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00><table bordercolor=#083090>
|
한국여자프로농구 소속 구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
|
부산 BNK 썸 |
부천 하나원큐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
|
|
|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
청주 KB 스타즈 |
|
|||
<colbgcolor=#010048><colcolor=#ffffff>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
ASAN WOORI BANK WOORI WON | |||
정식 명칭 | 우리은행 우리WON 여자 프로 농구단 | ||
영문 명칭 | WOORI BANK WOORI WON WOMEN'S PRO BASKETBALL CLUB | ||
창단 | 1958년 | ||
구단명 변천 |
상업은행 여자 농구단 (1958~1998) 한빛은행 한새 (1998~2001) 춘천 한빛은행 한새 (2001~2002) 춘천 우리은행 한새 (2002~2016) 아산 우리은행 위비 (2016~2021)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2021~ ) |
||
연고지 변천 |
|
||
모기업 |
|
||
구단주 | 이원덕 | ||
단장 | 전성찬 | ||
감독 | 위성우 | ||
주장 | 박혜진 | ||
구단 사무국 |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51 ( 회현동1가)[1] | ||
홈구장 변천 |
춘천호반체육관 (2002~2016 / 수용 인원 3,484명) 안산와동체육관(2011 / 수용 인원 1,106명)[2] 아산이순신체육관 (2016~ / 수용 인원 3,300명) |
||
클럽 하우스 | 우리은행 체육관[3] | ||
키트 스폰서 |
|
||
마스코트 |
|
||
링크 |
|
||
우승 기록 | |||
★★★★★★★★★★★ 챔피언 결정전 우승 (11회) |
|||
역대 우승 엠블럼 | |||
|
|
|
|
2003 겨울 | 2003 여름 | 2005 겨울 | 2006 겨울 |
|
파일:external/s9.tinypic.com/2ldvihd_th.jpg | 파일:external/oi65.tinypic.com/xpomdu.jpg |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
|
|
|
2016-17 | 2017-18 | 2019-20[5] | |
정규 리그 우승 (13회) |
|||
1999 겨울, 2003 겨울, 2005 겨울 2005 여름, 2006 겨울,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9-20, 2020-21 |
[clearfix]
1. 개요
우리금융그룹 산하 스포츠단 소속 여자 프로 농구단이다. 현존 대한민국 여자 농구단 중 가장 많은 우승과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연고지는 한국여자농구연맹이 연고지 정책을 시행한 2001년 이래 강원도 춘천시였고 춘천시 석사동의 춘천호반체육관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2015-16 시즌 종료 후 충청남도 아산시로 연고지 이전을 발표했다. 우리은행 15년만 연고지 이전, '아산 시대' 연다. 현재의 홈구장은 풍기동에 위치한 아산이순신체육관이다. 연습 체육관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돌곶이로34길 12(舊 장위2동 76-3)에 있다.
실업 시절 마스코트는 다람쥐였다. 1999년 구단명 변경 후에는 한새[6]였으나 연고 이전과 함께 구단명, 엠블럼 교체 작업을 거쳐 꿀벌[7]로 변경했다. #
2021년 9월 16일, 구단명을 '우리은행 우리WON 여자프로농구단'으로 재차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 이번 변경은 우리은행 대표 브랜드인 'WON'을 활용하여 디지털 브랜드를 널리 알리고 팬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구단의 비전을 담아냈다고 한다.
엠블럼과 마스코트 또한 변경했다. 새롭게 공개한 엠블럼은 경쟁자의 도전을 막아내고 고객의 자산을 지켜주는 의미의 방패를 모티브로 삼았다. 새로운 마스코트 ‘위나’는 ‘We’와 ‘나’의 합성어로 ‘WOORI’와 ‘WON’의 공통상징인 ‘W’모양의 왕관을 활용하여 여자 농구 절대 강자를 표현했다.
