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9 02:28:27

포대

1. 砲隊
1.1. 개요1.2. 상세
2. 砲臺3. 물건을 담는 자루

1. 砲隊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51426> 대(隊)급 편제
편제 분대 소대 중대 지역대 대대 연대
지휘관 분대장 반장 소대장 중대장 지역대장 대장 대대장 연대장
부지휘관 부분대장 부소대장 부중대장 부대대장 부연대장
단(團)급 편제 군(軍)급 편제
편제 여단 사단 군단 작전사령부 야전군 집단군 군관구
지휘관 단장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 작전사령관 야전군사령관 집단군사령관 군관구사령관
부지휘관 부단장 부여단장 부사단장 부군단장 부사령관
포병의 편제 지휘소
편제 포반 전포대 포대 포병단 사령부
지휘관 포반장 전포대장 포대장 단장 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9f><colcolor=#fff> 편제
[[지휘관|
지휘관
]]
대대급 이하
중대급 이하 대대급

[[반장(동음이의어)#s-5|
반장
]]
중대
[[중대장|
중대장
]]
/ 포대
[[대장#s-2.1|
대장
]] / [[포대장|
포대장
]]
대대
[[대대장|
대대장
]]
소대
[[소대장|
소대장
]]
분대
[[분대장#s-6.5|
분대장 (2L)
]]
편대
[[편대장|
편대장 (4L)
]]
전투·전투지원부대 전투근무지원부대
전대급 단급 전대급 단급
전대
[[전대장|
전대장
]]
비행단 / 미사일방어여단
[[비행단장|
비행단장
]] / [[여단장|
여단장
]]

[[단장#s-1.1|
단장
]]
사령부급
기능사령부급 작전사령부급
기능사령부
[[공군기능사령관|
기능사령관
]]
작전사령부
[[작전사령관|
작전사령관
]]
※둘러보기: 군사학교 }}}}}}}}}

1.1. 개요

砲隊, Battery

가 팀을 이룬 것을 말하는 것. 대한민국 육군에선 포병 중대를 포대라고 부르는데, 일반적인 중대와 다른 특수편제다.

1.2. 상세

분대 소대가 없고 그 대신 중대에 해당되는 포대 아래에 포를 직접 다루는 포반이 바로 편제되어 있는 것이 최대의 특징으로, 중대장에 해당되는 포대의 장도 역시 중대장이 아니라 포대장이란 이름으로 따로 부른다. 보통 1개 포대에 6개 포반(6문의 포)과 포대본부, 직접지원포병의 경우 3개의 관측반이 추가로 편제되어 있다. 일반지원포병은 관측반이 본부포대 소속으로 빠진다.

보병과는 달리 분대와 소대는 없지만, 그 대신 중대에 해당되는 포대 아래에 바로 편제되어 있는 포반이 분대나 소대에 해당된다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소대나 중대가 없고 그 대신 대대 아래에 비행기를 직접 다루는 편대가 바로 편제되어 있는 공군이나 해군 항공대· 해병대 항공대의 편제도 부대 규모의 차이가 크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 유사성이 있기에, 이쪽을 생각해 보면 이해가 보다 쉬워질 것이다.

직접적으로 사격 임무를 수행하는 포대 내의 6개 포반과 전포대 본부를 한데 묶어서 전포대라 호칭하며 이 전포대를 통제하는 전포대장이라는 직책도 포대장의 밑에 따로 존재하고 있는데, 이러한 전포대와 전포대장의 존재까지 넣어서 생각하게 되면 포반이 분대에 해당되고 전포대가 소대에 해당된다고 볼 수도 있다. 다만 포대 내의 6개 포반이 사실상 포대의 거의 전부[1]에 해당되는 병력이고 전포대장도 각 포대당 1명 밖에 없기 때문에 포대와 전포대의 구분에는 사실 애매한 점도 없지 않다. 시각에 따라 전포대장을 소대장으로도 부중대장으로도 볼 수 있다는 뜻. 실제로 전포대장의 직책표지는 소대장의 것과 부중대장의 것이 혼용된다. 또한 전포대장이라는 직책은 기본적으로 보병으로 따지면 소대장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통상적인 소대장이라기 보다는 선임소대장급 혹은 부중대장에 가깝게 된다고도 볼 수 있을 여지도 있다. 자세한 이야기는 전포대장 문서를 참조할 것. 포반을 전포대, 줄여서 전포라고 부르고 나머지 병력들은 비전포라고 부르는데 전포대장과 같이 사격지휘 임무를 수행하는 사격지휘병은 비전포에 속한다.

단, 미군의 경우는 전포대 편제 포대가 있지만 여기에 소대 편제 포대를 추가하여 일반적인 포병 편제와는 다른 편제를 구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편제에서는 3~4개 포가 소대를 이루고 2개 소대 + 1개 지원소대가 포대를 편성한다. 이러한 편제에서는 포대장 예하에 전포대장 대신 소대장 3명이 있다.(포대장+ fdc xo+ 소대장 3명) 미 해병대가 특히 이러한 편제를 많이 이용한다. 대한민국 해병대도 이러한 편제로 포병 편제를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장교 인력의 부족으로 이 방안을 쉽게 추진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련장 포병부대는 위와 같은 편제를 취하고 있다.

해병대의 경우 육군과는 달리 포대 대신 중대라고 호칭한다. 포대장 역시 중대장이라고 부르고, 포대본부는 중대본부라고 부르는 식. 다만 편제 자체는 육군과 동일하다.

방공포병을 둔 공군의 포대의 경우 레이더 사이트처럼 이나 도시 외곽지역에 자리한다. 육군의 포대와는 달리 독립부대로 있는 경우가 많다.[2] 그 탓에 포대장 소령 영주 노릇을 한다. 포를 맡는 방공포병들과 기지대 인원들이 같이 사는데 방공포병은 육군처럼 상황 뜨면 바로 출동하고 그러는 식이고 기지대는 상황 떠도 그냥 멍하니 본다(…). 같이 체련하다 사이렌 울릴 때 뛰는 사람은 방공포병들이고 안 뛰는 사람은 기지대라고 봐도 무방.

물론 비행단 부지에 있는 포대는 지원대대 병사식당에서 밥 타서 먹는 경우도 있는데, 높은 확률로 아저씨 취급을 받는다.

2. 砲臺

를 쏘기 위하여 설치한 건조물.

3. 물건을 담는 자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당연하지만 보직에 따라서 1의 포대에서 근무하면서 이 포대와 죽어라 부대끼며 근무하는 경우도 생각보다 많다. (...)


[1] 실제로 나머지인 관측반 3개반은 합해도 열 명도 안된다. [2] 비행단 파입으로 있는 포대도 많다. 그럴때 포대는 파입부대(=아저씨) 취급이지만, 엄언히 타 사령부 소속이기 때문에 비행단의 복지시설 다 누리면서도 비행단에서 건들지 못한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