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00:43:27

아베베 비킬라

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올림픽 마라톤 남자 우승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202020>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1896 아테네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1900 파리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1904 세인트루이스 파일:영국 국기.svg 1908 런던 파일:스웨덴 국기.svg 1912 스톡홀름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스피리돈 루이스
2:58:40
미셸 테아토
2:59:45
토머스 힉스
3:28:53
빌리 셰링
2:51:23
케네스 매카서
2:36:54
<rowcolor=#202020>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1920 안트베르펜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1924 파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28 네덜란드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1932 로스앤젤레스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1936 베를린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한네스 콜레흐마이넨
2:32:35
알빈 스텐로스
2:41:22
부게라 엘 와피
2:32:57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
2:31:36
손기정
2:29:19
<rowcolor=#202020> 파일:영국 국기.svg 1948 런던 파일:핀란드 국기.svg 1952 헬싱키 파일:호주 국기.svg 1956 멜버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60 로마 파일:일본 국기.svg 1964 도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델포 카브레라
2:34:51
에밀 자토펙
2:23:03
알랭 미뭉
2:25:00
아베베 비킬라
2:15:16
아베베 비킬라
2:12:11
<rowcolor=#202020> 파일:멕시코 국기.svg 1968 멕시코시티 파일:독일 국기.svg 1972 뮌헨 파일:캐나다 국기.svg 1976 몬트리올 파일:소련 국기.svg 1980 모스크바 파일:미국 국기.svg 1984 로스앤젤레스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동독 국기.svg 파일:동독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마모 월데
2:20:26
프랭크 쇼터
2:12:19
발데마르 치르핀스키
2:09:55
발데마르 치르핀스키
2:11:03
카를루스 로페스
2:09:21
<rowcolor=#20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서울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2 바르셀로나 파일:미국 국기.svg 1996 애틀랜타 파일:호주 국기.svg 2000 시드니 파일:그리스 국기.svg 2004 아테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젤린도 보르딘
2:10:32
황영조
2:13:23
조시아 투과니
2:12:36
게자네 아베레
2:10:11
스테파노 발디니
2:10:55
<rowcolor=#202020> 파일:중국 국기.svg 2008 베이징 파일:영국 국기.svg 2012 런던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6 리우 파일:일본 국기.svg 2020 도쿄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4 파리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새뮤얼 완지루
2:06.32
스티븐 키프로티치
2:08:01
엘리우드 킵초게
2:08:44
엘리우드 킵초게
2:08:38
타미라트 톨라
2:06:26
}}}}}} ||

파일:아베베.jpg
<colbgcolor=#131230> 이름 샴벨 아베베 비킬라
Shambel Abebe Bikila
ሻምበል አበበ ቢቂላ
출생 1932년 8월 7일
에티오피아 제국 자토
사망 1973년 10월 25일 (향년 41세)
에티오피아 제국 아디스아바바
국적
[[에티오피아 제국|]][[틀:국기|]][[틀:국기|]]
종목 육상
주종목 마라톤
신체 177cm, 57kg
별명 맨발의 아베베
1. 개요2. 생애3. 선수 경력4. 시련과 투쟁5. 수상 기록6. 기타

[clearfix]

1. 개요

에티오피아의 전(前) 마라토너이며, 아프리카 최초의 금메달리스트 및 마라톤 최초 2연패 달성자다.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마라토너 중 한 명이자 41년의 생애 동안 영광과 좌절을 수차례 겪은 극적인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2. 생애

원래는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의 친위대에서 부사관으로서 근무했었다가, 한국 전쟁 때 1년간 에티오피아군 참전 부대인 칵뉴 부대의 대대장 경호병으로 참전했다. 이후 재미 삼아 출전한 군인 마라톤 대회에서 우승하면서 마라톤에 두각을 드러냈다. 이때가 24세였는데, 운동선수로는 매우 늦게 데뷔를 한 셈이다.[1]

