伐 칠 벌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バツ, ハツ
|
||||||
일본어 훈독
|
う-つ, き-る, ほこ-る
|
||||||
-
|
|||||||
표준 중국어
|
fá, fā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伐은 '칠 벌'이라는 한자로, '베다', '(적을) 치다', '정벌(征伐)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치다 |
음 | 벌 | |
중국어 | 표준어 | fá[1], fā[2] |
광동어 | fat6 | |
객가어 | phat | |
민동어 | huăk[文] / puăk[白] | |
민남어 | hoa̍t[文] / hoa̍h [白] | |
오어 | vaq (T5) | |
일본어 | 음독 | バツ, ハツ |
훈독 | う-つ, き-る, ほこ-る | |
베트남어 | phạt |
유니코드에는 U+4F1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I(人戈)로 입력한다.
人(사람 인)과 戈(창 과)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원래 갑골문상에서는 창(戈)이 사람(人)을 관통하는 모습으로 그려졌으며, '적군의 목을 베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 의미가 확장되어 '정벌하다'라는 뜻을 가지는 한편, 일반적인 맥락에서의 '베다'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간벌( 間伐)
- 간벌찬( 干伐 飡)
- 개벌( 開伐/ 皆伐)
- 공벌( 攻伐)
- 금벌( 禁伐)
- 급벌간( 級伐 干/ 及伐 干)
- 급벌찬( 級伐 飡/ 級伐 湌)
- 긍벌( 矜伐)
- 기벌포( 伎伐 浦)
- 남벌( 南伐/ 濫伐)
- 다벌국( 多伐 國)
- 달벌( 達伐)
- 당벌( 黨伐)
- 도동벌( 道 同伐)
- 도벌( 盜伐)
- 동벌( 東伐)
- 말불버섯( 馬 夫 乙伐 士 叱)
- 모벌( 謀伐/ 毛伐)
- 몰벌( 沒伐)
- 무프레조( 茂伐 羅 粟)
- 방벌( 放伐)
- 벌거목(伐 去 木)
- 벌곡(伐 穀)
- 벌곡(伐 谷)
- 벌곡대(伐 曲 大)
- 벌공(伐 功)
- 벌구(伐 區)
- 벌근(伐 根)
- 벌기(伐 期)
- 벌달기(伐 月 只)
- 벌대총(伐 大 驄/伐 大 騘)
- 벌덕궤(伐 德 跪)
- 벌도(伐 倒)
- 벌라(伐 羅)
- 벌목(伐 木)
- 벌비(伐 碑)
- 벌빙(伐 氷)
- 벌상(伐 喪)
- 벌석(伐 石)
- 벌선(伐 善)
- 벌성(伐 性)
- 벌송(伐 松)
- 벌수십작무궐(伐 樹 十 斫 無 蹶)
- 벌수지(伐 首 只)
- 벌아(伐 兒)
- 벌음지(伐 音 支)
- 벌이(伐 異)
- 벌장(伐 葬)
- 벌절라(伐 折 羅)
- 벌제(伐 祭)
- 벌직(伐 直)
- 벌채(伐 採)
- 벌천(伐 川)
- 벌초(伐 草)
- 벌취(伐 取)
- 범벌( 犯伐)
- 북벌( 北伐)
- 비벌수( 比伐 首)
- 삭벌( 削伐)
- 산벌( 山伐/ 傘伐)
- 살벌( 殺伐)
- 서나벌( 徐 那伐)
- 서벌( 徐伐)
- 서벌한( 舒伐 邯)
- 선벌( 選伐)
- 섭벌( 燮伐)
- 소벌( 疏伐)
- 수광벌( 受 光伐)
- 양벌( 攘伐)
- 우벌간( 于伐 干)
- 우벌찬( 于伐 飡)
- 윤벌( 輪伐)
- 의벌포( 依伐 浦)
- 이벌간( 伊伐 干)
- 이벌지( 伊伐 支)
- 이벌찬( 伊伐 湌/ 伊伐 飡)
- 이벌한( 伊伐 翰)
- 일벌( 一伐)
- 자벌( 自伐)
- 작벌( 斫伐)
- 전벌( 全伐/ 剪伐)
- 정벌( 征伐)
- 제벌( 除伐)
- 주벌( 誅伐)
- 지벌지( 只伐 只)
- 참벌( 斬伐)
- 채벌( 採伐)
- 천벌( 天伐)
- 침벌( 侵伐)
- 택벌( 擇伐)
- 토벌( 討伐)
- 투벌( 偸伐)
- 획벌( 劃伐)
3.2. 고사성어/ 숙어
- 구주필벌( 口 誅 筆伐)
- 극벌원욕( 克伐 怨 慾)
- 금화벌초( 禁 火伐 草)
- 남정북벌( 南 征 北伐)
- 당동벌이( 黨 同伐 異)
- 동당벌이( 同 黨伐 異)
- 동정서벌( 東 征 西伐)
- 백마벌기( 百 馬伐 驥)
- 벌가(伐 柯)
- 벌목정정(伐 木 丁 丁)
- 벌성상은(伐 性 傷 恩)