2. 역사
3. 비판 및 사건·사고
3.1. 2007년 박명수 감독 성추행 사건
박명수 감독은 2003년 우리은행의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을 이끈 감독이다. 그리고 또한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대한민국 여자농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또한 우리은행은 이 시기 무려 4번의 우승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2007년 4월... 박명수 감독이 미국 전지훈련 시절 팀 선수를 성폭행하며 박명수 감독은 WKBL에서 영구제명 조치가 떨어졌다. 그리고 팀은 07-08시즌 5위로 떨어지면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이것은 그저 흑역사의 시작이다.3.2. 2011년 김광은 감독 선수 폭행 사건
2011년 김광은 감독이 우리은행의 에이스 박혜진을 폭행한 사건이었다. 결국 우리은행은 사상 최악의 시즌을 달리게 되었고 박혜진도 데뷔 이후 가장 힘든 시즌을 달리게 되었다. 결국... 김광은 감독은 경질당했다. 그리고 조혜진이 감독대행으로 부임하였다. 성적은 7승 33패... 4연속 최하위를 달리게 되었다. 이 두 번의 사건이 우리은행을 나락에 빠진 사건이다. 그래도 그 이후 우리은행은 위성우 감독 전주원 코치를 만나 7번의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달성하였다.4. 이모저모
-
2007년
4월 팀의 감독이었던
박명수[10]는
천하의 개쌍놈이었다. 바로 소속 팀 선수를 성폭행 미수 및 성추행을 한 것이다. 유죄 선고를 받아 결국
영구제명되어 퇴출되었지만, 팀 역사에서 가장 어두운
흑역사 중 하나였다. 그런 짓만 하지 않았어도 우승 4번을 이끈 명장으로 추앙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의 졸전을 빼놓아선 안 되지.결국 이 사건의 충격으로 우리은행은 위성우 감독이 오기 전까지 수년 간 암흑기를 맞게 된다.
- 유독 구단 내 부조리가 크게 터지는 구단이다. 위의 박명수 건도 그렇고 2011-12 시즌에는 김광은 감독 역시 천하의 개쌍놈 짓을 했다. 이 사건의 피해자가 박혜진이었고 같은 팀에 있었던 친언니 박언주가 폭로하여 알려졌다. 결국 시즌 중 김광은 감독은 자진 사임하고 코치로 있던 프랜차이즈 스타 조혜진을 감독 대행으로 선임했다. 하지만 조혜진 감독 대행 역시 두 번의 선수구타 사건을 수수방관 두둔했던 점이 있어 팬덤에서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후 박혜진은 위성우 감독이 부임한 후에도 계속 우리은행에서 뛰고 있지만, 친언니 박언주는 그 시즌이 끝나면 FA였는데, 시즌을 마친 후 결국 아무 팀으로부터 부름을 받지 못했다....[11] 이후 박언주는 실업 팀 사천시청에서 2년 간 뛰다가 2013 - 2014 시즌을 마친 후 그 때 맺지 못한 FA 계약을 맺고 복귀한다.
- WKBL 구단 가운데 단 한 번도 연고지를 옮기지 않은 유일한 구단이었다. 단, 남춘천역이나 춘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가기에는 교통이 너무 나빠 택시에 의존하는데다 강원도의 혹한에 체육관이 얼어붙으면 답이 없다. 2011년 1월 27일 우리은행:삼성의 경기는 안산 와동체육관(신한은행의 옛 홈구장)으로 옮겨 진행했다.[12] 거기에 춘천은 관중동원력는 6개 구단 연고지 중 최악이었다. 참고로 팬들 사이에 유독 연고이전 루머가 많이 돌아다니는 구단이었다. 그러나 연고정착제 원년부터 춘천에 있었고, 시간이 오래 흘러가면서 팬들은 연고이전을 않을 것라고 생각했지만... 2016년 3월 28일에 아산으로 연고이전 발표를 했다.
-
통합 시즌 출범 후(2007-08 시즌) 2011-12 시즌까지 단 한 번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었다.
이게 다 어떤 놈 때문이다그나마 2012-13 시즌 이후 2017-2018시즌까지 리그를 독주했던 것으로 위안을 삼을 수 있겠다.
- 위성우 감독 체제 하에서 벌어지는 것 중 하나는 우승하면 선수들이 정규 시즌,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하면 감독을 헹가레 친 후 넘어뜨려서 발로 밟는다는 것이다. 위성우 감독이 워낙 선수들을 혹독하게 훈련시키다보니 나온 애증의 표현이라고 한다. 그리고 2014-15 시즌에는 기어코 코치까지 밟았는데, 이쪽은 공약 때문이었다.
