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02:51:01

중구·성동구 을

중구 성동구 을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중구(서울특별시)/정치
, 성동구/정치
,
,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종로 중·성동 갑 중·성동 을 용산
곽상언 전현희 박성준 권영세
광진 갑 광진 을 동대문 갑 동대문 을
이정헌 고민정 안규백 장경태
중랑 갑 중랑 을 성북 갑 성북 을
서영교 박홍근 김영배 김남근
강북 갑 강북 을 도봉 갑 도봉 을
천준호 한민수 김재섭 오기형
노원 갑 노원 을 은평 갑 은평 을
우원식 김성환 박주민 김우영
서대문 갑 서대문 을 마포 갑 마포 을
김동아 김영호 조정훈 정청래
양천 갑 양천 을 구로 갑 구로 을
황희 이용선 이인영 윤건영
강서 갑 강서 을 강서 병 금천
강선우 진성준 한정애 최기상
영등포 갑 영등포 을 동작 갑 동작 을
채현일 김민석 김병기 나경원
관악 갑 관악 을 서초 갑 서초 을
박민규 정태호 조은희 신동욱
강남 갑 강남 을 강남 병 송파 갑
서명옥 박수민 고동진 박정훈
송파 을 송파 병 강동 갑 강동 을
배현진 남인순 진선미 이해식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중구·성동구 을
중구 일원, 성동구 금호동, 옥수동
中區·城東區 乙
Jung–Seongdong B
}}}
파일:국회선거구 중구·성동구 을.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77,422명 (2024)
상위 행정구역 서울특별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중구 전역
소공동, 회현동, 명동, 필동, 장충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
성동구 일부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이전 선거구 성동구 갑, 중구
국회의원
박성준

1. 개요2. 분석3.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중구 전 지역, 성동구의 금호동, 옥수동을 포함하는 지역구로 중구의 인구 미달로 기존 성동구 갑 선거구의 일부 지역에 통합하여 신설되었다. 현재 이곳의 국회의원은 JTBC 사건반장 진행을 맡았던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박성준 의원이다.

2. 분석

사대문 안 지역이었던 중구는 조선시대부터 서울의 중심 역할을 했기에 종로구 못지 않게 유명한 인물들이 생각보다 많은 편이다.

대표적으로 초대 내무부장관을 지낸 윤치영, 대표적인 정치인 가문 정일형 외교부장관 - 정대철 새천년민주당 대표 - 정호준 전 의원, 1980년대 KBS 9시 뉴스 앵커를 맡았던 박성범 전 의원, 나경원 전 원내대표, 지상욱 여의도연구원장, JTBC 아나운서 박성준 등이 있다.

전통적으로는 민주당이 좀 더 우세인 지역이나, 한강 이북 선거구들 중에서는 부촌 비율이 높은만큼 용산구, 마포구 갑, 중구·성동구 갑과 같이 종부세에 민감한 지역이다 보니, 민주당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따른 표심 변화가 있는 편이다.[1]

선거구 내로 좁혀보면, 해당 선거구의 부촌들인 성동구 옥수동[2][3] 중구 신당동, 명동, 회현동 등은 보수세가 다소 강한 편이다.[4] 이외 동네들은 민주당이 경합우세한 편이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파일:국회휘장.svg 중구·성동구 을 역대 국회의원
<rowcolor=#fff> 총선 당선인 당적 임기
20대 지상욱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 박성준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22대
2024년 5월 30일 ~

3.1. 2016년 20대 총선 이전

본래 중구 지역구는 정일형 - 정대철 - 정호준이 3대에 걸쳐 국회의원을 했다. 제헌국회에서는 보수적인 윤치영이 당선되었지만, 2대 총선에서는 갑, 을 모두 야권이 차지했다. 당시 을 지역구에서 정일형이 연속 당선된다.

그러나 3대 총선에서 윤치영은 갑 지역구에서 당선되고, 잠깐 갑 지역은 보수성향 지역이 된다. 그러나 4대 총선에서 다시 야권이 두개 선거구를 차지하며 야권 지역이 된다.

5대 총선부터 8대 총선까지 야권 후보가 당선되고 특히 정일형 후보가 여러번 당선되었다. 그러나 중선거구제 실시 이후 9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장기영 후보가 1위로 당선되었고 정일형 후보도 2위로 당선되었다. 이어 보궐선거에서도 오제도 후보와 정대철 후보가 승리했지만, 1위는 보수 성향이었다.

