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21:37:21

V-리그 챔피언 결정전

브이리그 챔결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4대 프로 스포츠 리그 결승전
야구 축구 농구 배구
파일:2024 KBO 한국시리즈 엠블럼.svg 파일:71545_170728_2540.jpg 파일:2023-2024프로농구파이널.png 파일:V-리그 챔피언 결정전 엠블럼.png
KBO
한국 시리즈
폐지[1]
[1] 2012년에 K리그 챔피언 결정전을 폐지하고 승강제 K리그1 파이널 라운드로 개편
◀ 플레이오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대 여자 스포츠 리그 결승전
농구 배구 축구
파일:우리은행 2023-2024 여자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엠블럼.jpg 파일:V-리그 챔피언 결정전 엠블럼.png 파일:WK리그(2022).png
여자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V-리그
챔피언
결정전
WK리그*
챔피언
결정전
* 세미프로
◀ 플레이오프
V-리그 챔피언 결정전
V-League Finals
파일:V-리그 챔피언 결정전 엠블럼.png
도드람 V-리그 챔피언 결정전 로고
최근 우승 구단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2023-24 시즌)[남]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2023-24 시즌)[여]
최다 우승 구단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8회)[남]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4회)[여]

1. 개요2. 우승 트로피3. 남자부
3.1. 역대 전적3.2. 우승 횟수3.3. 개별 경기 기록3.4. 역대 개최 구장
4. 여자부
4.1. 역대 전적4.2. 우승 횟수4.3. 개별 경기 기록
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V-리그의 우승자를 가리는 5전 3선승제의 토너먼트. 정규 리그 1위플레이오프 승자가 대결한다.[5]

참고로 남자부는 삼성화재, 현대캐피탈, OK저축은행, 대한항공 이렇게 네 구단만 챔피언 결정전에 올라 우승을 한 경험이 있는 반면, 여자부는 페퍼저축은행을 제외한 전 구단이 챔피언 결정전에 올라가서 우승을 기록한 경험이 있다.[6]

또 남자부의 경우 한국전력을 제외한 전 구단이, 여자부의 경우 페퍼저축은행을 제외한 전 구단이 챔피언 결정전에 올라간 적이 있다.

2023-24 시즌 기준 최다 우승 구단은 남자부는 삼성화재(8회 우승), 여자부는 흥국생명(4회 우승)이다.

2020-21 시즌부터 우승이라는 명칭은 반드시 "챔피언 결정전을 승리"하는 구단에만 부여한다. 따라서 2020-21 시즌부터는 통합 우승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는 인정되지 않는다.[7] V-리그에서 우승이라는 개념을 명확하게 유권 해석을 함에 따라 만약 어떠한 사유로 포스트 시즌 경기를 개최할 수 없게 되면 그 시즌의 우승 구단은 없는 것이다. 단지 정규 시즌 1위 같은 형식적인 것[8] 들만 남는 것이다.[9]

2. 우승 트로피

파일:VLeagueFinalTrophy.jpg

남자부와 여자부가 우승 트로피 디자인이 똑같다. 대신 남자부는 'Champion' 글씨가 파란색이고 여자부는 빨간색이다.

저 트로피는 2023-24 시즌까지 썼고 2024-25 시즌부터는 새로운 트로피가 사용될 예정이다. 새로운 트로피는 V리그 20주년 기념식에서 공개되었다.

