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6:27:55

영혜옹주

조선의 왕녀
[[틀:조선의 왕녀/중종 ~ 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


대한제국 철종의 황녀
영혜옹주 | 永惠翁主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철종의 왕녀
영혜옹주 | 永惠翁主
파일:영혜옹주묘.jpg
영혜옹주묘 전경
출생 1858년
조선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망 1872년 9월 3일 (향년 14세)
조선 한성부 중부 관인방 사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30번지)
묘소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 606-1
재위기간 조선 영혜옹주
1866년 3월 29일 ~ 1872년 9월 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부모 부황 철종 장황제
모친 숙의 범씨
형제자매 부황 기준 5남 6녀 중 4녀
모친 기준 1녀 중 장녀
배우자 금릉위 박영효
(錦陵尉 朴泳孝, 1861 ~ 1939)
작호 영숙옹주(永淑翁主)
영혜옹주(永惠翁主)
}}}}}}}}}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조선 철종의 넷째 딸. 조선시대 때 태어난 조선의 마지막 왕녀이다.[1]

2. 생애

1858년(철종 9) 궁인이었던 범씨에게서 태어났다. 철종의 5남 6녀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자녀로, 사실상 철종의 무남독녀로 볼 수 있다.[2]

1866년(고종 3) 2월 13일, 8세의 나이로 정식으로 옹주로 책봉되고, 어머니는 궁인에서 종2품 숙의로 품계가 오른다. 이때 처음에는 영숙옹주(永淑翁主)로 책봉되었다가[3], 같은 날 영혜(永惠)로 작호가 바뀌었다.[4]

이후 도사 박원양의 아들 박영효와 혼인했으나, 결혼한 지 3개월 만에 14세의 나이로 요절하고 만다.[5] 조선의 법도에 따르면, 부마는 왕의 사위이므로 아내인 공주나 옹주가 죽더라도 재혼을 할 수 없는 것이 국법이었다.

그러나 박영효는 고종의 허락을 받아 새로운 후처를 들이진 못했지만 궁녀 범씨 비롯한 여러 궁인들을 으로 들여 자녀를 낳았고 증손주까지도 봤다.[6] 첩들에게서 자식을 봤지만 당시 조선의 법도 상 박영효의 정실부인은 영혜옹주 1명이었기에 죽은 후에도 영혜옹주와 함께 묻혔다.

3. 가족 관계

  • 시부 : 공조판서 증 영의정 정간공 박원양(工曹判書 贈 領議政 貞簡公 朴元陽, 1804 ~ 1884)
  • 시모 : 전의 이씨(全義 李氏, 1817 ~ 1884) - 이윤행(李允行)의 딸
    • 남편 : 금릉위 박영효(錦陵尉 朴泳孝, 1861 ~ 1939)

4. 관련 문서


[1] 덕혜옹주를 조선의 마지막 왕녀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덕혜옹주는 조선 멸망(1910년) 이후인 1912년에 태어났기 때문에 조선의 왕녀로 보는 것은 옳지 않다. 따지자면 덕혜옹주는 한국사의 마지막 왕녀이고( 고종에게 덕혜옹주보다 먼저 태어난 딸들이 있었으나, 모두 갓난아기일 때 요절해서 책봉을 받지 못했다), 영혜옹주는 조선이란 나라가 건재했을 때 태어나 책봉된 마지막 옹주이다. [2] 헌종도 숙의 김씨에게서 딸을 얻었지만, 옹주로 책봉 받지도 못하고 요절했다. [3] 대왕대비가 전교하기를, " 철종(哲宗) 때의 궁인(宮人)인 범씨(范氏)가 낳은 딸이 지금 9살이 되었다. 그를 영숙옹주(永淑翁主)로 봉하고 범씨는 숙의(淑儀)로 봉해줄 것에 대하여 오늘 정사(政事)에 하비(下批)하도록 하라."하였다.《고종 실록 3권, 고종 3년 2월 13일 계묘 2번째 기사》 [4] "대왕대비의 하교를 받았으니 귀주(貴主)에 대한 봉작을 '영혜(永惠)'로 고쳐 써서 들이라." 하였다.《고종 실록 3권, 고종 3년 2월 13일 계묘 3번째 기사》 [5] 죽기 전에 병이 심하다는 실록의 기록과 철인왕후의 묘지문에서 철인왕후가 병에 잘 걸리는 옹주를 걱정하였다는 지문이 있는 걸로 보아 선천적으로 병약했던 모양이다. [6] 박영효의 손녀 박찬주 의친왕의 차남 이우와 결혼했다. 일본은 이우를 영친왕이나 이건(의친왕의 장남)처럼 일본 여성과 결혼시키려 했으나, 이우는 조선 여성과의 결혼을 고집하여 일제에 맞서서 박찬주와 결혼하는 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