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23:59:50

양자역학의 묘사

슈뢰딩거 묘사에서 넘어옴
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70039> 배경 흑체복사 · 이중슬릿 실험 · 광전효과 · 콤프턴 산란 · 보어의 원자 모형 · 물질파 · 데이비슨-저머 실험 · 불확정성 원리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 프랑크-헤르츠 실험
이론 체계 <colbgcolor=#c70039> 체계 플랑크 상수( 플랑크 단위계) · 공리 · 슈뢰딩거 방정식 · 파동함수 · 연산자( 해밀토니언 · 선운동량 · 각운동량) · 스핀( 스피너) · 파울리 배타 원리
해석 코펜하겐 해석( 보어-아인슈타인 논쟁) · 숨은 변수 이론( EPR 역설 · 벨의 부등식 · 광자 상자) · 다세계 해석 · 앙상블 해석 · 서울 해석
묘사 묘사( 슈뢰딩거 묘사 · 하이젠베르크 묘사 · 디랙 묘사) · 행렬역학
심화 이론 이론 양자장론( 비상대론적 양자장론) · 양자 전기역학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게이지 이론(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 · 위상 공간) · 양자색역학( SU(3))
입자· 만물이론 기본 입자{ 페르미온( 쿼크) · 보손 · ( 둘러보기)} · 강입자( 둘러보기) · 프리온 · 색전하 · 맛깔 · 아이소스핀 · 표준 모형 · 기본 상호작용( 둘러보기) · 반물질 · 기묘체 · 타키온 · 뉴트로늄 · 기묘한 물질 · 초끈 이론( 초대칭 이론 · M이론 · F이론) · 통일장 이론
정식화 · 표기 클라인-고든 방정식 · 디랙 방정식 · 1차 양자화 · 이차양자화 · 경로적분( 응용 · 고스트) · 파인만 다이어그램 · 재규격화( 조절)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 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 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 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 양자화학( 물리화학 틀)
현상 · 응용 양자요동 · 쌍생성 · 쌍소멸 · 퍼텐셜 우물 · 양자 조화 진동자 · 오비탈 · 수소 원자 모형 · 쌓음 원리 · 훈트 규칙 · 섭동( 스핀 - 궤도 결합 ·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 선택 규칙 · 변분 원리 · WKB 근사법 · 시간 결정 · 자발 대칭 깨짐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솔리톤 · 카시미르 효과 · 아로노프-봄 효과 · 블랙홀 정보 역설 · 양자점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기타 군론 · 대칭성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밀도행렬 · 물질 · 방사선( 반감기) · 라플라스의 악마 · 슈뢰딩거의 고양이( 위그너의 친구) · 교재 }}}}}}}}}

1. 개요2. 슈뢰딩거 묘사3. 하이젠베르크 묘사4. 관련 문서

1. 개요

dynamical pictures

양자역학의 묘사는 양자 상태를 기술할 수 있는 다양한 수학적인 방법을 뜻한다.

2. 슈뢰딩거 묘사

슈뢰딩거 묘사(Schrödinger picture)는 양자역학을 기술할 때 가장 흔히 사용되는 묘사이다. 슈뢰딩거 묘사에서 파동함수 [math(\left|\Psi(t)\right>)]는 시간에 대한 함수이며,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어서 구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i \hbar \frac{\partial}{\partial t} \left|\Psi(t)\right>= \hat{\mathcal{H}} \left|\Psi(t)\right> )]
이때 [math(\hat{\mathcal{H}})]가 시간에 대한 함수가 아니라고 하자. 시간이 [math(t = 0)]일 때 양자상태 [math(\left|\Psi(0)\right>)]이 주어졌다고 하면, 슈뢰딩거 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left|\Psi(t)\right> = e^{-i \hat{\mathcal{H}} t/\hbar} \left|\Psi(0)\right> )]