-
같은 모기업의 스포츠 구단
서울 우리카드 위비가 장충체육관 공사로 임시로 3시즌 동안 사용하던 이순신체육관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 곳에 있는 3시즌 동안 우리카드 한새는 4위-4위-7위라는 기록을 남기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으나, 아산 우리은행 위비는 아산에서의 첫 시즌인 16-17시즌에 곧바로 통합 우승을 따냈다. 2018-19 시즌은 동반 플옵 진출,
동반 탈락했다.
- 2019-20 시즌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조기 종료되면서 정규시즌 우승을 기록했다. 당초 이때문에 챔피언결정전 우승이 아닌 관계로[14] V11으로 합산할지 여부가 미지수였으나 결국 V11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한국프로스포츠 구단 중 프로야구 광주광역시를 연고로 삼는 호랑이 군단과 함께 최다 우승 공동 1위 기록이다.
- 아산시는 우리은행의 관계가 깊다. 2021년 시즌부터 우리금융그룹과 함께 같은 아산시 연고인 충남 아산 FC의 서브 스폰서로 선정했기 때문이다.
- 크리스마스에 경기를 한 적이 없다고 한다.
- 공식 영구결번은 아니지만 19-20시즌 이후로 어느 선수에게도 11번을 주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11번을 사용했던 선수는 오승인[15]이다. 해당 동영상을 참고하면 된다.[16]
5. 경력
5.1. 한국여자프로농구
- 2003 우리금융그룹배 여자 프로농구 겨울 리그 통합 우승
- 2003 우리금융그룹배 여자 프로농구 여름 리그 챔피언 결정전 우승[17]
- 2005 KB스타배 여자 프로농구 겨울 리그 통합 우승
- 2006 금호아시아나배 여자 프로농구 겨울 리그 통합 우승
- 2012-13 KDB금융그룹배 여자 프로농구 통합 우승
- 2013-14 우리은행배 여자 프로농구 통합 우승
- 2014-15 KB국민은행 여자 프로농구 통합 우승
- 2015-16 KDB생명 여자 프로농구 통합 우승
- 2016-17 삼성생명 여자 프로농구 정규리그 최고 승률 +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33승 2패, 94.28%) + 챔피언결정전 우승 → 통합 우승
- 2017-18 신한은행 여자 프로농구 통합 우승
- 2018-19 우리은행 여자 프로농구 정규리그 2위
- 2019-20 하나원큐 여자 프로농구 최종 우승[18]
- 2020 하나원큐 트리플잼 1차대회 우승
- 2020-21 KB국민은행 LiiV M 여자 프로농구 정규리그 우승
5.2. 기타 대회 성적
6. 역대 성적
| 우승 |
|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연도 | 순위/팀숫자 | 포스트시즌 | 경기수 | 승 | 패 | 승률 |
춘천 한빛은행 한새 | ||||||
1998여름 | 3/5 | 3위 | 8 | 4 | 4 | 0.500 |
1999겨울 | 1/6 | 준우승 | 5 | 4 | 1 | 0.800 |
1999여름 | 6/8 | 6위 | 15 | 5 | 10 | 0.333 |
2000겨울 | 3/5 | 3위 | 8 | 4 | 4 | 0.500 |
2000여름 | 5/6 | 5위 | 20 | 9 | 11 | 0.450 |
2001겨울 | 4/6 | 준우승 | 10 | 5 | 5 | 0.500 |
2001여름 | 3/6 | 3위 | 25 | 13 | 12 | 0.520 |
2002겨울 | 5/6 | 5위 | 25 | 10 | 15 | 0.400 |
춘천 우리은행 한새 | ||||||
2002여름 | 3/6 | 3위 | 15 | 9 | 6 | 0.600 |
2003겨울 | 1/6 | V1 | 20 | 14 | 6 | 0.700 |
2003여름 | 3/6 | V2 | 20 | 12 | 8 | 0.600 |
2004겨울 | 4/6 | 4위 | 20 | 10 | 10 | 0.500 |
2005겨울 | 1/6 | V3 | 20 | 13 | 7 | 0.650 |
2005여름 | 1/6 | 준우승 | 20 | 15 | 5 | 0.750 |
2006겨울 | 1/6 | V4 | 20 | 15 | 5 | 0.750 |
2006여름 | 3/6 | 3위 | 15 | 8 | 7 | 0.533 |
2007겨울 | 2/6 | 3위 | 20 | 14 | 6 | 0.700 |
07-08 | 5/6 | 5위 | 35 | 11 | 24 | 0.314 |
08-09 | 6/6 | 6위 | 40 | 7 | 33 | 0.175 |
09-10 | 6/6 | 6위 | 40 | 9 | 31 | 0.225 |
10-11 | 6/6 | 6위 | 35 | 5 | 30 | 0.143 |
11-12 | 6/6 | 6위 | 40 | 7 | 33 | 0.175 |
12-13 | 1/6 | V5 | 35 | 24 | 11 | 0.686 |
13-14 | 1/6 | V6 | 35 | 25 | 10 | 0.714 |
14-15 | 1/6 | V7 | 35 | 28 | 7 | 0.800 |
