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17:00:54

편백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6위 7위 8위 9위 10위
아카시아나무 향나무 대나무# 동백나무 감나무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편백나무
6위 7위 8위 9위 10위
은행나무 동백나무 아카시아나무 대나무# 잣나무
11위 12위 13위
전나무 향나무 버드나무
# 대나무는 풀이지만, 통계 분류상 나무로 포함.
같이 보기: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좋아하는 산, 좋아하는 한식 }}}}}}}}}
편백
Japanese false cypress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6055195290_c5c4a28a66.jpg
학명 Chamaecyparis obtusa
분류
<colbgcolor=#d7ffce,#0f4a02> 식물계(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겉씨식물군(Gymnospermae)
구과식물문(Pinophyta)
구과식물강(Pinopsida)
측백나무목(Cupressales)
측백나무과(Cupressaceae)
편백속(Chamaecyparis)
편백(C. obtusa)

1. 개요2. 명칭3. 상세4. 쓰임새5. 피톤치드6.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 원산의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 큰키나무이다.

2.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언어별 명칭
영어 Japanese false cypress
한국어 편백나무
중국어 [ruby(扁柏树,ruby=biănbăishù)]
일본어 [ruby(檜,ruby=ヒノキ )]

3. 상세

일본에서 자생하는 일본 고유종으로 높이 40m, 지름 2m가량까지 자란다. 잎이 가는 침엽수 냉대기후대에서 서식할 것 같지만 일본이 원산지인 온난대기후대 식물로, 일본에서는 혼슈 중부 이남 지역에서 서식한다. 남쪽보다는 북쪽으로 갈수록 목재의 질이 좋아져서 나이테는 촘촘하고 목질은 치밀해지고 색은 특유의 복숭아 빛깔을 띤다. 피톤치드와 특유의 향도 강해진다. 내한성이나 내염성은 약하나 내공해성은 강하다.

한국에 자생지는 없으며[1], 삼나무와 같이 1904년에 한국에 도입되어 남부 지방과 제주도에서 인공 조림으로 재배되는 나무이다.

유통시에 국내에서는 편백나무, 노간주나무, 향나무를 모두 '노송나무'라고도 하는데,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들이 마치 오래된 소나무(老松) 같이 느껴진다고 해서 학술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그냥 그렇게 불러왔던 것으로 정확한 명칭은 아니다.

꽃말은 '불멸','불사','변하지 않는 사랑'이다.

4. 쓰임새

편백나무는 일본어로 '히노끼(ヒノキ, 檜, 桧)'[2]라고 부르는데 가구용, 건축용 목재로 널리 사용된다. 내수성, 내구성, 항균성이 우수하고 특유의 복숭아색을 띤다. 특히 일본에서 인기가 많은 목재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인 나라의 호류지도 편백나무로 만들었다. 목재의 표면이 매끄럽고 향이 좋기 때문에 니스나 페인트칠을 하지 않고 원목 그대로 가구를 만들어 사용한다. 오히려 니스칠된 것은 편백나무가 아니라 다른 나무[3]를 속여 팔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편백나무로 만든 욕조(히노끼탕)도 있는데 향이 좋다. 일부 업체는 MDF나 다른 나무에 편백나무를 얇게 썰어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정말 '무늬만 편백나무'를 사용한 제품을 팔기도 한다.[4]

그래서 사우나나 공공 시설엔 편백나무 목재를 사용하여 내부 벽을 만들기도 한다. 일부에서 동남아산, 러시아산 혹은 히말라야산 히노끼라고 팔기도 하는데, 실제로는 편백이 아닌 저가의 유사 수종으로 특유의 편백 향이 없고 색이 칙칙해 육안으로도 쉽게 구별된다. 심한 경우 그런 유사 수종은 눈이 따갑거나 자극적인 냄새가 나기도 하므로 구입 시 주의를 요한다.

니스칠 없이 사용한다는 점 때문에 아이들이 사인펜 등으로 낙서하면 지울 방법이 딱히 없다는 큰 단점이 있다. 고운 사포로 갈아볼 수 있긴 하지만, 잉크가 나무 깊숙이 흡수되었다면 그것도 힘들다.

편백나무 원목으로만 만들어진 가구는 당연히 그만큼 비싸고, 집성목은 원목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이는 편백나무뿐만 아니라 대부분 목재가 마찬가지. 집성목이 원목보다는 싸다고 하지만 MDF 따위에 비하면 6배 이상 비싸다. 간단한 책상 하나만 사려 해도 까딱하면 수십 만 원이 깨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편백나무 가구를 구매하려 한다면 잘 알아보고 예산을 확인해야 한다.

