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럼 W. 스티븐스 저격사건 Assassination of Durham Stevens ダーハム・W・スティーブンス暗殺事件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일시 | 1908년 3월 23일 |
장소 | 미국 샌프란시스코 페리역 |
결과 | 더럼 W. 스티븐스 사살 성공 |
영향 | 장인환 징역 25년형 |
MURDER OF STEVENS IS SEVERE BLOW
스티븐스 암살은 심한 타격이 되었다
로스앤젤레스 헤럴드의 문구
스티븐스 암살은 심한 타격이 되었다
로스앤젤레스 헤럴드의 문구
[clearfix]
1. 개요
1908년 3월 23일 전명운과 장인환이 미국인 외교관 더럼 W. 스티븐스를 저격한 사건.대한제국 외교고문으로 있었던 더럼 W. 스티븐스(Durham White Stevens)는 한국에서 일본의 이익을 관철하는데 충실했다. 미국 워싱턴 주재 일본 외무성 고문에 부탁해 고용되었으며 1904년 12월 27일 대한제국 외교 고문에 임명되었다. 이는 일본의 압력으로 차지한 자리였으며 자연스럽게 일본의 이익을 위해 활약하기 시작했다. 기자 회견에서 을사조약을 미화하고 찬양했다. 조선인들은 그의 태도에 분개해 스티븐스를 습격했지만 그는 유유히 빠져나갔다.
1908년 3월 23일 그는 워싱턴 D.C.로 가서 일본의 제국주의 정책을 미화하려 했는데 이때 그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장인환에게 저격당해 사망했다.
2. 사건의 진행
|
저격당한 샌프란시스코의 페리 빌딩 |
|
|
장인환 | 전명운 |
1908년 3월 23일 9시 30분 스티븐스는 전날의 공격으로 신변의 위협을 느껴 허둥지둥 짐을 꾸려 최대한 빨리 워싱턴 D.C로 가기 위해 샌프란시스코 페리 빌딩에 도착했다.[3] 스티븐스는 샌프란시스코 주재 일본 영사인 고이케 조조(小池 張造)의 안내를 받으며 역에 들어서고 있었다. 이때 손에 묶은 붕대에 피스톨을 숨긴 채[4]로 먼저 도착해 대기하고 있던 전명운은 스티븐스가 나타나자 바로 그를 저격하려 하였으나 방아쇠에 붕대가 걸려 권총이 불발되어 실패했다. 이에 당황한 전명운은 권총 손잡이로 스티븐스를 가격했다.[5] 완력과 체격 면에서 전명운 보다 우세했던 스티븐스는 전명운을 붙잡고 몸싸움을 벌였으나 전명운은 겨우 몸을 빼냈다. 스티븐스는 전명운을 뒤쫓아 내달렸다.
이때 때마침 역에 도착한 장인환이 스티븐스에게 세 번의 사격을 가했고 이 과정에서 전명운이 뒤를 돌아보다가 빗나간 총알 1발에 피격당해 팔 부상을 입었다. 나머지 두 발은 스티븐스의 몸에 적중하여 한 발은 폐에 기흉을 낸 후 몸을 관통했고 나머지 한 발은 허리로 들어가서 사타구니에 박혔다. 사건 당시 주변에 있었던 미국인 행인들은 전후사정을 몰랐으니 웬 신사가 동양인들에게 테러를 당한 것으로만 보고 '저 동양인들을 린치해 버려라'고 아우성치며 전명운과 장인환을 집단으로 구타했다고 한다. 당시 현장에 있었던 코이케는 이를 말리면서 '저들 역시 공정하게 재판을 받아야 마땅하다'며 성난 군중을 진정시켰다.
전명운과 장인환은 사건 직후 미국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장인환은 보석 없이 구속되었으며 전명운은 병원에서 응급처치를 받은 뒤 공범 혐의로 재판에 서게 되었다. 샌프란시스코 세인트 프랜시스 병원에 실려간 스티븐스는 입원 당일만 해도 의식이 있었으며 "몇몇 선동꾼 학생들이 한국의 보호국화에 내가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고 여겨 벌인 일인 듯하다"며 성명문을 낼 만큼 건강상태가 양호했다. 그러면서도 어딘가 불안감을 느꼈는지 "통증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데, 좋지 않은 거요?" 라며 의사에게 물었다고 한다.[6] 그리고 스티븐스는 이틀 뒤인 25일 상처에 염증이 일어나 병원에서 전신마취 수술 도중 사망하였다.
3. 사건 이후
법원으로 이송된 전명운과 장인환은 재판을 받았는데 전명운은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고 장인환은 2급 살인죄로 25년형을 구형받았으나 모범수로 10년 만에 가석방되었다. 교민들은 성금을 모아 미국 변호사 네이선 코플런(Nathan Coughlan)을 선임했다. 코플런은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의 '애국적 광기(Patriotic Insanity)' 이론을 예로 들며 장인환의 심신미약을 주장하며 변호하였다. 스티븐스는 미국 시민이었던 데다 고위급 인사이기까지 했으니 미국 법정에서 장인환의 애국심과 대한제국이 처한 위기 상황, 스티븐스의 대일 협력 등을 사유로 감형을 주장해 봤자 별 승산이 없다고 판단했던 듯하다.통역은 유학생이었던 신흥우가 맡았다. 처음 통역을 부탁받은 사람은 교민 사회에서 명망이 높았던 이승만이었는데 이승만은 3천 달러의 보수를 요구하였기 때문에 교민들이 힘을 합쳐 그 돈을 가져갔지만 여기서 이승만은 "실력이 좋은 변호사를 선임하여 이 사건이 미국에 대한 반감 때문이 아니라 수 차례 권유에도 불구하고 일본에 유리한 일방적인 주장을 편 더럼 스티븐스에 대한 우발적인 치사 사건임"을 주장해야 한다면서 "이래야 미국 내 반일 정서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하며 한인회가 자신에게 통역을 맡겼지만 "자신으로서는 더 이상 할 수 없다"는 취지로 편지를 쓴다.[7][8]
이에 대해 특히 샌프란시스코를 거점으로 하는 재미 한인들이 이승만을 비난하기 시작했는데[9] 이승만은 '공립신보'에 일본의 기탄하는 일이 곧 우리의 행복될 일이라( #)라는 칼럼을 통해 자기 입장을 변론했다.