15-16 | 1/6 | V8 | 35 | 28 | 7 | 0.800 |
아산 우리은행 위비 | ||||||
16-17 | 1/6 | V9 | 35 | 33 | 2 | 0.943 |
17-18 | 1/6 | V10 | 35 | 29 | 6 | 0.829 |
18-19 | 2/6 | 3위 | 35 | 27 | 8 | 0.771 |
19-20 | 1/6 | V11[21] | 27 | 21 | 6 | 0.778 |
20-21 | 1/6 | 3위 | 30 | 22 | 8 | 0.733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
21-22 | 2/6 | 준우승 | 30 | 21 | 9 | 0.700 |
- 처절한 암흑기를 겪었다가 위성우 감독을 만나 4시즌 연속 최하위에서 6시즌 연속 우승이라는 위업을 쌓았다.
7.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66b3><tablebgcolor=#0066b3>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역대 감독 (한빛은행/춘천 시절 포함) |
{{{#!wiki style="margin: 0 -10px" {{{#0066b3,#4cb1f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
||||
<rowcolor=#fff> 1대 |
2대
|
3대 | 4대 | |
유수종
(1998~2000) ☆ |
(2000~2007) ☆ ★ ★ ★ ☆ ★ |
박건연
(2007~2009) |
정태균
(2009~2011) |
|
<rowcolor=#fff> 5대 |
6대
|
|
||
(2011) |
감독대행 조혜진 (2011~2012) |
위성우
(2012~) ★ ★ ★ ★ ★ ★ ★ ☆ |
||
윗첨자1 : 소속 선수 성추행 후 사임 윗첨자2 : 소속 선수 폭행 후 경질 |
8. 현재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66b3>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2022-23 시즌 선수단 |
{{{#!wiki style="color:#0066b3;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0066b3; margin: -6px -1px" |
코칭스태프 |
감독
위성우 · 코치
전주원 ·
임영희
|
지원스태프 |
매니저
홍보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6b3; font-size: .8em"
통역}}} 유미예 · 트레이너 유방재 · 이재원 · 송혜련
|
|
가드 |
0 백지원 · 1
박지현 · 2
이재원 · 5
박다정 · 7
박혜진 [[주장| C ]]
|
|
포워드 |
3
김은선 |
|
센터 |
6
최이샘 · 14
방보람 |
9. 역대 선수단
10. 응원단
<colbgcolor=#0066b3> 2022-23 시즌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응원단 | |
응원단장 | 한재권 |
장내 아나운서 | 유재환 |
치어리더 |
이나경,
서현숙,
정희정,
이다영,
고가빈,
박성은 안혜지, 김수현, 임혜진, 이엄지, 정지호 |
11. 둘러보기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4px -12px 0px" |
|
|
|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우리WON 여자사격단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67aa><colcolor=#fff> 계열사 | 우리금융지주 | 우리은행 | 우리카드 | 우리금융캐피탈 | 우리종합금융 | 우리자산신탁 | 우리금융저축은행 | 우리자산운용 | 우리금융F&I | 우리신용정보 | 우리펀드서비스 | 우리프라이빗에퀴티자산운용 | 우리글로벌자산운용 | 다올인베스트먼트 | 우리FIS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
공익재단 | 우리다문화장학재단 | 우리금융미래재단 | |
스포츠단 |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우리은행 우리WON 여자사격단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8c8c7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8c8c70>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K리그2 | V-리그 남자부 | WKBL | |
|
|
|
|
|
충남 아산 FC | 천안 시티 FC |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
충청남도 연고 세미프로 구단 보기 | 충청남도 연고 아마추어 구단 보기 |
[1]
우리은행 본점
[2]
#
[3]
서울특별시
성북구
돌곶이로 34길 12 (
장위동)
[4]
농구단 계정은 없으나 모기업인 우리은행이 기업 계정에 훈련이나 경기 영상을 가끔 게시한다.