- 벌성지광약(伐 性 之 狂 藥)
- 벌성지부(伐 性 之 斧)
- 벌제위명(伐 齊 爲 名)
- 벌죄조민(伐 罪 弔 民)
- 불벌기장( 不伐 己 長)
- 불벌부덕( 不伐 不 德)
- 살벌지성( 殺伐 之 聲)
- 선양방벌( 禪 讓 放伐)
- 십벌지목( 十伐 之 木)
- 이이벌이( 以 夷伐 夷)
- 조민벌죄( 弔 民伐 罪)
- 표동벌이( 標 同伐 異)
- 필주묵벌( 筆 誅 墨伐)
3.3. 인명
- 나타기리 진( 山 刀伐 仁)
- 벌지(伐 智)
- 벌휴왕(伐 休 王)
- 벌휴 이사금(伐 休 尼 師 今)
- 세키레이 나타미( 瀬伐 井 鉈 美)
- 소벌도리( 蘇伐 都 利)
- 오례사벌( 汚 禮 斯伐)
- 이벌어려제( 伊伐 於 慮 鞮)
- 이치몬지 바츠( 一 文 字 伐)
- 후사벌왕( 後 沙伐 王)
3.4. 지명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로( 榛伐 路)
- 경기도 여주시 북벌로( 北伐 路)
- 경기도 오산시 벌음동(伐 音 洞)
- 경상북도 경주시 서라벌대로( 徐 羅伐 大 路)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벌지로(伐 知 路)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沙伐 國 面) 사벌로( 沙伐 路)
- 골벌국( 骨伐 國)
- 급벌산( 及伐 山)
- 달구벌( 達 句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達 句伐 大 路)
- 대전광역시 서구 벌곡로(伐 谷 路)
- 비사벌( 比 斯伐)
- 사량벌국( 沙 梁伐 國)
- 사벌( 沙伐)
- 서라벌( 徐 羅伐)
- 서야벌( 徐 耶伐)
- 음즙벌국( 音 汁伐 國)
- 잉벌노( 仍伐 奴)
-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伐 谷 面) 벌곡로(伐 谷 路)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원벌리( 元伐 里)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벌천로(伐 川 路)
- 충청북도 충주시 목벌동( 木伐 洞)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牫(뭇뿔 가)
- 𦨜[⿰舟戈](작은배 가)
- 鈛/ 𩰭[⿰鬲戈](노구솥 과)[7]
- 㳀(물이름 과)
- 䣬(술빛깔 과)
- 代(대신할 대)
- 䇅(우두커니서있을 벌)
- 䴰(성씨 속, 보릿겨 익)
- 𧥾[⿰言戈](알 식)[8]
- 𨈟[⿰身戈](나 아)[9]
- 𣧌[⿰歹戈](다할 월)
- 𦐂(날개 익)[10]
- 𦣣[⿰臣戈](착할 장)[11]
- 𣏾(재목 재)[12]
- 𡃣[⿰嘼戈](싸움 전)[13]
- 𥾮[⿰糸戈](끊을 절)
- 找(채울 조)
- 䰹(오징어 즉)[14]
- 聀(직분 직)[15]
- 𪗠[⿰齒戈](이갈 츤/친)[16]
- 䂝(땅을치는소리 타, 칠 책, 나무이름 탁)
- 䄀(재앙 화)[17]
- 𠯫(과)
- 𩢅[⿰馬戈](과)
- 𧔼[⿰蟲戈](아)
- 𡛏[⿰女戈]
- 𪥅[⿰大戈]
- 𪦷[⿰子戈]
- 𰏈[⿰工戈]
- 𭍡[⿰回戈]
- 𭨜[⿰曲戈]
- 𠶶[⿰启戈]
- 𭝞[⿰快戈]
- 𰒕[⿰愄戈]
- 𢶩[⿰𢰦戈]
- 𫼉[⿰戶戈]
- 𰓂[⿰手戈]
- 𭬐[⿰楷戈]
- 𰡯[⿰⺩戈]
- 𭻀[⿰田戈]
- 𫏳[⿰車戈]
- 𮙦[⿰豸戈]
- 𩚧[⿰𩙿戈]
- 𩫅[⿰高戈]
- 𩯷[⿰⿱髟崔戈]
- 𩿙[⿰鳥戈]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筏/ 栰/ 𦨷[⿰舟伐](뗏목 벌)
- 閥(문벌 벌)
- 浌(물이름 벌)
- 㘺(밭갈 벌)
- 䣹(술빚을 벌)
- 𥩱[⿰立伐](우두커니서있을 벌)[18]
- 垡(일굴 벌)
- 䤦(도끼 월)[19]
- 𥑼[⿱伐石](받쳐줄 점)
- 茷(풀잎무성할 패)
- 𠲎[⿰口伐](벌)
- 𨀳[⿰𧾷伐](벌)
- 𰀿[⿱伐乙]
- 𭃝[⿰刀伐]
- 𰁚[⿰亞伐]
- 𢬩[⿰扌伐]
- 𣑡[⿱伐木]
- 𤇰[⿱伐火]
- 𭭣[⿰⿻止一伐]
- 𫼂[⿰重伐]
- 𥅩[⿰目伐]
- 𭾬[⿱罒伐]
- 𨠰[⿱伐酉]
- 𲉷[⿱雨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