5. 피톤치드

편백나무는 피톤치드를 많이 방출하는 나무 중 하나이다. 피톤치드는 식물이 방출하는 살균 효과가 있는 유기물로 천연 살균제다.[5] 산림청에 따르면 피톤치드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혈중 농도를 절반 이상 줄여줘서 면역력을 강화하는 건강 증진 효과가 있으며, 피톤치드 특유의 향이 중추신경계를 자극해 심신을 안정시키는 데도 좋은 역할을 한다고 한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굳이 피톤치드를 마시기 위해서 편백나무 숲을 굳이 찾을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수 번의 실험 결과, 편백나무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의 양보다 소나무에서 발산하는 피톤치드의 양이 더 많다고 밝혀졌으므로,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근처 소나무 숲에서 피톤치드를 마시면 되기 때문이다. #

심지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의 측정실험에 의하면 벌목/가공한 후에도 소나무가 편백나무보다 피톤치드를 2배 이상 발산하는 것이 밝혀졌다. #

물론 소나무는 가공제품으로 만들기에는 경제성이 없으며 편백나무에 비해 산불과 병충해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편백나무도 소나무보다 내한성이 떨어지고 한국의 기후에선 성장이 더뎌서 주로 남부 지방에서만 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엄격하게 따져본다면 한국 전역에 제일 많은 나무가 소나무인 것은 사실이며, 피톤치드의 양도 편백나무보다 많기 때문에 피톤치드가 목적일 경우에 한해서 굳이 편백나무 숲을 찾을 필요는 없다.

6. 기타

  • 탁구 라켓을 만드는 데 주 재료로 많이 활용되며, 특히 펜홀더 라켓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본의 기소 지방에서 자라는 '기소 히노끼'라고 불리는 편백나무가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최근 무분별한 벌목으로 벌목이 제한되고 있어 라켓의 품질이 10-20년 전과 비교해 떨어졌다.
  • 삼나무와 함께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높아 조림 사업에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실린 기사가 실린 바 있다. 해당 기사에서는 편백의 알레르기 유발이 심해 현재는 일본에서도 조림 사업을 바꾸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후 관심이 많아져서 다시 기사가 나왔는데, 전문가들과 산림청의 반응을 요약하면 4월 한 달간 꽃가루가 문제가 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편백나무는 나머지 기간 동안의 이익이 크고 편백나무가 꽃가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나 수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의 5% 수준으로 낮아서 큰 걱정을 할 정도는 아니다 정도. 조경수나 가로수로 심는다면 문제가 될 수 있으나, 산에 심는다면 큰 문제가 없다는 이야기가 되겠다.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이 있다면 4-5월 정도만 편백나무 수림을 피하고, 꽃가루를 차단하는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것이 나을 듯하다.
  • 서울 은평구에 대량발생하는 대벌레 러브버그의 근본적인 원인이 기후대에 맞지도 않는 편백나무숲 조성 때문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 편백나무를 기주식물로 삼는 것이 아니라, 숲을 밀어버리자 지표면의 기온이 급격하게 올라 생태계의 변동이 온 것.
  • 한국 천주교에서는 노송나무 가지를 성지로 사용한다. 본래 성지는 종려나무 가지 등을 사용하는데 한국에서 구하기 쉽지 않은 관계로 대신 사용한다고 한다.[6] 사제가 축성한 가지를 1년간 가정에 보관하고 사순 시기 재의 수요일에 태워 그 재로 축복을 받는 의식이다.
  • 일부 업체에서 '피톤치드가 벌레(특히 초파리)를 퇴치해준다, 벌레 유입을 막는다!' 라고 일종의 살충제(?) 겸 방향제로 판매하는데 피톤치드는 사실상 그런 살충 기능이 없다. 더군다나 살충제면서 사람한테 피해가 없다는 것은 사실상 허위광고급.[7]
  • 온천 호텔에서는 종종 편백나무로 틀을 짠 욕조를 '히노끼탕'이라고 해서 홍보하곤 한다.
  • 식당에서 찜기로 사용한다. 국내 2010년대부터 샤브샤브집, 또는 이자카야에서 일본요리 세이로무시[8]를 편백찜이라는 이름으로 팔고 있다.


[1] 산림청에서도 편백을 자생식물이 아니라 재배식물로 분류하고 있다. [2] 보통은 한자보단 가타카나로 표기한다. 회(檜) 자를 한국에선 보통 전나무란 뜻으로 사용했지만, 원래 중국 고전 문헌에서는 향나무를 가리켰다. [3] 정확히는 편백나무의 사촌쯤 되는 삼나무 계열. [4] 일본 원목을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와 대량 생산 시설로 저렴하게 가공한 뒤 한국으로 우회 수입된 물건도 많다. 시중에서 팔리는 저가 편백나무 제품은 거의가 중국 제조 우회 수입품이라고 보면 된다. 판매자가 이것을 일본산이라고 팔지 중국제라고 당당히 밝히고 파는 경우는 또한 거의 없다. 오히려 오리지널 한국제/일본제 제품은 이제 희귀품이 되어버렸다. [5] 다만 이 용어는 동아시아 러시아에서 쓰이는 용어로, 영미권이나 서유럽에서는 대개 통용되지 않는다. [6] 한편 대한성공회에서는 종려나무 가지를 사용한다. [7] 기피라면 모를까, 실제로 계피의 경우 벌레들이 싫어하는 시나몬 알데히드 성분과 살리실 알데히드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천연 벌레기피제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한다. [8] 일본 요리로, 편백나무 찜통에 채소, 고기, 해산물 등을 넣고 수증기로 쪄낸 찜요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