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09:42:10

파라과이/경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파라과이
남아메리카 경제
[[가이아나#경제|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베네수엘라/경제|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볼리비아/경제|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브라질/경제|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수리남#경제|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아르헨티나/경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에콰도르#경제|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우루과이/경제|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칠레/경제|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콜롬비아/경제|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라과이/경제|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페루#경제|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52b12 70%, #d52b12 80%, #FFFFFF 80%, #FFFFFF 90%, #0038a9 90%, #0038a9);"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38a9> 상징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파라과이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파라과이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파라과이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경제 경제 전반 · 파라과이 과라니
국방 파라과이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 과라니어 · 스페인어
인물 호세 가스파르 로드리게스 데 프란시아 · 카를로스 안토니오 로페스 · 아구스틴 바리오스 망고레 · 마리오 아브도 베니테스
지리 아순시온 · 시우다드델에스테
민족 과라니족 · 우크라이나계 파라과이인
기타 파라과이 시간대
}}}}}}}}} ||}}}
파라과이의 경제 정보[1]
인구 6,95만 6,071명 2018년(추정치)
경제 규모(명목 GDP) 430억 달러 2023년
경제 규모( PPP) 1,180억 달러 2023년
1인당 명목 GDP 7,238 달러 2023년, 100위
1인당 PPP 19,040달러 2023년, 94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19.5% 2017년[2]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Ba2 2018년

1. 개요2. 기타

1. 개요

남미에서도 가난한 축에 드는 나라로, 이는 정치인들이 부패하고 소득의 양극화가 극심하기 때문이다. 나라 자체도 넓고 열대우림에서 흩어져 살다 보니 도시권을 제외한 시골권의 경우 자동차 대신 마차를 끌고 다니는 풍경을 볼 수 있다.

또한 나라에 공장이 없기 때문에 공산품 즉 플라스틱 의자나 모기스프레이약 같은 제품은 품질이 낮다. 그래서 부잣집의 경우 공산품은 거의 없고 수제품이 많다.

산업도 목화와 콩, 동물 사료 생산, 축산업 등 대부분 1차 산업인 농업에 치중되어 있는 개발도상국이다. 특히 파라과이에서 농업은 GDP의 21%, 전체 수출의 64%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기본적으로 과일의 질은 많이 떨어지는 편이다. 파라과이의 한겨울에도 식지 않는 뜨거운 태양열 때문인 듯 하다. 기본적인 농사도 잘 이뤄지지 않는 편이라 기후가 비슷한 대만에서 농사법을 알려주기도 하였다. 기초적인 공업품도 수입하는 그런 나라로, 너무 높은 수입품 의존도를 지니는 나라이기도 하다. 뭐 이거야 공업이 주산업이 아닌 홍콩, 싱가포르, 호주, 뉴질랜드 같은 몇몇 선진국들도 마찬가지지만, 이 나라는 개발도상국 그것도 후진국에 가깝다는 게 문제고, 이것이 고스란히 서민경제에 부담이 된다.

그래도 남아메리카 대륙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지리적 여건만 잘 살리면 앞으로 남아메리카 대륙의 물류허브가 될 수도 있다. 주변에 위치한 접경국들도 브라질,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등이고 앞의 두 나라는 특히 남미 경제의 양대축이다. 그렇지만 1차 산업 면에서 소수의 대지주들이 토지를 독차지하다시피하는 바람에 소작농들이 빈곤하게 살고 있어서 꼭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손꼽히고 있다.[3]

인지도가 낮은 편에 속하는 나라지만, 법인세 및 부가가치세 10%에 소득세도 딱 8%/10% 두 구간밖에 존재하지 않아 상당히 유력한 조세회피처다.[4] 그리고 돈만 있으면 영주권을 살 수도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처리비용을 제하고 경비지변능력 명목으로 최저임금 35개월어치 (3082만 과라니로 약 550만원) 예치하면[5] 영주권이 바로 나온다고. 여기서 3년동안 매년 183일 이상 거주하면 귀화 신청도 가능하고, 귀화 후 5년 거주를 채우면 다른 메르코수르 국가에서 신분증으로 넘어가 눌러앉을 수 있게 된다. 국외 수입은 거의 면세라서 앞서 말한 저세율과 겹쳐 외국인 부자들에게 반응이 나쁘지 않은 편이다.[6]