이후 10대 총선에서 당선된 사람 중 여당 민관식은 2위, 야당의 정대철은 1위를 하며 야권 지지세가 강해진다. 11대 총선과 12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1위를 차지하며 여권화되었지만, 소선거구제 실시 후 13대 총선에서 평화민주당 정대철 후보가 당선되었고, 14대 총선에서도 승리했다. 허나 15대 총선에서 신한국당 박성범 후보가 승리한다.

16대 총선에서는 다시 새천년민주당 정대철 후보가 승리했지만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박성범이 당선되고, 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나경원이 당선되었다.

19대 총선에서는 민주통합당 정호준 의원이 당선되며 다시 중도 성향의 야권 잠식처가 된다. 이후 중구 선거구의 인구 미달로 성동구와 선거구가 합쳐졌다.

3.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중구·성동구 을
중구 일원[a]+ 성동구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지상욱(池尙昱) 37,981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8.03% 당선
2 이지수(李知洙) 24,307 3위

24.33% 낙선
3 정호준(鄭皓駿) 36,231 2위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36.27% 낙선
5 정재복(鄭在福) 253 5위

[[반공정당코리아|
파일:가자코리아 로고타입.svg
]]
0.25% 낙선
6 김수정(金秀瀞) 1,096 4위


[[민중연합당|
파일:민중연합당 글자.svg
]]
1.09% 낙선
선거인 수 172,600 투표율
58.47%
투표 수 100,924
무효표 수 1,056
||<-9><tablealign=center><bgcolor=#c9252b><tablebordercolor=#c9252b><tablebgcolor=#fff,#191919> 20대 총선 서울 중구·성동구 을 개표 결과 ||
정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지상욱 이지수 정호준
득표수
(득표율)
37,981
(38.03%)
24,307
(24.33%)
36,231
(36.27%)
+1,750
(△1.76)
100,924
(58.47%)
서울 중구 개표 결과
정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지상욱 이지수 정호준
득표수
(득표율)
25,102
(38.02%)
15,257
(23.11%)
24,692
(37.40%)
+410
(△0.62)
66,782
(58.96%)
소공동[A] 40.85% 26.78% 31.02% △9.83 45.74
회현동[B] 48.30% 17.46% 32.65% △15.65 51.57
명동[C] 42.40% 24.78% 29.60% △12.80 48.98
필동[D] 41.66% 23.84% 33.50% △8.16 58.85
장충동[E] 33.35% 29.55% 35.24% ▼1.89 56.74
광희동[F] 46.39% 17.96% 34.75% △11.64 51.80
을지로동 49.76% 16.89% 32.97% △16.79 50.15
신당동 39.41% 20.10% 39.29% △0.12[12] 55.42
다산동 36.60% 21.52% 40.47% ▼3.87 55.78
약수동[H] 38.07% 21.28% 39.12% ▼1.05 61.46
청구동[I] 37.96% 22.97% 37.18% △0.78 62.07
신당5동[j] 35.90% 20.27% 42.41% ▼6.51 52.87
동화동 38.98% 20.33% 39.28% ▼0.30 61.12
황학동[K] 36.18% 23.33% 39.27% ▼3.09 51.99
중림동[l] 37.94% 23.81% 37.15% △0.79 58.64
성동구 개표 결과
정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지상욱 이지수 정호준
득표수
(득표율)
12,879
(38.06%)
9,050
(26.74%)
11,539
(34.10%)
+1,340
(△3.96)
34,142
(57.55%)
금호1가동[m] 38.71% 27.84% 32.29% △6.42 57.41
금호2·3가동 36.75% 25.05% 37.00% ▼0.25 56.33
금호4가동 35.77% 27.71% 35.39% △0.37 56.86
옥수동[o] 40.32% 27.11% 31.67% △8.65 59.28
후보 지상욱 이지수 정호준 격차
거소·선상투표 36.74% 24.70% 30.12% △6.62
관외사전투표 32.77% 31.91% 33.11% ▼0.34
재외투표 25.38% 53.17% 19.69% ▼27.79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중구·성동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지상욱 정호준 격차
전체 39.4% 33.5% 5.9%p경합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20대 총선 지상욱 벽보.jpg 파일:20대 총선 이지수 벽보.jpg 파일:20대 총선 정호준 벽보.jpg
파일:20대 총선 정재복 벽보.jpg 파일:20대 총선 서울 김수정 벽보.jpg }}}}}}}}}
중구의 인구 미달로 인해 중구 선거구가 성동구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과 통합되었다.

