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19:10:02

싱가포르 MRT C751B형 전동차

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 싱가포르 MRT· LRT 사용 차량
MRT LRT
파일:SMRT Trains 로고.svg [[싱가포르 MRT 동서선|
EWL
]] · [[싱가포르 MRT 남북선|
NSL
]] 공용차량
C151 · C651 · C751B
C151A · C151B · C151C · R151
[[싱가포르 LRT 부킷판장선|
BPLRT
]]
C801 · C801A · C801B
[[싱가포르 MRT 서클선|
CCL
]]
C830 · C830C · C851E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TEL
]]
T251
파일:SBS Transit 로고.svg [[싱가포르 MRT 동북선|
NEL
]]
C751A · C751C · C851E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DTL
]]
C951 · C951A
[[싱가포르 LRT 셍캉선|
SKLRT
]] · [[싱가포르 LRT 풍골선|
PGLRT
]] 공용차량
C810 · C810A · C810D
미개통 노선
(운영사 미정)
[[싱가포르 MRT 주롱지역선|
JRL
]]
J151
[[싱가포르 MRT 크로스아일랜드선|
CRL
]]
CR151
밑줄 표시는 퇴역 중인 차량, 이탤릭체는 도입 예정 차량을 의미함.



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싱가포르 MRT C751B형 전동차
Kawasaki Heavy Industries
& Nippon Sharyo C751B EMU
}}}
파일:SMRTC751B.jpg
▲ C751B형 전동차
차량 정보
용도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6량 1편성
운행노선
도입시기 1999년 ~ 2001년
제작사 가와사키중공업
닛폰샤료(일본차량제조)
소유기관 Land Transport Authority
운영기관 SMRT
운행시기 2000년 ~ 운행 중
차량 제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전장 23,830mm(선두차)
22,800mm(중간)
전폭 3,200mm
전고 3,700mm
궤간 1,435㎜
급전방식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운전보안장치 Thales CBTC / ATC/ ATO
웨스팅하우스 FS2000 ATC/ATP/ATO[1]
제어방식 후지전기 VVVF- IGBT
동력장치 농형 3상 유도 교류전동기
주전동기 출력 140kW
편성출력 2,240kW
제동방식 회생제동 및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80㎞/h
설계 90㎞/h
가속도 3.6㎞/h/s
감속도 4.68㎞/h/s (상용)
MT 비 4M 2T }}}}}}

1. 개요
1.1. 퇴역 및 현황
2. 차량 제작 관련 상세정보

[clearfix]

1. 개요

파일:c751b-int-green.jpg
C751B형 전동차의 내부
C751B형 전동차는 싱가포르 MRT 동서선과 남북선의 수송력 증강 및 동서선의 창이공항 지선 개통에 대비하여 투입한 차량으로, 가와사키 중공업과 닛폰샤료의 컨소시엄에서 제작하였다. 1999년부터 2001년까지 6량편성 21개 편성(126량)[2]이 제작되었으며, 타 노선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LTA가 소유하고 운영 및 유지보수는 동서선과 남북선의 운영사인 SMRT에서 담당하고 있다.

전동차의 외형은 기존 C151형 및 C651형에서 다소 변경이 이루어진 형태로, 전두부의 길이를 조금 늘여 유선형 디자인을 꾀한 모습을 하고 있다. 외관은 앞서 도입한 차량과 다르게 검은색 배경에 빨간색 띠를 두른 도색을 하고 있으며, 내부는 기존 열차와 크게 다르지 않다. 또한 도입 후 출입문 상단의 전자식 노선도, 그리고 LED 도트식 VPIS(Visual Passenger Information System) 디스플레이 등이 추가적으로 장착되었다.

설계상으로는 당연히 동서선과 남북선에서 모두 달릴 수 있으나, 초창기에는 동서선의 분레이 - 창이공항 직통 운행계통에만 투입되었고, 이마저도 창이공항 지선 직통운행계통이 높은 비효율성으로 인해 타나메라 - 공항 간 셔틀 운행으로 전환됨에 따라 곧 동서선 전역을 달리게 되었다. 남북선에서는 상대적으로 보기 힘든 차량인데, 그마저도 이전에는 동서선에만 투입되었다. 그리고 공항지선 직통용 차량답게 초창기에는 화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이 차량 곳곳에 설치되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작 짐을 상시 옆이나 자리 앞에 두던 탓에 괜히 쓸모도 없는게 공간만 더 잡아먹는다고 이후에 입석공간으로 개조되었다.

1.1. 퇴역 및 현황

노후화가 심하지는 않지만 2020년대에 접어들며 운행 20년차가 도래했고, 원래대로라면 도입시기가 비슷한 동북선의 C751A형 차량과 마찬가지로 대수선 작업 이야기가 나올 뻔 했다. 그러나 LTA가 계산기를 두드려 본 결과 이걸 수선해서 계속 운행할 바에는 신차인 R151형으로 C151/C651형을 교체하는 김에 일괄로 교체하는게 더 싸게 먹히지 않겠나 싶었던 것.[3] 실제로 비교적 최근에 도입한 C151A/C151B/C151C형은 외관 및 인테리어는 다소 상이하나 동일한 제작사에서 제작하여 추진제어장치 등 주요장비는 사실상 동일하고, 남는 것은 비교적 소수인 C751B/C651형 이 두가지 뿐이었기에, 굳이 이들을 계속 냅둘 이유가 없다. 그 결과 조기퇴역의 길을 밟게 되었고, 2021년부터 폐차가 시작되었다. 2024년 기준 13편성이 폐차되었고, 8편성만이 현역 및 운행중이다.
편성 퇴역 일자
339/340 2021년 3월 28일
313/314 2021년 9월 11일
315/316 2021년 11월 14일
343/344 2022년 1월 15일

2. 차량 제작 관련 상세정보

  • 가와사키 중공업 제작분: 311/312, 315/316, 319/320, 323/324, 327/328~333/334, 343/344, 347/348, 351/352편성 (11편)
  • 일본차량제조 제작분: 313/314, 317/318, 321/322, 325/326, 335/336~341/342, 345/346, 349/350편성 (10편성)


[1] 신호장비 교체 전. [2] 이중 가와사키가 66량(11편성), 닛폰샤료가 60량(10편성)을 생산하였다. [3] 동북선과 달리 동서선과 남북선은 장거리를 달리기에 차체에 가는 금속피로 등 누적이 C751A보다 심하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