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04:57:53

첼시 FC/마레스카 체제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가로형).svg
2024-25 시즌 구단별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누누
에스피리투 산투

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svg
에디
하우

( 하우 체제)
파일: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아르네
슬롯

( 슬롯 체제)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스티브
쿠퍼

파일:레스터 시티 FC 로고.svg

과르디올라

( 과르디올라 체제)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에릭
텐하흐

( 텐하흐 체제)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안도니
이라올라

파일:AFC 본머스 로고.svg
파비안
휘르첼러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토마스
프랑크

파일:브렌트포드 FC 로고.svg
러셀
마틴

파일:사우스햄튼 FC 로고.svg
미켈
아르테타

( 아르테타 체제)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우나이
에메리

( 에메리 체제)
파일:아스톤 빌라 FC 엠블럼.svg

다이치

파일:에버튼 FC 로고.svg
게리
오닐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훌렌
로페테기

파일: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키어런
맥케나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엔초
마레스카

( 마레스카 체제)
파일:첼시 FC 로고.svg
엔지
포스테코글루

( 포스테코글루 체제)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올리버
글라스너

파일:크리스탈 팰리스 FC 로고.svg
마르코
실바

파일:풀럼 FC 로고.svg
EFL 챔피언십 구단별 감독 ▶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그1
파일:벨기에 국기.svg 프로 리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에레디비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십 파일:지브롤터 기.svg 풋볼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34694><tablebgcolor=#034694> 파일:첼시 FC 로고.svg 첼시 FC
감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05년 ~ 현재
1대
로버트슨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2대(임시)
레위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3대
칼더헤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4대
나이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5대
버렐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6대
드레이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7대
도허티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8대(대행)
수어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9대
섹스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0대(임시)
수어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1대
맥크리디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2대
셸리토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3대
블랜치플라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4대
허스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5대(대행)
굴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6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7대
홀린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8대
캠벨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대
포터필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20대(임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21대
호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22대
굴리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3대
비알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4대(대행)
릭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25대
라니에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6대
무리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27대
그랜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28대
스콜라리
파일:브라질 국기.svg
29대(대행)
윌킨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30대(임시)
히딩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1대
안첼로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32대
빌라스보아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33대
디 마테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34대(임시)
베니테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35대
무리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36대(대행)
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37대(임시)
히딩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8대
콘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39대
사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0대
램파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41대
투헬
파일:독일 국기.svg
42대
포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43대(대행)
살토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44대(임시)
램파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45대
포체티노
( 포체티노 체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46대
마레스카
( 마레스카 체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 EFL 챔피언십 | FA컵 | EFL컵 | UEFA 챔피언스 리그 | UEFA 유로파 리그 | FIFA 클럽 월드컵
}}}}}}}}} ||
첼시 FC
마레스카 체제
[[엔초 마레스카|
파일:엔초마레스카첼시.jpg
]]
제46대 감독
엔초 마레스카
<colbgcolor=#034694><colcolor=#fff> 감독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엔초 마레스카 / 제46대 감독
코치
주장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리스 제임스 / 제15대 주장
계약 기간 2024년 ~
계약 완료
연봉 미상
전술 스타일
성적 경기 승 무 패 (승률 %)

1. 개요2. 선임 과정
2.1. 감독 선임설
3. 코칭스태프4. 활동5. 공격 포인트 순위6. 평가

[clearfix]

1. 개요

첼시 FC의 제46대 감독 체제를 정리한 문서.