이 당시 중구 현역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정호준 의원이었는데, 통합된 성동구 지역이 인구가 7만 명으로 기존 중구 선거구 인구보다는 적지만 성동구 지역 중 옥수동은 압구정동, 한남동과 인접하여 여권 성향이 강한 지역이며, 금호동의 경우 1~3가는 야권의 우세내지 경합우세, 4가는 여권의 경합우세 내지 여야 경합 지역으로 추가된 성동구 지역의 표심 향방이 중요해졌다.

그런데 정호준 의원은 그 전에 불륜문자 의혹, 음주운전 및 무면허 전과 등으로 홍역을 치렀고, 더불어민주당 탈당 사태로 인해 아버지 정대철 고문이 국민의당에 입당하면서 정호준 의원도 탈당할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있었다.

그러나 정호준 의원은 당에 남겠다고 밝혔고,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그를 비서실장으로 임명하려 했다. 이에 정대철 고문은 볼모정치라며 강하게 비판했고 결국 무산되었다. 그 후 당에서는 그를 컷오프시켰다. 이에 정호준 의원은 이 절차가 공정하지 않았다며 탈당했고, 결국은 아버지가 있는 국민의당에 입당하게 된다.

정호준 의원은 국민의당에 입당해 공천을 받았고, 현역의원으로서 중구의 숙원사업들을 해결했다며 "누구보다 잘 검증된 후보로 중구 발전의 적임자"라고 주장했다.

현역의원을 잃은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지수 후보를 공천했다. 이지수 후보는 기업 지배구조 전문가로,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중구와 인구가 늘고 있는 성동구의 경제를 해결하는 데 적임자라고 호소했다. "골목상권 보호 등 많은 생각과 정책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지역이 저에게 가장 맞는다고 생각해서 출마하게 됐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지상욱 당협위원장이 '진박'으로 불리는 김행 전 청와대 대변인을 경선에서 꺾고 후보가 되었다. 배우 심은하의 남편으로도 유명했던 지상욱 후보는 이 지역이 간선도로와 6개 노선 지하철이 지나는 곳이지만 여전히 뒷골목은 낙후됐다며 도심 '재생사업'에 역점을 두었다. "말이 아닌 비전과 실력으로 주민이 떠나가는 구도심에서 주민이 다시 찾아오는 미래 신도심으로 바꿀 수 있는 유일한 후보"라며 지지를 호소했다.

첫 여론조사에서는 지상욱 43.9%, 정호준 17.3%, 이지수 13.8%의 큰 격차[20]가 나왔지만 정호준 의원이 현역으로서의 프리미엄이 있고 야권연대 등의 변수가 아직 남아있었기 때문에 결과를 쉽게 예측하긴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러나 단일화 경선 방식에 관한 두 후보의 의견차이 때문에 끝내 야권연대는 이루어지지 않은 탓에 새누리당 지상욱 후보가 야권분열 덕에 어부지리로 당선되었다. 단 여론조사와는 달리 정호준 후보를 상대로 신승했다.

3.3.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중구·성동구 을
중구 일원[a]+ 성동구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성준(朴省俊) 64,071 1위

51.96% 당선
2 지상욱(池尙昱) 58,300 2위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47.27% 낙선
7 이주양(李柱養) 937 3위