3. 선수 경력

3.1. 1960 로마 올림픽

대회를 앞두고 에티오피아에서 국가대표를 선발하는데 당초 아베베 비킬라는 선발되지 않았지만 당시 팀의 에이스였던 와미 비라투가 올림픽 출전 보름 전에 축구를 하다가 발목을 다치는 바람에 대신 출전하였다. 로마 올림픽은 이전 올림픽과는 달리 특이하게도 야간에 마라톤을 했는데 아베베가 결승선인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을 통과하자 사람들이 경악을 금치 못했는데 그 이유는 아베베 비킬라가 맨발로 달려 들어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베베 비킬라는 이 대회에서 2시간 20분의 벽을 깨고 2시간 15분 16초 2로 세계 신기록을 세운다. 아베베의 금메달은 아프리카 출신 흑인이 최초로 획득한 메달이기에 아베베 비킬라는 아프리카에서도 영웅으로서 추앙받았다.

경기가 끝나고서 세계 언론에서는 아베베 비킬라가 마라톤화를 살 형편이 안 될 정도로 가난했기에 맨발로 달렸다고 호들갑을 떨었지만, 사실이 아니다. 당시 에티오피아 대표팀은 아디다스가 후원하였고 선수들에게 마라톤화 정도는 당연히 지급되었다. 그러나 문제는 아베베 비킬라가 대표팀에 뒤늦게 합류해서 발에 맞는 신발이 없었고 결국 에티오피아 감독이 맨발로 훈련해본 경험이 있는 아베베 비킬라에게 맨발로 뛰는 것을 권유했다. 로마의 대로는 대부분 아스팔트나 돌길이라 맨발로 달리기엔 약간 힘든 조건이었지만 당시 마라톤화의 무게는 약 400g으로 상당히 무거운 편이었고 오히려 맨발이 신발을 신었을 때보다 달리기 좋았다는 말도 있었다 한다.

로마에서 열린 올림픽에서 우승한 아베베 비킬라는 무솔리니 파시스트 정권하에서 침공당한 적이 있는 에티오피아인들에게 열광적인 환호를 받았고,[2] 대표팀 귀국 때 에티오피아 황제가 직접 마중을 나와 아베베 비킬라에게 왕관까지 씌워주고 금반지와 금시계를 하사하는 등 국민 영웅으로서 등극한다. 이 올림픽으로 인해 '맨발의 아베베'로 유명해졌다.

3.2. 1964 도쿄 올림픽

대회 40일 전 아베베 비킬라는 급성 충수염으로 수술을 받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아베베 비킬라의 마라톤 2연패를 기대하지 않았다. 그런데 아베베 비킬라는 수술 후 몸도 다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2주 만에 훈련에 돌입했고 이번에는 푸마에서 후원한 마라톤화를 신고[3] 2시간 12분 11초 2로 세계 신기록을 경신하면서 세계 최초로 올림픽 마라톤 2연패를 달성한다.[4] 무엇보다 결승선을 들어온 다른 선수들은 탈진에 쓰러기 바빴지만 아베베는 맨손체조를 하면서도 20km 이상은 더 달릴 수 있다고 말하는 등 놀라운 체력을 보여준다.

그런데 수술받고 마라톤에 출전해서 우승할 줄은 아무도 예측을 못했던 건지, 주최 측에서는 에티오피아 국가를 준비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에티오피아 선수를 시상대 위에 올려놓고 기미가요를 연주해 구설수에 올랐다.[5][6] 당연히 에티오피아 대표팀에서는 격분하여 주최 측에 항의했고 언론에서도 호되게 비판하여 이 일은 도쿄 올림픽의 흑역사로 남게 된다.

위의 국가 해프닝 말고도 일본의 마라톤 기대주였던 쓰부라야 고키치는 2위로 들어왔다가 마지막 코스인 올림픽 스타디움 러닝트랙에서 바실 히틀리에게 역전을 허용하여 순위가 3위(즉, 동메달)로 떨어지는 충격을 겪었다. 이후 그는 1967년의 부상과 그에 따른 성적 부진, 개인적인 슬픔 등을 비관하다가 멕시코 올림픽을 앞두고 그만 자살하여 비극적으로 생을 마쳤다.[7] 일본은 멕시코 올림픽에서 기미하라 겐지가 마라톤 은메달을 획득하는 것으로 고키치의 한을 조금이나마 풀 수 있었다.

