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코리아의 소형차 라인업[1] | ||||
신진 코로나 | → | 시보레 1700 · 카미나 | → | 새한 제미니 |
|
CHEVROLET 1700 |
HOLDEN TORANA / CHEVROLET 1700
1. 개요
대우자동차의 전신인 GMK에서 생산했던 차량. 홀덴 토라나 LJ형을 기반으로 시보레[2][3] 브랜드를 내세워 배지 엔지니어링이 이루어진 차량이었다.2. 제원
시보레 1700(Chevrolet 1700) 출처 | |
전장(mm) | 4,386 |
전폭(mm) | 1,600 |
전고(mm) | 1,354 |
축거(mm) | 2,540 |
윤거 전/후(mm) | 1,316 / 1,290 |
배기량(cc) | 1,698 |
최대출력(ps/rpm) | 79/5,600 |
최대토크(kg-m/rpm) | 13.0/3,500 |
구동방식 | 후륜구동 |
승차정원(명) | 5 |
3. 상세
3.1. 시보레1700 (1972~1975)
1972년 10월 25일자 경향신문 지면의 광고 |
1972년 9월에 출시되었으며, 조선호텔 그랜드 볼룸에서 레코드 1900과 함께 국내 최초의 신차발표회를 연 차량이다.
원판 차량인 홀덴 토라나와 다르게 5도어 스테이션 왜건 사양이 존재했다. 파워트레인은 직렬 4기통 1.7ℓ(1,698cc) 엔진[4]으로 최고출력 79마력/5,600rpm, 최대토크 13.0kg·m/3,500rpm의 힘을 냈으며 4단 수동변속기로 최고시속 140km의 성능을 냈다. 출력은 당시 경쟁 모델이었던 현대자동차의 코티나 (1.6ℓ 75마력)나 아시아자동차의 피아트 124 (1.2ℓ 65마력)보다 강했다. 또한 앞뒤 서스펜션 모두 코일 스프링을 달아 승차감을 높였고 충격흡수식 스티어링휠과 2중 브레이크 시스템 등으로 안전성도 높였다. 출시 당시의 값은 기본형이 179만 8,000원, 디럭스가 193만 8,000원 (2016년 물가 환산 시 약 3,000만원)이었다. GM코리아는 대대적인 TV 광고[5]와 함께 전국 주요 33개 도시를 돌며 새 차 이벤트를 열고 당시로는 보기 드문 24개월 할부 프로그램과 월 1.081%의 국내 최저 할부이자율 등으로 마케팅 또한 공격적으로 펼쳐나갔다.
출시 당시 튼튼하고 뛰어난 성능으로 치열한 판매 경쟁이 예상되었으나 정작 시장의 반응은 영 좋지 않았다. 경쟁차종에 비해 연비가 좋지 않았는데, 지엠코리아에서는 연비가 14.5km/ℓ 라고 알림과 동시에 차량에 Z-세이버라는 연료 절감장치를 부착하고 세간의 인식만큼 연비가 나쁘지 않음을 입증하기 위해 서울에서 추풍령까지 시험 주행도 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으나 한번 박힌 나쁜 연비 이미지를 지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또 한가지 단점은 바로 낮은 지상고. 당시 포장률이 오늘 날에 비해 극히 낮았던 국내 도로 사정을 고려하지 않아 비포장길에서 바닥을 자주 긁어대어 소비자들의 불만을 야기했다.[6] 그 결과 판매 실적은 물론이고 지엠코리아의 시장 점유율까지 하락하는 원인이 된 끝에 1973년에 일어난 1차 오일 쇼크, 1974년 기아 브리사와 1975년 현대 포니의 등장이 결정타가 되어 결국 1975년 말 단종되고 만다. 1972년 출시부터 총 3년 4개월 동안 8,105대가 생산되었다.