[[국가혁명배당금당|
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
0.75% 낙선
선거인 수 183,779 투표율
67.85%
투표 수 124,700
무효표 수 1,392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4ea2><tablebordercolor=#004ea2> 21대 총선 서울 중구·성동구 을 개표 결과 ||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박성준 지상욱
득표수
(득표율)
64,071
(51.96%)
58,300
(47.27%)
+5,771
(△4.69)
124,700
(67.85%)
서울 중구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박성준 지상욱
득표수
(득표율)
43,195
(53.72%)
36,522
(45.42%)
+6,673
(△8.30)
81,420
(68.25%)
소공동[A] 45.60% 53.96% ▼8.36 68.43
회현동[B] 42.85% 55.88% ▼13.03 55.84
명동[C] 43.06% 55.47% ▼12.41 60.15
필동[D] 53.80% 45.43% △8.37 69.01
장충동[E] 54.66% 44.30% △10.36 65.07
광희동[F] 45.84% 53.53% ▼7.69 57.06
을지로동 48.65% 50.44% ▼1.79 59.76
신당동 55.07% 44.17% △10.90 60.90
다산동 55.06% 43.73% △11.33 63.18
약수동[H] 50.55% 48.72% △1.83 69.00
청구동[I] 51.29% 48.03% △3.26 68.55
신당5동[J] 57.36% 41.88% △15.48 63.46
동화동 53.02% 46.34% △6.68 69.66
황학동[K] 56.84% 42.10% △14.75 59.98
중림동[L] 53.23% 46.01% △5.31 68.54
성동구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박성준 지상욱
득표수
(득표율)
20,876
(48.65%)
21,778
(50.75%)
-902
(▼2.10)
43,280
(67.10%)
금호1가동[M] 50.74% 48.41% △2.33 66.29
금호2·3가동 52.38% 46.93% △5.45 65.03
금호4가동[N] 50.33% 49.08% △1.25 69.29
옥수동[O] 43.18% 56.42% ▼13.25 68.19
후보 박성준 지상욱 격차
거소·선상투표 37.41% 60.32% ▼22.90
관외사전투표 59.97% 39.16% △20.82
재외투표 60.50% 39.17% △21.34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중구·성동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박성준 지상욱 격차
전체 49.5% 50.0% 0.5%p경합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21대 총선 박성준 벽보.jpg 파일:21대 총선 지상욱 벽보.jpg 파일:21대 총선 이주양 벽보.jpg }}}}}}}}}
민주당은 김제시·부안군을, 한국당은 동두천시·연천군을 선거구 획정의 인구 하한선으로 삼자고 주장하고 있는데, 어느 쪽이든 성동구 단독은 상한선을 넘고, 종로구+중구는 상한선을 넘지 않기 때문에 공직선거법 제25조에 따라[36] 중구는 종로구·중구로 재편되고, 성동구는 19대 총선 당시의 / 선거구로 회귀할 것으로 보였다.[37]

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종로구·중구 단일선거구가 아닌 중구·성동구 갑/을로 개편된 이유는 종로구의 정치적 위상이나 종로구와 중구 간 생활권의 고려가 아닌 20대 국회 선거구 획정 당시 종로구와 중구를 합치면 인구상한을 초과하여, 1개의 선거구를 만들 수 없었기 때문이다.[38] 인구 및 시도별 국회의원 정수와 자치구 분할금지의 원칙은 생활권이나 정치적 위상같은 개념보다 우선된다.[39]

이를 파악한 선거구획정위에서도 종로구-중구 통합을 논의 했었으나, 최종적으로 여야가 인구상하한선을 139,000명~278,000명으로 설정하면서 종로구와 중구 인구의 합이[40] 상한을 초과하여 단일선거구 구성이 불가능하므로 중구와 성동구간 특례선거구 구성요건이 충족되어 21대 총선에서도 중구-성동구 을은 유지되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전순옥 전태일재단 이사, 이지수 19대 대선 외무대변인, 신종화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국민소통특별위원, 하승창 전 청와대 비서관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참고로 앞의 2명은 중구에, 뒤의 2명은 성동구에 주소를 두고 있었다.

그러나 2020년 2월 19일 더불어민주당은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를 전략공천지역으로 선정하여 위 예비후보들을 공천대상에서 제외시켰고 최종적으로 3월 2일 영입인재였던 박성준 전 JTBC 아나운서를 전략공천했다.

미래통합당에서는 현역 지상욱 의원과 최창식 전 중구청장이 공천 신청을 하였고, 2020년 2월 21일 단수추천을 통해 지상욱 의원을 최종 공천하였다.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박성준 후보가 미래통합당 지상욱 후보를 4.69%p차로 꺾고 승리하였다. 출구 조사에서는 지상욱 후보가 약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개표에선 박성준 후보가 계속 리드를 잡으면서 개표 막판까지 차이를 유지해 무난하게 승리했다. #

중구에서 소공동, 회현동, 명동, 을지로동, 광희동 등 도심지역은 지상욱 후보가 이겼다. 또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성동구 옥수동에서 지상욱 후보가 크게 앞섰다.