3.3.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높은 고도에서 열린 대회의 환경상 선수들이 환경에 적응하느라 애를 먹었고, 아베베 비킬라도 부상을 입은데다 이미 나이도 전성기를 지난 탓에 17km까지만 뛰고 기권했다. 대회 이전에 아베베는 이미 부상에서 회복했다며 호언장담했지만, 이는 동료들을 위해서 일부러 허세를 떤 것에 가까웠다.

대신 아베베는 페이스 메이커로서 역할을 하면서 자국 선수 마모 웰데가 금메달을 획득하는 것을 도왔다.[8] 이로써 에티오피아는 마라톤 3연패를 달성하였다.

4. 시련과 투쟁

파일:external/i.guim.co.uk/Abebe-Bikila-practices-fo-009.jpg
그렇게 승승장구하던 아베베 비킬라는 1969년 아디스아바바 근교에서 황제가 하사한 폭스바겐 승용차를 운전하던 중 대형 교통사고를 당하여 목뼈가 부러지고 척추가 손상되는 중상을 입었다. 다행히 아베베 비킬라는 기적처럼 회생했지만 육상 선수에게는 사형 선고나 다름없는 하반신 마비 판정을 받았다. 아무도 아베베 비킬라의 부활을 예측하지 않았지만 아베베 비킬라는 불굴의 의지로 다시 일어나 상체의 힘을 길러 펜싱, 탁구, 양궁, 눈썰매 등을 배워 장애인 대회에서 메달까지 따는 투혼을 보였다.[9]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던 아베베 비킬라는 1973년 교통사고 후유증을 극복하지 못하고 뇌출혈로 인해 향년 41세라는 안타까운 나이에 사망했다. 아베베 비킬라의 장례식에는 에티오피아 국민 6만 명 이상이 참석했고 맨발의 마라토너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아베베 비킬라의 사망을 애도했다.

5. 수상 기록

올림픽
금메달 1960 로마 마라톤
금메달 1964 도쿄 마라톤

6. 기타

  • 앞서도 언급한 대로 6.25 전쟁에서 UN군으로 참전한 에티오피아군의 일원으로 한국에 왔고, 1966년 10월 동아일보 초청 제3회 국제 마라톤 대회(9.28 서울수복기념 국제마라톤대회) 출전을 위해 다시 한국을 방문했다.[10] 당시 그는 2년 앞선 도쿄 올림픽에서 마라톤 2연패를 달성하는 등 선수로서 최전성기를 구가하던 때였고, 순조롭게 우승을 차지하였다. 후에 대회를 참가한 사유를 물어보니. "한국전쟁에 참전했을 때 한국인에 대한 좋은 기억을 갖고있다."라고 답하였다. 그리고 한국에서 열린 이 대회는 아베베가 마라토너로서 우승한 마지막 대회로 기록되었다. 우승 당시 대한뉴스의 영상
  • 아베베 비킬라의 생애를 소재로 한 영화〈The Athlete〉가 2010년에 개봉되었다.
  • 만화왕국에서 비킬라의 전성기와 시련을 그린 전기물을 출시했다. 글과 그림은 신영식 화백.
  • 마모 웰데 선수와 함께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의 성 요셉 묘지에 동상이 세워져 있는데 2007년경에 어떤 사람이 테러를 저질러서 아베베 비킬라와 마모 웰데의 동상의 다리가 박살이 난 적이 있었다.
  • 황제를 호위하던 무관 출신이었기에 교통사고를 면했어도 맹기스투의 반란에 휘말려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 아베베 비킬라가 전 국민의 스포츠 영웅이라고 하지만 맹기스투는 그딴 거 신경 쓰지 않던 작자였기 때문이다. 아베베 비킬라가 죽은 지 채 1년이 지나지 않은 1974년 9월, 멩기스투가 주축이 된 군부 쿠데타로 에티오피아 제정은 폐지된다. 아베베 비킬라가 페이스 메이커 역할을 해 주어 1968년에 우승을 거머줬던 동료 선수인 마모 월데는 멩기스투가 쫓겨난 후에 들어선 인민혁명당군이 에티오피아의 정권을 잡자 멩기스투 황실 근위 대대 소속 대위였다는 이유로 양민 학살 혐의를 받고 1993년에 투옥되기도 했다. 이에 IOC 측에서 마모 윌데의 석방을 요청하고 서방 세계에서도 마모 월데를 구제하고자 많이 노력하였으나 9년이 지난 2002년에서야 풀려난다. 그리고 풀려난 지 6개월 만에 간암으로 죽었다. 이런 걸 보면 아베베 비킬라의 말년이 불행하기는 했지만 굴욕은 받지 않고 죽었으니 어쩌면 새옹지마라고도 할 수 있다.


