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09:51:20

용유도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e8e8e8,#2d2f34> 중구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 · 매도랑 · 사렴도 · 소무의도 · 소운염도 · 수수떼기 · 실미도 · 영종용유도( 영종도 · 용유도) · 운염도 · 잠진도 · 장고도 · 조름섬 · 팔미도 · 해녀도
동구 물치도
남동구 저어새섬
서구 세어도 · 소다물도 · 소세어도 · 아라빛섬 · 켬섬 · 호도
강화군 강화도 · 괴리섬 · 교동도 · 기장섬 · 남황산도 · 납도 · 대송도 · 돌섬 · 동검도 · 동그랑섬 · 말도 · 미법도 · 볼음도 · 부념도 · 분지도 · 상여바위섬 · 서검도 · 석도 · 석모도 · 섬돌모루도 · 소송도 · 수섬 · 아차도 · 용란도 · 우도 · 은염도 · 응봉도 · 주문도 · 함박도[주] · 황산도
옹진군 가도 · 가덕도 · 각흘도 · 갑죽도 · 거도 · 고석도 · 곰바위섬 · 관도 · 구지도 · 굴업도 · 금도 · 길마염 · 날가지도 · 남서도 · 납섬 · 낭각흘도 · 닭섬 · 당도 · 대가덕도 · 대갑죽도 · 대령도 · 대말도 · 대연평도 · 대이작도 · 대청도 · 대초지도 · 덕적도 · 도량도 · 동글섬 · 동만도 · 동백도 · 동초지도 · 먹염 · 멍애섬 · 모도 · 모이도 · 목덕도 · 목섬 · 문갑도 · 뭉퉁도 · 백령도 · 백아도 · 벌섬 · 벌안섬 · 복창지도 · 부도 · 사승봉도 · 사염 · 상고도 · 상공경도 · 상광대도 · 상벌섬 · 상석섬 · 서각흘도 · 서만도 · 석초섬 · 선갑도 · 선미도 · 선재도 · 소가덕도 · 소가도 · 소갑죽도 · 소낭각흘도 · 소령도 · 소야도 · 소어평도 · 소연평도 · 소이작도 · 소자암도 · 소지도 · 소청도 · 소초지도 · 소통각흘도 · 승봉도 · 시도 · 시도먹염 · 신도 · 신도 · 신도먹염 · 암서도 · 어평도 · 영흥도 · 오도 · 와염 · 외향도 · 울도 · 자암도 · 자월도 · 장구도 · 장봉도 · 주도 · 중고도 · 중광대도 · 중석섬 · 중울도 · 중통각흘도 · 지도 · 창서도 · 책도 · 측도 · 토끼섬 · 통각흘도 · 피도 · 하고도 · 하공경도 · 하광대도 · 하벌섬 · 하산도 · 하석섬 · 할미염 · 할미지 · 항도 · 황서도
[주]: 정전협정에 의해 북한의 영역으로 규정됐으나, 국토등기에는 남한 영역으로 등록되어 있다. }}}}}}}}}


1. 개요2. 상세3. 기타

1. 개요

용유도()[1]는 인천에 있던 섬으로 현재는 영종도의 일부분이다. 인구는 3,566명.[2]

2. 상세

인천국제공항 부지를 확보하기 위한 차원에서 영종도와 용유도, 삼목도, 신불도 사이의 바다를 메웠는데 이 때 합쳐진 섬을 그냥 "영종도"라고 통칭하게 되면서 사실상 사라졌다. 실제로 인천공항도 초창기에 "영종도신공항"이라고 불렀지 "용유도신공항"이라고 불리지는 않았다.

때문에 역사적으로 다른 섬이었다 보니 주민 대개가 토착민인 용유도에서는 영종도라 불리는 것을 싫어한다. 더욱이 구 영종도 지역에서는 공항도시, 영종하늘도시를 건설했는데, 구 용유도 지역은 개발이 진행되지 않았다.[3] 물론 개발을 아예 안 하려던 것은 아니고, 당초에 에잇시티를 개발하려고 했으나 어른의 사정이 적용하여 공중분해 되었다.

3. 기타

아직도 많은 지도에는 섬이 하나로 합쳐졌음에도 "영종도"와 "용유도"를 둘 다 표기해 놓는 경우가 대다수다.[4]

수도권 지역, 특히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해수욕장이라고 할 수 있는 을왕리 해수욕장과 왕산 해수욕장, 선녀바위 해수욕장 등이 구 용유도 지역에 있으며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차량기지인 용유차량사업소도 구 용유도 지역에 있다.

또한, 용유동에는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용유역 워터파크역이 위치하고 있다.

남북동에는 용유보건지소가 있다.


[1] 뜻을 직역하면 "이 놀다" 정도가 된다. [2] 2024년 3월 주민등록인구 [3] 그래서인지 구 용유면에 속했던 법정동 경계는 매립 이전 그대로 남아있다. 참고로 남북동의 경우 길게 뻗어있는데 곳이 있는데, 이는 매립 이전 영종도를 잇던 옛 연륙교의 흔적이다. [4] 실제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하는 국가지형도에는 용유도, 영종도, 삼목도, 신불도 등 매립 이전 지명이 모두 기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