그러나 신당동, 약수동 지역 내 유일한 대학인 동국대학교가 위치한 필동과, 중구 내에서 도심지역이 아니고 대학 자취촌이 밀집한 장충동, 그리고 고가 아파트가 많지만 젊은 세대의 비중이 큰 성동구 금호동에서는 박성준 후보가 앞섰다.

성동구에선 지상욱 후보가 간발의 차로 이겼었으나[41], 중구에서 그것을 상쇄할 만큼의 표가 박성준 후보에게 간 것이 지상욱 후보가 패한 이유이다.

3.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중구·성동구 을
중구 일원[a]+ 성동구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성준(朴省俊) 61,728 1위

50.81% 당선[43]
2 이혜훈(李惠薰) 58,961 2위


48.53% 낙선
7 김영기(金永祺) 787 3위


[[한국국민당(2015년)|
파일:한국국민당(2015년) 노랑 로고타입.svg
]]
0.64% 낙선
선거인 수 177,422 투표율
69.38%
투표 수 123,087
무효표 수 1,611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bgcolor=#152484><tablebordercolor=#152484> 22대 총선 서울 중구·성동구 을 개표 결과 ||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박성준 이혜훈
득표수
(득표율)
61,728
(50.81%)
58,961
(48.53%)
+2,767
(△2.28)
177,422
(69.38%)
서울 중구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박성준 이혜훈
득표수
(득표율)
33,731
(51.12%)
31,815
(48.21%)
+1,917
(△2.91)
101,818
(65.76%)
소공동[A] 47.33% 52.25% ▼4.92 67.49
회현동[B] 40.82% 58.90% ▼18.08 61.71
명동[C] 46.33% 53.21% ▼6.88 62.52
필동[D] 52.72% 46.37% △6.35 68.79
장충동[E] 53.25% 46.08% △7.17 64.20
광희동[F] 45.44% 54.00% ▼8.56 55.86
을지로동[G] 50.22% 49.26% △0.96 65.81
신당동 54.91% 44.48% △10.43 63.43
다산동 53.51% 45.75% △7.76 61.89
약수동[H] 48.64% 50.67% ▼2.03 70.35
청구동[I] 49.97% 49.23% △0.74 70.22
신당5동[J] 55.71% 43.57% △12.14 62.71
동화동 49.72% 49.75% ▼0.03[54] 71.51
황학동[K] 54.55% 44.70% △9.85 60.93
중림동[L] 51.20% 48.07% △3.13 69.15
성동구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박성준 이혜훈
득표수
(득표율)
19,222
(47.45%)
21,058
(51.99%)
-1,836
(▼4.54)
60,158
(68.05%)
금호1가동[M] 50.70% 48.75% △1.95 66.29
금호2·3가동 51.46% 47.98% △3.48 66.12
금호4가동[N] 48.35% 51.00% ▼2.65 70.20
옥수동[O] 41.89% 57.56% ▼15.67 69.45
후보 박성준 이혜훈 격차
거소·선상투표 54.54% 43.75% △10.79
관외사전투표 58.18% 41.01% △17.07
재외투표 66.94% 32.64% △34.30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중구·성동구 을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박성준 이혜훈 격차
전체 52.8% 47.2% 5.6%p경합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박성준 22대 총선.jpg 파일:이혜훈 22대 총선.jpg 파일:김영기 22대 총선.jpg }}}}}}}}}
선거구획정위원회에서 중구에 해당하는 선거구와 종로구 선거구랑 합친 안을 내놓았지만 현행 유지로 결정되었다. #

더불어민주당 박성준 의원의 재선 도전 가능성이 높다. 정호준 전 의원도 출마를 선언했고 경선 끝에 2024년 3월 14일 박성준 의원이 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이 지역구에서 20대 국회의원을 지낸 지상욱 전 의원이 2024년 1월 15일 불출마를 선언함에 따라 지역구를 부산광역시에서 서울특별시로 옮긴 하태경 의원, 이영 전 장관, 이혜훈 전 의원이 경선을 치르게 되었다. 경쟁이 치열했으며 그 결과 1차에서 이영 전 장관이 떨어졌다. 결선 결과 이혜훈 전 의원이 공천을 받게 되었다.