3.2. 카미나(1976)
시보레 1700의 실패를 만회하고자 시보레 1700을 기반으로 1976년에 페이스리프트 사양인 카미나를 출시한다. 상세 정보는 새한 카미나 문서 참고.후속 차종은 새한 제미니이며, 스테이션 왜건 사양은 새한 캬라반이 이어받았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tablealign=center>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승용 · SUV · RV · 승합 · 경상용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tablecolor=#373a3c,#ddd><tablebgcolor=#fff,#191919><tablewidth=100%> 1960년대 | 새나라자동차 새나라 · 신진 신성호 · 신진 코로나 · 신진 퍼블리카 · 신진 크라운 · 신진 랜드 크루저 픽업 · 신진 에이스(승합 모델) |
1970년대 | 시보레 1700 · GMK 레코드(로얄 시리즈) · GMK 캬라반 · GMK 카미나 · 새한 제미니 | ||
1980년대 | 새한 맵시 · 맵시나 · 르망 · 임페리얼 · 바네트(코치 모델) | ||
1990년대 |
티코 ·
마티즈 ·
라노스 ·
에스페로 ·
프린스 ·
씨에로 ·
누비라 ·
레간자 ·
매그너스 ·
브로엄/수퍼살롱 ·
아카디아 · |
||
2000년대 | 칼로스 · GM대우 젠트라 · GM대우 라세티 · GM대우 토스카 · GM대우 스테이츠맨 · GM대우 베리타스 · GM대우 G2X · GM대우 윈스톰 · GM대우 윈스톰 맥스 · GM대우 레조 | ||
2010년대 | (GM대우) 알페온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버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1960년대 | 신진 마이크로버스 · 신진 FB100LK · 신진 RC420TP | |
1970년대 | GMK BL 시리즈 · GMK BD 시리즈 · 새한 BU 시리즈 · 새한 BF 시리즈필리핀 내수용 · 새한 BR101 | ||
1980년대 | 새한 BV 시리즈 · BS 시리즈국내미수입 · 로얄 · BH 시리즈 | ||
1990년대 | BM090 | ||
2000년대 | 자일대우 BC 시리즈베트남 내수용, 국내미수입 · 자일대우 FX 시리즈국내미수입 · 자일대우 BX212국내미수입 | ||
2010년대 | 자일대우 레스타국내미수입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트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1960년대 | 신진 에이스(트럭) | |
1970년대 | 새한 엘프 · 새한 대형트럭 | ||
1980년대 | 바네트(트럭) | ||
1990년대 |
차세대트럭 · |
||
2000년대 | 타타대우 노부스 · 타타대우 프리마 | ||
2020년대 | 타타대우 더쎈 · 타타대우 구쎈 · 타타대우 맥쎈 | }}}}}}}}} | |
회색 글씨: 단종차량 / |
[1]
이 차급은 준중형이지만, 당시에는 이 등급 바로 다음 배기량이 1.9ℓ인 대형이라 상대적인 분류인 소형으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2]
참고로 시보레는
쉐보레의
일본식 외래어 발음이다. 즉 브랜드 명을 자동차 명으로 그대로 사용한 케이스다. 입장을 바꾸자면 '
현대 아반떼'를 해외에서 'Hyundai 1600' 으로 이름을 짓는 것과 같은 이치다.
[3]
2011년 한국GM 출범 전까지 국내에서도 시보레로 많이 읽었다. 출범 이후 본격적으로 시보레 대신 쉐보레로 읽기 시작했다.
[4]
이 엔진은 CIH(Cam In Head)라고 OHV도 OHC도 아닌 상당히 특이한 구조의 엔진이었는데 캠이 헤드에 있기는 했으나 OHC 엔진 처럼 캠이 밸브 위에 있지는 않았고, 캠이 밸브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찾아보기 힘든 구조였다.
[5]
외국에서 촬영한 이 차량의 2륜 주행 묘기를 광고에 내보냈었다.(...)
[6]
GM코리아에서는 1972년 12월부터 지상고를 높이고(163mm →183mm) 쇼크 업소버와 스프링을 보강하고 휀더를 볼트로 조립하는 등의 보강하여 출시하였다.
당시 신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