GDP $308억, 1인당 GDP $6,229, 인구 702만명에 불과하다. 하지만 의외로 공식 최저임금 수준만큼은 남미 기준으로는 나쁘지 않은 수준인데 1인당 GDP가 1000달러 이상 높은 에콰도르와 비슷하고, 1인당 GDP가 1만 달러 중반 수준에 달해서 칠레 우루과이와 비교해도 차이가 별로 크지 않다. 이는 브라질,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페루의 최저임금 수준이 2015년 이후의 화폐가치 하락으로 떨어진 영향도 크다. 거기에 베네수엘라는 그럭저럭 사는 나라에서 최빈국으로 수직낙하했다. 그러나 공식 최저임금 수준과는 별개로 1인당 GDP 수준이 남미에서도 낮은 건 여전해서 실제로 농민들이나 빈민층의 경우에는 최저임금도 못받고 일하는 경우가 많아서 심각한 사회 문제이다. 그러나 2018년에는 아르헨티나의 화폐가치 추락에 힘입어 드디어 아르헨티나의 최저임금을 추월했다. 그리고 이 추세가 지속된다면 볼리비아의 최저임금도 아르헨티나를 추월할 듯 하다. 그러나 법적 최저임금은 높으나 파라과이 통계청에 의하면 2020년 1월 기준 전체 취업 인구의 35%가 최저임금 미만의 임금을 받고 있어 법적 최저임금과 실제 임금 사이 괴리가 크다. #

2. 기타

최근 2~3년간에는 한국과의 경제협력이 급속도로 증진되고 있는 나라 중 하나다. 원래부터 한인 이민자들 즉 교포의 세가 다른 남미 국가들보다 강한 면도 있지만, 최근 파라과이 정부는 각종 사회인프라 확충[7] 사업을 적극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파라과이 현지 기업들 입장에서는 인프라 쪽 핵심기술이 부족한 면이 있기에 경제 파트너를 적극적으로 찾고 있고, 한국이 상대적으로 잘 맞는 파트너인 것이다. 포털에서 파라과이라고 검색해 보면 한국의 각종 정 관계 단체나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맺은 사례가 쏟아지고 있다.

교통 외에도 소방 분야에서도 협력이 증진되어 불용물자화된 국산 구급차를 파라과이 적십자사에 무상 원조해주거나 한국의 각 지역 소방본부 소속 119구조대가 파라과이 소방대에 각종 인명구조 기술을 전수해주고 장비도 지원해주기도 한다.[8] 파라과이 소방당국도 연수를 보내 한국 각 지역 소방학교에서 훈련을 받은 후 현지에 보급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파라과이 볼리비아와 함께 파라과이강을 활용한 남미 대수로운하를 구축하려는 것을 통해 대서양으로나마 오가는 것으로나마 내륙으로서의 불리함을 벗어날려는 탈출구가 될수 있으나 비용과 환경문제등 여러 문제로 백지화가 되어 다시 해양으로 나가려는 꿈도조차 꾸기 어렵게 되버렸다.


[1] https://en.m.wikipedia.org/wiki/Economy_of_Paraguay [2]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 [3] 2019년 11월에 발표된 공식 통계에 따르면 인구수의 약 1.9%가 개인 사유지의 94%를 갖고 있다. [4] 이런 세율을 갖고 있지만 다국적 기업들이 그닥 눈독을 들이진 않는지라 국제기구들도 파라과이를 목록에 올리지도 않는다. [5] 연금수급권을 증빙할 수 있으면 예치금은 불필요하다. 연금만 하더라도 자본 유치가 많이 필요한 파라과이 정부 입장에서는 가뭄에 단비다. [6] 다만 여기서 이자나 수수료, 금융소득 등은 국내소득으로 처리된다. [7] 특히 철도, 고속도로 등 교통 분야 [8] 참고로 소방관의 경우는 자원봉사개념으로 운용된다. 길거리 지나다보면 소방관옷입고 찻길에서 모금을하는 경우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1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