[1] 단, 에티오피아는 1956 멜버른 올림픽 대회 때 처음으로 참가했지만 출전 안 함. [2] 간단히 말해서 황영조 선수가 1994년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아시안 게임의 마라톤에 금메달을 수상했을 때 한국인들이 느꼈을 기쁨과 비슷한 것이었다. [3] 지난 올림픽을 눈여겨 본 세계 여러 스포츠용품 회사에서 너도 나도 후원에 앞장섰다고 한다. [4] 세계에서 단 3명 있는 올림픽 마라톤 2연패 중 한 명이다. 다른 한 명은 1976 몬트리올 올림픽 1980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우승한 동독의 발데마르 차에르핀스키다. 그러나 모스크바 올림픽은 올림픽 보이콧으로 인해 별로 조명받지 못했다. 나머지 한 명은 2016 리우 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에서 우승한 케냐의 엘리우드 킵초게. 게다가 마라톤 2연패 중에서 세계 신기록을 전부 갈아치운 사람은 아베베 비킬라 한 사람 뿐이다. [5] 당시 아베베는 20km 반환점을 넘기는 지점부터 1위였으므로 1시간 가량의 준비 시간이 남아있었을텐데 준비를 하지못하여 많은 비난을 받았다. [6] 현재 남아있는 영상들은 IOC에서 에티오피아 국가를 덧씌웠다. 영상을 자세히 보면 표정이 굳어있는 아베베와 고개를 가로젓는 2위 영국 선수 바실 히틀리가 현장의 상황을 대변해주고 있다. [7] 고키치는 멕시코 올림픽을 앞두고 자신과 오랫동안 교제해 온 여성과 약혼하길 바랬지만, 자신이 소속된 자위대 체육학교(한국의 상무 체육부대에 해당. 그는 육상자위대 중위이기도 했다) 상관들이 올림픽 이전에는 안된다며 반대했고, 기다림에 지친 그의 연인은 파혼을 선택했다. 이 일이 결정타가 되었는지, 고키치는 1968년 1월 "더 이상 뛸 수 없다"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했다. 자살 당시 그는 한 손에 자신이 도쿄 올림픽에서 받은 동메달을 쥐고 있었다. [8] 웰데는 멕시코 올림픽 당시 10,000m 달리기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고, 1972 뮌헨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9] 흔히 아베베가 패럴림픽 메달을 땄다고 잘못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다른 장애인 아마추어 대회에서 메달을 땄다. 물론 온전히 두 다리로 달려야 하는 육상선수로서 하반신 마비를 겪고도 절망하지 않고 다른 종목에서 활동하는 것은 보통의 정신력으로 해낼 수 있는 일이 아니다. [10] 국제대회임에도 당시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이 낮아 세계적인 선수들은 초청에 응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전쟁 당시 한국 국민에 좋은 기억을 갖고 있다며 초청에 응했고 세계 1위 아베베가 초청을 수락하자 세계 2위 4위의 기록을 가진 일본 쓰쿠야마, 미국의 히킨스 선수등 세계적인 선수들이 출전하면서 전세계적인 선수들도 참가하여 수준급 대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