이에 하태경 전 의원은 1차에서 자신이 이혜훈 후보 대비 거의 더블 스코어 차이였는데 어떻게 이영 후보 표가 대부분 이혜훈 후보한테 몰릴 수가 있냐면서 경선 여론조사에 의문점이 있다며 원데이터 공개를 당 지도부에 요구했으나 이혜훈 후보는 늘 대통령 공격만 하던 하태경 후보라 표가 안 간 것일 뿐 당연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공관위에서도 내부적으론 위원들끼리 갑론을박이 오간 것으로 전해졌지만, 최종적으로는 경선 결과에 영향을 끼칠 정도는 아니었다고 결론을 내리고, 2024년 3월 15일 하태경 전 의원의 이의 신청을 기각하였다. # 이에 하태경도 불만은 있지만 당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개표 초반에는 더불어민주당 박성준 후보가 앞서나갔으나, 개표 중반이 되자 빠르게 국민의힘 이혜훈 후보가 표차를 줄이기 시작했다. 결국 박성준 후보가 표차를 약 3,000표 정도 벌리고 나서야 당선되었다.

박성준 의원은 중구에서는 표차가 좁혀졌고, 성동구에서는 표차가 늘어나면서 지난 총선보다 표차가 줄었지만[60], 관외사전투표에서 크게 이기면서 재선에 성공했다.

박성준 의원은 이번 총선까지는 자기 선거구를 수성해냈지만 제2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또 조정이 발생할 경우를 미리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61]

곽상언 의원의 상징성을 떠나서 종로구 인구가 더 많아서 불리한데다 성동구가 단독으로 분구 되어서 현 지역구의 옥수, 금호동을 포함한 성동구 갑에 출마하자니 현 지역구 내 성동구 지역에서도 두 번 연속 패했다는 것이 걸린다. 만약 성동구가 합구된다면 인구가 더 많고 정치적 무게감도 더 높은 중구·성동구 갑 전현희 의원과 경선을 치러야 하는 진퇴양난에 빠진다.

따라서 3선을 목표로 한다면 고향이 충청남도 금산군인 만큼 아예 수도권을 떠나서 충청 · 대전권 지역구 대전권 지역 출마까지도 고려해야 할 수도 있다.