내가 하버드 대학에 재학하고 있을 때 일본이 한국을 말살하기 위해 한국정부의 고문으로 앉혀놓은 스티븐스가 두 한국 사람에 의해 샌프란시스코에서 암살되었다. (…) 그리고 안중근 열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하얼빈에서 살해했다. 신문에는 한국 사람들은 잔인한 살인광들이며 무지몽매해서 그들의 가장 좋은 친우인 이토 히로부미와 스티븐스를 살해했다는 기사들이 가득 실리곤 하였다. 어떤 학생들은 나와 이야기하는 것을 두려워 했고 나의 교수는 나를 얼마나 무서워했는지 나의 석사논문을 나에게 우송해 주고는 떠나기 전에 나를 만나주지 않았다.
이승만이 1912년에 쓴 '청년 이승만 자서전' 中
이처럼 이승만은 이 일이 오히려
역효과만 날 것을 걱정했다.[10] 전명운과 장인환의 입장에선 친일파 미국인을 처단한 의거였지만 미국인들의 입장에선 자국의
외교관이 암살당한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미국에서 야만인 같은 조선인을 동쪽의 미국의 후방인 일본이 통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편견만 더 강하게 할 것이라 우려했다.이승만이 1912년에 쓴 '청년 이승만 자서전' 中
다음은 이승만 본인이 이에 대해 쓴 글이다.
안중근이
이등박문을 암살한 것은 비록 장쾌한 일이라 할 수는 있으나 실익이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를 죽이므로 우리에게 해가 돌아왔으면 왔지 독립을 위해 실질적 이익은 없는 것이다.[11]
전명운은 이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하여 대한 국민회 블라디보스톡 지부에서 활동하다가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돌아왔으며 이름을 맥 필즈(Mack Fields)로 바꾸고 1920년에 한 여성과 결혼해 미국으로 귀화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다.장인환은 1919년에 특사로 풀려났으며 1927년에 한국으로 귀국해 결혼했다. 이후 샌프란시스코로 돌아갔으나 생활고에 시달리던 그는 1930년 투신자살하고 말았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다.
더럼 스티븐스의 시체는 4월 2일에 병원을 떠나 6일에 워싱턴에 도착했으며 8일에 기독교식으로 장례가 치러진 후 워싱턴 온비루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추도식에는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의 조화를 비롯해 유명 인사들의 조화가 왔으며 일본 정부는 스티븐스에게 1등급 훈장을 추서했고 그의 유족들에게 조의금으로 15만 엔을 지급했다. 스티븐스는 생전에 결혼을 하지 않아서 아내가 없었기 때문에 조의금은 뉴저지에 살던 그의 두 누이에게 전해졌다.
안중근이 1909년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는 데도 영향을 미쳤다. 생전에 스티븐스와 개인적으로도 친분이 있었던 이토는 결국 자기 친구와 똑같은 방식으로 죽었다.
4. 관련 문서
[1]
정재관,
문양목, 최정익, 이학현
[2]
장인환이 전명운의 계획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반론도 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대동보국회와 공립협회 회원들이 모여 스티븐스의 처분을 논의하던 자리에서 공립협회 소속 전명운이 의거 의사를 밝혔다는데 대동보국회 소속 장인환은 무언가 불안한 예감을 느끼고 거사 실패를 대비해서 현장에서 단독으로 대기하고 있었다고 한다.
[3]
당시에는 샌프란시스코 페리 빌딩에서 배편으로
오클랜드로 이동한 후 대륙을 횡단하는 기차를 탔다.
[4]
공교롭게도
아나키스트 레온 촐고스(Leon Czolgosz)가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을 암살했을 때와 같은 방식이었다.
[5]
때문에 전 의사가 스티븐스를 '쇠뭉치로 가격했다'고 기록한 문헌도 있다. 총도 결국 금속으로 만든 쇳덩어리니 틀린 기술은 아니긴 하다. 실제로 방아쇠를 당기기 어려운 초근접전에서는 권총 손잡이로 상대방을 가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신속 재장전이 불가능했던 단발식 초창기 권총은 아예 거꾸로 잡고 몽둥이로 쓸 수 있도록 손잡이 끝부분을 무겁고 둥글게 만들었다.
[6]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몸에서
엔도르핀이 과다분비될 경우 이처럼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사례가 있다. 혹은 이미
다발성 장기 부전이 발생하고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7]
출처
[8]
기존에 알려졌던 "자신이 기독교인이여서 살인사건을 변호할 수 없다" 라는 주장은 출처없는 이야기이다.
[9]
북부
캘리포니아를 거점으로 하는
안창호 계열의 이민자들을 말한다. 이 사건을 계기로 두 계열은 관계가 틀어져 무려 40년이 지나 해방되는 그 날까지 독립운동 내내 서로를 원수처럼 여겼다.
[10]
실제로 이 사건을 빌미로 미국에 있는 일본인들은
더럼 W. 스티븐스 기념비를 세우려고 하였다.
[11]
李元淳, 《世紀를 넘어서 : 海史 李元淳 自傳》, 1988, 新太陽社, p.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