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허억 |
제2대 이호석 |
제3대 김종환 |
제4대 허흡 |
제5대 조준영 |
제6대 이종왕 |
제7대 박기서 |
제8대 김종환 |
제9대 강원채 |
제10대 강계원 |
|
제11대 태종학 |
제12대 김수학 |
제13대 이규이 |
제14대 김무연 |
제15대 정채진 |
|
제16대 박창규 |
제17대 장병구 |
제18대 정채진 |
제19대 이상희 |
제20대 이상연 |
|
제21대 박배근 |
제22대 박성달 |
제23대 이해봉 |
제24대 한명환 |
제25대 이의익 |
|
제26대 조해녕 |
제27대 이종주 |
제28·29대
문희갑
|
제30대
조해녕
|
제31·32대
김범일
|
|
제33·34대
권영진
|
제35대 홍준표 |
||||
◀ 일제치하·미군정 경상북도 대구부윤 | |||||
대한민국 국회의원 ( 경북 성주군) | ||||
제헌헌법 공포 |
→ |
초대 이호석 |
→ |
제2대 배상연 |
제2대 경상북도 대구시장
이호석 李浩錫 | Lee Ho-seok |
|||
<colbgcolor=#008837><colcolor=#fff> 출생 | 1901년[1] 11월 12일 | ||
경상북도
성주군 유동면 대포동 (현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한개마을)[2] |
|||
사망 | 1959년 8월 30일 (향년 57세) | ||
본관 | 성산 이씨[3] | ||
초명 | 이인석(李仁錫) | ||
자 | 치형(致亨)[4] | ||
재임기간 | 제2대 경상북도 대구시장 | ||
1951년 9월 19일 ~ 1952년 10월 24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837><colcolor=#ffffff> 학력 |
성주공립보통학교 (졸업) 대구공립농업학교[5] (졸업) 니혼대학 ( 법과 / 졸업) |
|
최종 당적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의원 선수 | 1 | ||
의원 대수 | 1 | ||
경력 |
성주공립보통학교 교사 제헌 국회의원( 경상북도 성주군 / 무소속) 제2대 경상북도 대구시장 (관선)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성산(星山)이다.2. 생애
1901년 11월 12일 경상북도 성주군 유동면 대포동(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한개마을)에서 아버지 이기효(李基孝, 1883.4.19. ~ 1941.11.12.)[6]와 어머니 전의 이씨(1881.5.25. ~ 1912.3.28.)[7]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8] 성주공립보통학교, 대구공립농업학교[9], 일본 니혼대학 법과를 졸업하였다. 1921년부터 1925년까지 성주공립보통학교, 1926년 가천공립보통학교에서 각각 교원 촉탁으로 근무했고, 1939년부터 1943년까지 만주국 지린성에서 농장을 경영하면서 토지개척사업에 종사하였다. 8.15 광복 후에는 귀국하여 고향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성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대동청년단 이낙균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국회에서 재정경제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48년 7월 6일 국회에서 제헌 헌법에 적힌 대통령제를 내각책임제로 바꾸자는 이야기가 나왔을때 그는 대통령제가 더 좋겠다고 말하였다. 8월에는 반민족행위처벌법에 관한 질의에 참여하여 여러 수정안을 내주었다. 11월 김옥주 의원이 발의한 '국가보안법안 폐기에 관한 동의안'을 적극 반대하며 " 여순사건이 터진 지금 그 어떤 때보다 치안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호석 의원을 비롯한 여러 의원이 반대하여 결국 국가보안법 폐기안은 철회되었다. 1949년 12월 22일 휴일을 이용하여 의원들이 지역구로 가서 지방 치안을 조사하여 관공서에 보고하는 법인 '지방치안실태조사급 순회보도강연에 관한 결의안'을 발의하였지만 부결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일민구락부 후보로 경상북도 성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18명의 후보가 난립한 끝에 무소속 배상연 후보에 밀려 14위로 낙선하였다.[10] 6.25 전쟁 발발 후 1950년 7월 초에 조선인민군이 성주군에까지 몰려오자 피난했으며, 그해 9월 26일 추석 이전에 국군이 성주군을 수복한 이후에는 고향으로 돌아왔다.[11] 이후 성주경찰서 사찰계 형사 정○섭, 경찰 이○대와 함께 월항면 월항지서 망루대 아래 임시유치장에 수감되었던 부역 용의자들 중 희생자 48명을 색출하여 10월 27일 성주군 선남면 선원리 낙동강 강변에서 이들에 대한 양민 학살을 지휘했다는 목격자의 증언이 있다.[12]
1951년 9월 22일 경상북도 대구시장에 임명되었고[13] 1952년 5월 5일 개회된 경상북도 대구시의회에서 초대 간선 경상북도 대구시장으로 선출되었다[14]. 1952년 10월 예산낭비업자와 결탁해 부정을 저지른 사실이 드러나 대구시의회에서 불신임안이 제출되어 부결되었으나 이후 시장직을 사임하였다.[15]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성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도진희 후보에 밀려 4위로 낙선하였다.[16] 1958년 10월 2일 치러진 경상북도 대구시장 선거에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조준영 후보에 밀려 5위로 낙선하였다.[17]