3. 하이젠베르크 묘사

{{{#!wiki style="margin:-12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cecec,#ccc><tablebgcolor=#ececec,#ccc> 파일:하이젠베르크 원형.png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연구 업적 <colcolor=#000,#fff> 양자역학( 양자역학의 공리 · 코펜하겐 해석 · 행렬역학 · 불확정성 원리 · 하이젠베르크 묘사)
프로젝트 우란프로옉트
생애 생애
소속 뮌헨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관련 학자 닐스 보어 · 막스 보른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막스 플랑크 · 아르놀트 조머펠트
저서 부분과 전체
}}}}}}}}} ||


슈뢰딩거 묘사에서, [math(\hat{\mathcal{H}})]가 시간에 의존하지 않을 때 어떤 연산자 [math(\hat{A})][1]의 기댓값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ath(\displaystyle \langle \hat{A} \rangle = {\color{blue} \left< \Psi (t) \right|} {\color{red} \hat{A}} {\color{blue} \left| \Psi (t) \right>} = {\color{blue} \left< \Psi (0) \right| e^{i \hat{\mathcal{H}} t/\hbar}} {\color{red} \hat{A}} {\color{blue} e^{-i \hat{\mathcal{H}} t/\hbar} \left|\Psi(0)\right>} )]
여기서 파란색 글씨는 파동함수, 빨간색 글씨는 연산자를 의미한다. 즉 파동함수는 시간에 대한 함수이며, 연산자는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런데 반대로 파동함수를 시간에 의존하지 않으며, 연산자가 시간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고 기댓값을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다.
[math(\displaystyle \langle \hat{A} \rangle = {\color{blue} \left< \Psi (0) \right|} {\color{red} e^{i \hat{\mathcal{H}} t/\hbar} \hat{A} e^{-i \hat{\mathcal{H}} t/\hbar}} {\color{blue} \left|\Psi(0)\right>} = {\color{blue} \left< \Psi_H \right|} {\color{red} \hat{A}_H (t)} {\color{blue} \left| \Psi_H \right>} )]
이것을 하이젠베르크 묘사(Heisenberg picture)라고 하며, 이때 파동함수와 연산자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eft| \Psi \right>_H &= \left| \Psi (0) \right>_S\\ \hat{A}_H (t) &= e^{i \hat{\mathcal{H}} t/\hbar} \hat{A}_S e^{-i \hat{\mathcal{H}} t/\hbar} \end{aligned} )]
여기서 [math(S)]는 슈뢰딩거 묘사에서, [math(H)]는 하이젠베르크 묘사에서 나타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math(\displaystyle \hat{\mathcal{H}}_H = e^{i \hat{\mathcal{H}}_S t/\hbar} \hat{\mathcal{H}}_S e^{-i \hat{\mathcal{H}}_S t/\hbar} = \hat{\mathcal{H}}_S e^{i \hat{\mathcal{H}}_S t/\hbar} e^{-i \hat{\mathcal{H}}_S t/\hbar} = \hat{\mathcal{H}}_S )]
이므로, 해밀토니언은 슈뢰딩거 묘사와 하이젠베르크 묘사에서 동일하며, 첨자 없이 [math(\hat{\mathcal{H}})]로 쓸 수 있다.

하이젠베르크 묘사에서는 연산자가 시간에 대한 함수이기 때문에, 방정식을 풀어서 파동함수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연산자 [math(\hat{A}_H (t))]를 구해야 한다. 이때 연산자가 만족하는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frac{\mathrm{d} \hat{A}_H (t)}{\mathrm{d} t} = \frac{i}{\hbar}[ \hat{\mathcal{H}}, \hat{A}_H (t) ] + \biggl( \frac{\partial \hat{A}_S}{\partial t} \biggr)_H )]
이때 [math([A,B])]는 교환자이다. 이것을 하이젠베르크 운동방정식(Heisenberg equation of motion)이라고 한다.

4. 관련 문서



[1] peskin을 위시로한 양자장론 교재에서는 [math(\mathcal{O})]라고 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