졌다고 할 수 있다.
  • 일단 침상이 좁은 간격으로 다닥다닥 붙어 있는 데다, 격리병상 등을 충분히 갖추지 않아 확진자 외에 증상 의심자, 자가 진단을 원하는 사람, 회복기 환자 등이 한데 몰려 있는 것이 문제이다. 이리되면 교차 감염에 의한 위험성이 증가하여 건강한 사람도 환자가 될 가능성이 커지며, 회복기의 사람도 재변이를 거친 바이러스에 의해 다시 감염되는 악순환을 겪을 수 있다. 까딱했다간 의료진도 감염되는 최악의 사태까지도 갈 수 있다.
  • 이런저런 단점들이 두드러지지만 후베이성에서는 이것도 가뭄의 단비라는 듯하다. 우한 일대의 의료 인프라가 너무 과부하되어 병상들이 부족해 코로나19를 제때 치료받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인데 그러다 보니 이런 질이 낮은 병원조차도 감지덕지해야 할 형편이기 때문이다.

7. 관련 문서


[1] 현 한국에서 시행되는 경증환자 수용시설인 생활치료센터를 떠올리면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