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11:23:28

제자백가

제자백가
농가 도가 묵가 법가 명가 병가 유가 음양가 잡가 종횡가 소설가


1. 개요2. 상세3. 관련 서적

1. 개요

제자백가()

춘추전국시대, 특히 시기적으로는 기원전 5세기 이후에 중국에서 생겨난 다수의 사상가들을 일컫는다. 그 유명한 공자와 맹자, 노자 등등도 제자백가라는 대집합 아래 분류된다. 여러 선생(~자)들이 백여 명이나 된다는 뜻으로, 실제 전적에 남아있는 제자백가의 사상가 수는 무려 200명에 육박한다. 하지만 사실 원래 이 쪽 단어에선 '백'이나 '천', '만' 등의 숫자를 그냥 막연하게 많다는 뜻으로 쓰는 경향이 많다.

하필이면 왜 이 시기에 이러한 사람들이 많이 배출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대체로 주나라의 종법제적 규범이 완전히 무너지고, 기존의 지배층들이 대거 몰락하면서, 그 몰락한 지배층들의 일파가 자신이 익힌 지식을 활용하여 교육과 후학 양성에 힘쓴 결과로 풀이된다. 쉽게 말해 이토록 혼란스러운 시대를 도대체 어떻게 끝낼 것인가에 대한 수많은 사상들이 쏟아져 나왔고 그 중에서 유력한 능력을 보였던 사람들이 제자백가인 것이다.[1]

사실 동주 당시에는 유가 묵가의 명칭밖에 없었으나, 사마천의 아버지 사마담, 그리고 《칠략》을 지은 유향과 같은 전한시대의 사람들에 의해 오늘날 보는 "~가"의 명칭이 생기고 분류되었다. 아래의 표에 나온 분류 역시 후세인들의 편의를 위해서 생긴 분류이기 때문에, 유가 정도를 제외하면 아래에서 "~가"로 묶인 사람들의 사상이 전부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본래 구류(九流)라 하여 '소설가'를 제외했으나, 훗날 소설가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십가(十家)'라고도 부른다. 흔히 '삼교구류(三敎九流)'라 하여 , , 삼교를 포함한 중국 철학의 대표로 꼽힌다.

물론 유가 도가를 포함한 다른 제자백가의 사상들도 약 2500년이 지난 현대 동아시아인들에 의해서 엄연히 사용되고 있다.

통일신라 시대 독서삼품과는 유학 경전의 이해 수준을 시험하여 관리로 채용하기 위한 제도였으며 비록 골품제로 인해 실패하였으나, 5경 3사 및 제자백가에 능통한 자는 순서를 뛰어넘어 특품으로 등용한다는 내용이 있을 정도였다.

이들을 흔히 골방 학자들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사실 이들은 시대상 준군사조직이었다. 선비를 뜻하는 글자도 원래는 도끼를 든 전사를 뜻 했다. 때문에 선비들의 집단이란 결국 지역 군벌을 뜻 했고, 이러다보니 마치 용병처럼 활동하기도 했다.

2. 상세

諸子百家
주요 제자백가 사상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4E4FF 0%, #F8F8FF 20%, #F8F8FF 80%, #E4E4FF); color: #000;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8F8FF> 유가 공자 자하 맹자 순자
묵가 묵자
도가 노자 장자 양주 열자
법가 이회 오기 신불해 상앙 한비자 이사
명가 혜시 공손룡 등석
농가 허행
병가 사마양저 손무 손빈 울료
불명 고자 후자
}}}}}}}}} ||

3. 관련 서적



[1] 당장 유교가 나온 이유도 과거 주공 단이 은나라의 괴력난신에 물든 사이한 풍습을 교화한 것을 본받자는 취지에서 나온 것이다. 공자가 주공 단을 존경하고 중요시 여겼던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2] 오늘날 편의상 도가로 분류하지만, 실제로는 도가 측에 위아론이라고 비판받은 인물이다. 장자의 기록에도 등장하여 공자처럼 허구로 장자와 대화하다가 (말발에) 쳐발리고 까이던 인물로 묘사될 정도라 도가에서는 무시당하는 입장이다. [3] 본명은 전양저(田穰苴)로 사마는 그가 한 벼슬 이름이었다. [4] 증자, 자사 계열 유가 [5] 자하 계열 유가 [6] 주나라의 사관으로 이름은 정확히 알 수 없고, 대대례의 보부편에서 그의 기록을 인용하였다는 것만 짧게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