[5]
챔피언 결정전 우승이 아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으로 인해 시즌 자체를 조기에 종료했다. 그러나
한국여자농구연맹은 종료 시점에서 리그 1위였던 우리은행의 2019-20 시즌 우승을
인정했다. 동일한 상황의
V-리그 남자부 및 여자부,
한국프로농구 등 다른 한국 겨울 프로 스포츠 리그는 정규 리그 1위 구단의 우승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6]
황새를 고유어로 표현한 것이었다.
[7]
우리은행의 모바일 은행인 위비의 광고에 나오는 꿀벌
[8]
2015 - 2016 챔피언결정전 당시 응원석에 위비 마스코트의 작은 인형을 나누어준 적이 있었다. 물론 이 때는 마스코트가 교체될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9]
KB국민은행은 WKBL 출범 이후 2018-19 시즌에 챔프전 첫 우승을 하였다. 정규리그 우승은 3번.
[10]
당연하지만 코미디언 혹은 방송인
박명수나
前 프로게이머 박명수와는
동명이인. 그 때문에 당시 포털사이트에 '
박명수 구속'이란 검색어가 떴을 때 연예인
박명수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저 멀쩡합니다." 라고 짧게 해명했다.
[11]
누가 보더라도 구단 측의 보복이다. 다른 구단들도 눈치채고 박언주 선수의 영입을 포기했다. 구단은 구단 내 사건을 묻는 선수를 선호하지, 터뜨리는 선수는 싫어한다.
[12]
당시 상대팀 삼성생명은 7년후 용인체육관이 정전되는 불상사를 겪었다.
[13]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도 프리미엄 고속버스로 이동한다.
[14]
같은 19-20시즌에 우리금융 계열에서 운영하는
다른 스포츠팀도 정규리그 1위를 기록했지만, 우승으로 인정받진 못했다.
[15]
19-20시즌 이후 20-21시즌 9번, 21-22시즌에는 21번, 22-23시즌부터는 다시 9번을 사용하고 있다.
[16]
해당 영상 중간에 김은선 선수가 3번을 택한 이유가 나온다. 참고로 김은선 선수는 고등학교까지 11번을 사용했다.
[17]
V5를 달성한 시점에서 보자면 유일하게 통합우승을 이루지 못한 시즌이었다. 03년 여름시즌 당시 경쟁자였던 삼성생명은 정규시즌 개막이후 15연승을 올린 막강한 전력이었고 우승 청부사 캐칭은 플레이오프부터 합류했다.
[18]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 때문에 27경기를 치른 시점에서 시즌이 조기 종결됐다. 챔피언결정전을 비롯한 플레이오프는 일절 치르지 않기로 했고 시즌 종료 시점의 순위를 최종 순위로 준용하게 됐다. 결국 2위
청주 KB 스타즈에 1.5경기 차이로 앞서면서 정규리그 우승을 거머쥐었고, 플레이오프 자체가 없는 시즌이기 때문에 WKBL은 우리은행을 최종 우승팀으로 기록했다.
[19]
당시 일본 JX Eneos팀은 오가 유코, 요시다 아사미, 도카시키 라무 등 일본 국가대표에서 주전을 맡고있던 선수들이 다수 포진하고 있었다. 그리고 위 선수들이 포함된 일본국대가 한국국대의 위상을 위협하고 있던 시기였기에 이러한 예상이 많았다.
[20]
우리은행은 대회 전 있었던 12-13시즌에서 통합우승을 달성한 팀이기는 하나 아직 뭔가 강팀으로서의 면모가 부족했었고 더욱이 국대경험이 있던 선수가 별로 없었는데다가[22] 센터진의 높이도 낮아 우리은행의 우승을 예상한 사람은 별로 없었다.
[21]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플레이오프 및 챔피언결정전은 진행되지 않았고, 정규리그 중단 시점의 순위를 최종 순위로 결정한 후 1위 우리은행이 우승팀 자격을 가져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