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에트 연방 전차군 사령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20%, #000 80%, #000); color: #ffe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e4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5대 |
인노켄티 할렙스키 | 구스타프 보키스 | 드미트리 파블로프 | 야코프 페도렌코 | |
<rowcolor=#ffe400>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파벨 리발코 | 세묜 보그다노프 | 알렉세이 라지옙스키 | 파벨 폴루보야로프 | |
<rowcolor=#ffe400>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아마자습 바바자냔 | 유리 포타포프 | 알렉산드르 갈킨 | }}}}}}}}} |
<colbgcolor=#000><colcolor=#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6대 전차군 사령관
파벨 리발코 Па́вел Рыба́лко | Pavel Rybalko |
|||
본명 |
파벨 세묘노비치 리발코 (
러시아어) Па́вел Семёнович Рыба́лко Pavel Semyonovich Rybalko |
||
파울로 세메노비치 리발코 (
우크라이나어) Павло́ Семе́нович Риба́лко Pavlo Semenovich Rybalko |
|||
출생 | 1894년 11월 4일[1] | ||
러시아 제국 하리코프현 레베딘구 말리비스토로프 마을 (現 우크라이나 수미주 레베딘군 말리비스토로프) |
|||
사망 | 1948년 8월 28일 (향년 53세) |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묘소 | 노보데비치 묘지 | ||
재임기간 | 제6대 전차군 사령관 | ||
1947년 4월 ~ 1948년 4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e400,#ffe300> 형제자매 | 6명 | |
배우자 | 나데즈다 다비도브나 리발코 | ||
자녀 | 아들 빌[2] | ||
복무 | 러시아 제국 육군 | ||
1914년 ~ 1917년 | |||
노농적군 | |||
1917년 ~ 1946년 | |||
소비에트 연방 지상군 | |||
1946년 ~ 1948년 | |||
최종 계급 | 기갑원수 (소비에트 연방 지상군) | ||
병과 | 기병 → 기갑 | ||
주요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독소전쟁 |
||
주요 서훈 |
레닌훈장 (2회) 소비에트 연방 영웅 (2회) 수보로프 훈장 1등급 (3회) 적기훈장 (3회) 쿠투조프 훈장 1등급 |
}}}}}}}}} |
[clearfix]
1. 개요
소련의 군인.2. 생애
우크라이나인 공장 노동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3년제 학교를 졸업한 뒤 13세 때부터 설탕 공장에서 일하다 하르코프 기관차 공장에서 근무했다.2.1.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11월 징집돼 1915년 2월부터 남서부전선 제82보병사단 소속으로 참전했다. 이후 1916년 12월 롤러 정비소에서 현장 부감독관으로 복무했다.2.2. 러시아 내전
7월 혁명 당시 러시아 제국 육군에서 탈영해 12월부터 노농적군에서 복무했다. 1918년 8월 독일 제국군에 의해 포로로 붙잡힌 뒤 12월이 되어서야 조국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2.2.1.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1920년부터 제1기병군 제14기병사단 제1여단장으로서 안톤 데니킨의 부대를 궤멸시킨 뒤 자모시치 근처에서 폴란드군을 상대하다 1919년 부상을 입었다.2.3. 제2차 세계 대전
2.3.1. 독소전쟁
1941년 9월부터 1942년 5월까지 적군 참모고등특수사관학교 전술 부서장을 역임하다 스타브카에 자신을 전선에 투입시켜 달라고 요구했다. 1942년 7월 15일, 보로네시-보로실로프그라드 공방전에서 크게 패해 제5전차군 사령관 알렉산드르 리쥬코프 소장이 전사하자 제5전차군의 지휘권을 제3전차군 부사령관 리발코에게 넘겼다. 스타브카는 얼마 안 가 프로코피 로마넨코를 리발코 대신으로 임명시키려 했으나 리발코가 여러 전투를 훌륭하게 지휘한 덕에 해당 안건은 취소됐다. 1943년 1월부터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을 준비하며 제3전차군 사령관으로서 전투를 치른 뒤 이오시프 스탈린 최고사령관의 명령에 따라 제3근위전차군 사령관으로 임명됐다. 1943년 11월 17일 드네프르강을 도하한 뒤 쿠르스크 전투에서 두각을 드러낸 리발코는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법령에 따라 레닌훈장,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받았다. 베를린 공방전이 거의 끝날 무렵, 그는 영웅적 면모를 보인 공로로 두 번째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받게 됐다.2.4. 전후 ~ 사망
주동독 소비에트 연방 군집단 제3근위전차군 사령관을 역임하다 기갑원수로 진급했다. 1948년 8월 28일 신부전으로 사망한 뒤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됐다.3. 평가
다양한 군사 교육을 받은 리발코가 뛰어난 사령관으로 등극해 기갑군을 훌륭하게 지휘했다.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나는 전적으로 리발코에게 의지했다. 내가 예상하지 못한 것도 재빨리 잡아낼 수 있는 자였다.
이반 코네프
이반 코네프
매우 유식하고 의지가 강한 자였다. 리발코는 조국의 기갑부대를 능숙하게 지휘하는 영광을 누렸다.
세르게이 시테멘코
세르게이 시테멘코
4. 진급 이력
5. 둘러보기
소비에트 연방군 병과원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육군 |
포병원수
Маршалы артиллерии |
<colcolor=#000,#ddd> 제2차 세계 대전기 니콜라이 야코블레프 | 미하일 치스탸코프 |
||
냉전기 바실리 카자코프 | 콘스탄틴 카자코프 | 파벨 쿨레쇼프 | 게오르기 페레델스키 | 예핌 보이추크 | 블라디미르 미할킨 | 게오르기 오딘초프 |
||
기갑원수
Маршалы бронетанковых войск |
||
제2차 세계 대전기 야코프 페도렌코 | 세묜 보그다노프 | 파벨 리발코 |
||
냉전기 미하일 카투코프 | 파벨 폴루보야로프 | 올레크 로시크 |
||
통신원수
Маршалы войск связи |
||
제2차 세계 대전기 이반 페레십킨 |
||
냉전기 알렉세이 레오노프 | 안드레이 벨로프 | 니콜라이 알렉세예프 |
||
공병원수
Маршалы инженерных войск |
||
제2차 세계 대전기 미하일 보로비요프 |
||
냉전기 알렉세이 프로실랴코프 | 빅토르 하르첸코 | 아르칠 겔로바니 | 세르게이 아가노프 | 니콜라이 셰스토팔로프 |
||
공군 |
항공원수
Маршалы авиации |
|
제2차 세계 대전기 표도르 아스타호프 | 그리고리 보로제이킨 | 니콜라이 스크립코 | 표도르 팔랄레예프 | 세르게이 후댜코프 | 세묜 자보론코프 |
||
냉전기 세르게이 루덴코 | 블라디미르 수데츠 | 스테판 크라솝스키 | 예브게니 사비츠키 | 필리프 아갈초프 | 예브게니 로기노프 | 이반 보르조프 | 알렉산드르 포크리시킨 | 게오르기 지민 | 알렉산드르 예피모프 | 이반 프스티고 | 알렉산드르 실란티예프 | 그리고리 스코리코프 | 니콜라이 스코모로호프 | 표트르 키르사노프 | 아나톨리 콘스탄티노프 | 이반 코제두브 | 알렉산드르 볼코프 | 예브게니 샤포시니코프 |
||
비고 | ※ 진급시기 기준 세분, 2차 대전기는 전간기부터 1945년 8월까지 해당.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