[1] 한강 이북 지역에서는 특히나 성동구, 용산구, 마포구, 종로구가 집값이 높아 종부세에 민감하다. 다만 접전인 용산구, 성동구와 달리 마포구는 직장인과 젊은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진보적이고, 종로구는 서북부 지역과 동남부 지역의 정치 성향이 차이가 있다. [2] 다만 재개발 전부터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기도 했다. 과거 옥수1,2동 시절 1동은 민주당, 2동은 보수정당이 우세했는데 합산하면 거의 동률에 가까웠고 200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보수정당이 승리한 사례가 더 많아졌다. [3] 옥수동과 매우 유사한 성향 흐름을 보이는 곳이 있는데, 바로 강 건너 흑석동( 동작구 을 소재)이다. 두 동 모두 한강을 끼고 있는 언덕 동네로 2010년대 재개발이 많이 이뤄졌고, 이전에도 보수세가 만만치 않았지만 인근 부촌에서 인구 유입이 이뤄지면서(압구정-옥수, 이촌/반포-흑석) 지역구에서 가장 보수세가 두드러지는 곳이 되었다. [4] 명동 또한 부촌으로서 보수 지지 성향이 강한 반면, 회현동은 보수세의 요인이 좀 다른데, 원도심에 위치한데다 노년층 인구 비중이 높은 게 더 큰 요인이다. [a] 소공동, 회현동, 명동, 필동, 장충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 [A] 숭례문 한국은행, 롯데백화점 본점 등 주요 건물들이 위치해있는 동네. [B] 서울스퀘어, 남대문시장 회현시민아파트 서울중부경찰서, 서울남대문경찰서가 있는 동네. [C] 서울특별시청, 서울광장 명동성당, 정화예술대학교가 있는 동네. [D]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예술대학교 남산캠퍼스, 숭의여자대학교 충무로가 있는 동네. [E] 장충체육관 장충단공원, 서울신라호텔이 있는 동네. [F] 중구청 동대문디자인플라자, 광희문이 있는 동네. [12] 4표차에 불과했다. [H] 남산타운아파트 다세대주택이 있는 동네. [I] 약수하이츠아파트 등의 아파트들과 다세대주택으로 구성된 동네. [j] 래미안 신당 하이베르 등 다수의 아파트 다세대주택이 공존해있는 동네. [K] 롯데캐슬 베네치아 등의 아파트들과 다세대주택으로 이루어진 동네. [l] 약현성당 LIG 서울역 리가가 있는 동네. [m] 금호동 벽산아파트 다세대주택이 공존해있는 동네. [o] 래미안 옥수 리버젠 등의 아파트들로 조성된 동네. [20] 2016년 3월 24일 조선일보 & 미디어리서치 [a] [A] [B] [C] [D] [E] [F] [H] [I] [J] 래미안 신당 하이베르, 신당 파인힐하나 유보라 등의 아파트들과 다세대주택이 공존해있는 동네. [K] [L] 약현성당 LIG 서울역 리가, 서울역센트럴자이가 있는 동네. [M] e편한세상 금호 파크힐스 금호동 벽산아파트가 있는 동네. [N] 힐스테이트 서울숲리버 다세대주택으로 구성된 동네. [O] 래미안 옥수 리버젠, e편한세상 옥수 파크힐스 대단지 아파트들로 조성된 동네. [36] 하나의 자치구ㆍ시ㆍ군의 일부를 분할하여 다른 국회의원지역구에 속하게 할 수 없다. 다만, 인구범위(인구비례 2:1의 범위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 미달하는 자치구ㆍ시ㆍ군으로서 인접한 하나 이상의 자치구ㆍ시ㆍ군의 관할구역 전부를 합하는 방법으로는 그 인구범위를 충족하는 하나의 국회의원지역구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인접한 자치구ㆍ시ㆍ군의 일부를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37] 19대 총선 당시 갑/을의 명칭은 20대 총선에서의 중·성동 갑/을과는 반대로 붙어 있는데 어느 쪽을 따라갈지는 불확실하다. [38] 중구는 서울특별시 자치구 중에서 유일한 인구 하한 미달 자치구로 인접 선거구와 함께 묶여 선거구를 구성해야 하며 가장 먼저 인접 자치구 중 중구와 합구하여 하나의 단일선거구를 구성할수 있는 자치구와 합구해야 하나, 인접 자치구 중 하나의 선거구를 가진 종로구, 용산구 모두 중구와 합구할 시에 인구 상한이 초과되어 특례선거구 구성이 불가피했다. 더불어 당시 서울시의 배정의석은 49석으로, 중구를 제외한 모든 자치구가 최소한의 분구를 하여 이미 49석의 선거구를 구성했다. 중구가 종로구 또는 용산구와 합구하여 종로구ᆞ중구 갑/을 혹은 중구ᆞ용산구 갑/을과 같이 2개의 선거구를 구성한다면 서울시 전체 선거구 숫자가 50개가 되어 서울시 다른 지역에 또다른 특례선거구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종로구와 용산구는 합구 고려 대상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중구는 인접 자치구중 기존 2석의 선거구를 가지고 있으며 중구와 특례선거구를 구성하여도 여전히 2석으로 나눌 수 있는 성동구ᆞ서대문구ᆞ마포구 중 인구수가 가장 적고 인접면이 가장 넖은 성동구와 선거구를 구성하게 되었다. [39] 헌법재판소 2000헌마 92 · 240(병합) 전원재판부 결정, 공직선거법 25조1항2호 [40] 278,738명 [41] 성동구 내에서도 인구가 많은 옥수동과 나머지 인구들이 있는 금호동 각각 승리한 후보가 달랐다. [a] [43]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단일 후보. [A] [B] [C] [D] [E] [F] [G] 세운 푸르지오 헤리시티가 있는 동네. [H] [I] [J] [54] 2표차였다. [K] [L] [M] [N] [O] [60] 그래도 본투표 및 관내사전투표를 포함해도 박성준 의원이 이미 81표차로 이긴 상태였다. [61] 이미 획정위에서 종로구·중구와 성동구 분구를 제시했었는데, 의원 본인의 거주지와 사무실이 다 중구에 있어서 종로구·중구에 출마하려면 ' 노무현의 사위' 곽상언 의원과 경선을 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