이후 행적은 불분명하나, 2008년 간행된 성산이씨세보 무자보(戊子譜)에 따르면 1959년 8월 30일에 사망했다고 한다.[18]
3. 여담
- 제헌 국회의원 재직 당시, 고향 성주군에서는 국회의원의 권위를 이용해 만주국에서 함께 활동했던 이화영을 월항면 월항지서장에, 4촌 동생 이동석(李東錫, 1917.2.21. ~ 1995.4.20.)[19]을 월항면 부면장에 임명하였고, 21촌 지간의 족질(族姪)인 동산 이하영(李夏永, 1902.4.5. ~ 1950.10.27.)[20]의 집안 선산 자리를 억지로 헐값에 사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여 갈등을 빚는 등 지역 사회에서 여론이 좋지 않았다고 한다. 이 때문에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14위로 낙선하게 된 것이라 한다.[21]
4. 선거 이력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경북 성주[22]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4,400 (63.13%) | 당선 (1위) | 초선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성주[23] |
|
1,340 (3.25%) | 낙선 (14위)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6,451 (16.48%) | 낙선 (4위) | ||
1958 | 지방선거 | 경북 대구시장 | 1,891 (1.13%) | 낙선 (5위) |
5. 둘러보기
경상북도 제헌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대구 갑 | 달성 | 군위 | ||
최윤동 | 서상일 | 백남채 | 김우식 | 박준 | |
의성 갑 | 안동 을 | 청송 | |||
정우일 | 권병노 | 김익기 | 임영신 | 김봉조 | |
영양 | 영덕 | 영일 갑 | 영일 을 | 경주 갑 | |
조헌영 | 오택열 | 박순석 | 김익노 | 김철 | |
경주 을 | 영천 갑 | 영천 을 | 경산 | 청도 | |
이석 | 정도영 | 이범교 | 박해정 | 박종환 | |
고령 | 성주 | 칠곡 | 김천 갑 | 김천 을 | |
김상덕 | 이호석 | 장병만 | 권태희 | 이병관 | |
선산 | 상주 갑 | 상주 을 | 문경 | 예천 | |
육홍균 | 한암회 | 전진한 | 조병한 | 박상영 | |
영주 | 봉화 | 울릉 | |||
최석홍 | 공석 | 서이환 | |||
* 안동 을
정현모 사퇴 (1948.10.18.) * 봉화 배중혁 자격상실 |
|||||
제2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c0c0ff><tablebgcolor=#c0c0ff>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c0c0ff><tablebgcolor=#c0c0f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강달수 | 구중회 | 김경도 | 김철 | 김철수 |
박상영 | 서이환 | 신광균 | 안준상 | 원용한 | |
이석 | 이성득 | 이성학 | 이종린 | 이주형 | |
이호석 | 정구삼 | 조병한 | 주기용 | 한암회 |
}}} }}}}}} |
[1]
1950년 간행된
대한민국인사록(大韓民國人事錄)에 1949년에 49세였던 것으로 기재되어 있고, 성산이씨세보 무자보 권4 846쪽에도 1901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대한민국헌정회 회원프로필에는 1911년생으로 되어 있긴 하나, 모친이 1912년에 사망했는데 아래로
고종
정미년(1907)에 태어난 남동생 이준석(李浚錫, 1907.11.10. ~ 1955.9.5.)이 있는 것으로 보아 1901년생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
[2]
#
[3]
정언공파(正言公派) 32세 석(錫) 항렬.
[4]
치정(致亭)이라고도 한다.
#
[5]
현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6]
자는 대극(大極).
[7]
이현직(李玄稷)의 딸이다.
[8]
#
[9]
현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10]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는 소속이 '미상'으로 되어 있으나
1950년 5월 15일 조선일보 기사에 따르면
일민구락부 소속임을 알 수 있다.
[11]
#
[12]
#
[13]
1951년 9월 22일 조선일보 기사
[14]
대구역사문화대전
[15]
후임자는 김종환(金鍾煥)으로, 1952년 11월 1일 대구시의회에서 선출되었다.
1952년 11월 4일 조선일보 기사
[16]
2위는
자유당 이영균 후보, 3위는 해당 지역구에서
제4·
제5대 국회의원을 지낸
무소속
주병환 후보, 5위는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무소속 배상연 후보였다.
[17]
대구역사문화대전
[18]
성씨닷컴의 인물 정보에도 1959년 사망한 것으로 되어 있다.
#
[19]
자는 원경(元卿).
[20]
아명 이정영, 일명 이임출, 자는 우범(禹範).
[21]
#
[22]
제22선거구
[23]
제24선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