2. 선임 과정

2.1. 감독 선임설

5월 22일, 마우리시오 포체티노와 상호 합의 하에 결별했음을 발표했다. 유력 기자들의 보도를 종합해 보면 포체티노는 더 많은 발언권과 더불어 장기 계약을 요구했고 보드진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결별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차기 감독으로는 포백을 사용하며 점유 중심의 주도적인 축구를 추구하고 부상 방지를 신경쓰며 젊은 선수를 육성시킬 수 있는 감독을 원한다고 한다.
  • [선임 완료] 엔초 마레스카: 과거 맨체스터 시티 FC의 EDS팀 감독과 2022-23 시즌 코치 경력이 있으며, 현 시점에는 1년만에 다시 승격한 레스터 시티 FC의 감독이다. 1000만 유로 정도의 바이아웃이 존재한다고 하며, 예상 외로 꽤나 유력한 후보라고 많은 기자가 보도했다. 그러던 결국 5월 27일, 28일 내내 아주 강력히 연결되더니, 5+1년에 연봉은 옵션 포함 €5M짜리, 그리고 특정 조건 불충족으로 경질시 조기 계약 해지 조항을 포함한 계약에 합의했다고 공식력이 높은 기자들이 컨펌했다.
  • 키어런 맥케나: 입스위치 타운 FC의 백투백 승격을 이끌어낸 맥케나도 후보 중에 한 명이다. 맥케나의 경우는 경질 오피셜이 발표되기 전에도 드문드문 링크가 있었는데 경질 후에는 첼시가 확실히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데 제르비가 사임한 브라이튼, 텐하흐가 경질된다는 전제 하의 맨유와의 경쟁이 있을 수 있다. 400만 파운드 정도의 저렴한 바이아웃이 있다. 본인은 입스위치와의 재계약은 거절하고 미래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고 했으나, 결국 첼시와 브라이튼행을 전부 거절했고 첼시 또한 맥케나가 확실하게 응답을 하지 않자 맥케나의 선임을 포기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후 재계약 거절 의사를 번복하고, 입스위치와 약 £10M의 연봉으로 재계약이 유력하다고 한다. 이후 5월 30일, 맥케나는 입스위치와 2028년까지 재계약을 맺었음을 공식 발표했다.
  • 토마스 프랑크: 브렌트포드 FC의 감독 토마스 프랑크가 감독 후보에 올라 있다고 한다. 공신력이 매우 좋은 브렌트포드의 담당 기자 또한 보도한 사실이며, 리스트 꽤나 상단에 위치해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최종적으로는 브렌트포드에 잔류하게 되었다.
  • 후벵 아모림: 투헬을 경질할 때부터 지금까지 계속 첼시와 링크가 있는 스포르팅 CP의 아모림 또한 후보 중 하나다. 하지만 포백보다는 쓰리백을 사용하는 데다가, 바이아웃 조항이 €20M이나 되는 것이 흠. 결국 아모림 본인이 스포르팅 잔류를 선언하고 사임을 번복했다.
  • 로베르토 데 제르비: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에서 사임하고 무직 신분이 된 데 제르비도 리스트에는 들어 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의 보드진과의 마찰이 잦은 비타협적인 성격이나 시즌 후반기의 부진으로 인해 뒷순위로 밀려있는 상태인줄 알았으나 맷 로는 데 제르비가 후보 중 한 명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그리고 뜬금없이 아스날의 1티어 itk인 tnats가 데 제르비의 첼시 부임이 유력하다고 보도하면서 가능성이 올라갔었으나...본인이 바이언과 밀란, 리버풀과의 협상 때와 마찬가지로 이적 시장 전권을 달라고 요구해 보드진이 딜을 파토냈다고 하며 없던 일이 되었다. 이후 데 제르비는 리그 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감독으로의 부임이 확정되었다.
  • 제바스티안 회네스: VfB 슈투트가르트의 회네스도 리스트에 올라있다고 한다. 하지만 재계약을 한지 얼마 되지 않았고 본인의 스탠스가 잔류쪽에 기울어있는 상태이기에 난이도가 매우 높았으며, 이후 로마노는 회네스가 떠나고 싶지 않아한다고 한다. 뒷이야기에 따르면 실제로도 로렌스 스튜어트 디렉터가 접촉을 시도했으나, 본인의 잔류 의사가 너무 강력해서 결국 포기했다고 한다.
  • 세르지우 콘세이상: FC 포르투의 감독으로 에이전트인 조르제 멘데스가 첼시행을 추진하고 있다고 뿌렸으나, 실제로는 그 이후에 다른 보도가 나오지 않다가 마르세유와 접촉을 한 뒤 결국 협상이 엎어졌고, 첼시와의 링크는 전혀 없다.
  • 뱅상 콤파니: 콤파니는 포체티노를 선임하기 전에 약하게나마 첼시와 링크가 났던 적이 있으나 이번 시즌에는 후보군에 올라오지 않았고, 이후 2024-25 시즌을 앞두고 FC 바이에른 뮌헨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3. 코칭스태프

4. 활동

4.1. 2024-25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첼시 FC/2024-25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공격 포인트 순위

6. 평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