3. 남자부

3.1. 역대 전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66b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 파일: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로고(2005~2010).svg 파일: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로고(2005~2010).svg 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 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
2005년 2005-06 2006-07 2007-08 2008-09
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 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 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 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 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파일: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 엠블럼(2015~2020).svg 파일: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 엠블럼(2015~2020).svg 파일: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로고(2016~2017).svg 파일: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엠블럼.svg 파일: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로고.svg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파일: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엠블럼.svg 파일: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엠블럼.svg 파일: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엠블럼.svg 파일: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엠블럼.svg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 2019-20 시즌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플레이오프 미개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V-리그 챔피언 결정전.png V-리그 남자부
챔피언 결정전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c5893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1f2023,#e5e5e5
<rowcolor=#ffffff> 20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김세진
삼성화재 / 라이트
숀 루니
현대캐피탈 / 레프트
숀 루니
현대캐피탈 / 레프트
안젤코
삼성화재 / 라이트
최태웅
삼성화재 / 세터
<rowcolor=#ffffff>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가빈
삼성화재 / 라이트
가빈
삼성화재 / 라이트
가빈
삼성화재 / 라이트
레오
삼성화재 / 레프트
레오
삼성화재 / 레프트
<rowcolor=#ffffff>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송명근
OK저축은행 / 레프트
시몬
OK저축은행 / 라이트
문성민
현대캐피탈 / 라이트
한선수
대한항공 / 세터
전광인
현대캐피탈 / 레프트
<rowcolor=#ffffff>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공석[1] 정지석
대한항공 / 레프트
링컨
대한항공 / 라이트
한선수
대한항공 / 세터
정지석
대한항공 / 아웃사이드 히터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플레이오프 미개최
여자부 챔피언 결정전 MVP
}}}}}}}}}}}}}}} ||


연도 우승 감독 전적 승패 준우승 감독 MVP
2005 삼성화재(2) 신치용 3승 1패 OXOO 현대캐피탈(1) 김호철 김세진
(삼성화재 아포짓 스파이커)
2005-06 현대캐피탈(1) 김호철 3승 2패 XOOXO 삼성화재(2) 신치용 숀 루니
(현대캐피탈 아웃사이드 히터)
2006-07 현대캐피탈(2) 김호철 3승 OOO 삼성화재(1) 신치용 숀 루니
(현대캐피탈 아웃사이드 히터)
2007-08 삼성화재(1) 신치용 3승 OOO 현대캐피탈(3) 김호철 안젤코
(삼성화재 아포짓 스파이커)
2008-09 삼성화재(2) 신치용 3승 1패 OXOO 현대캐피탈(1) 김호철 최태웅
(삼성화재 세터)
2009-10 삼성화재(1) 신치용 4승 3패 OXOOXXO 현대캐피탈(2) 김호철 가빈
(삼성화재 아포짓 스파이커)
2010-11 삼성화재(3) 신치용 4승 OOOO 대한항공(1) 신영철 가빈
(삼성화재 아포짓 스파이커)
2011-12 삼성화재(1) 신치용 3승 1패 OOXO 대한항공(2) 신영철 가빈
(삼성화재 아포짓 스파이커)
2012-13 삼성화재(1) 신치용 3승 OOO 대한항공(3) 김종민 레오
(삼성화재 아웃사이드 히터)
2013-14 삼성화재(1) 신치용 3승 1패 XOOO 현대캐피탈(2) 김호철 레오
(삼성화재 아웃사이드 히터)
2014-15 OK저축은행(2) 김세진 3승 OOO 삼성화재(1) 신치용 송명근
(OK저축은행 아웃사이드 히터)
2015-16 OK저축은행(2) 김세진 3승 1패 OOXO 현대캐피탈(1) 최태웅 시몬
(OK저축은행 아포짓 스파이커)
2016-17 현대캐피탈(2) 최태웅 3승 2패 XOXOO 대한항공(1) 박기원 문성민
(현대캐피탈 아포짓 스파이커)
2017-18 대한항공(3) 박기원 3승 1패 XOOO 현대캐피탈(1) 최태웅 한선수
(대한항공 세터)
2018-19 현대캐피탈(2) 최태웅 3승 OOO 대한항공(1) 박기원 전광인
(현대캐피탈 아웃사이드 히터)
2019-20 취소[코로나19]
2020-21 대한항공(1) 산틸리 3승 2패 XOXOO 우리카드(2) 신영철 정지석
(대한항공 아웃사이드 히터)
2021-22 대한항공(1) 틸리카이넨 2승 1패 OXO KB손해보험(2) 후인정 링컨
(대한항공 아포짓 스파이커)
2022-23 대한항공(1) 틸리카이넨 3승 OOO 현대캐피탈(2) 최태웅 한선수
(대한항공 세터)
2023-24 대한항공(1) 틸리카이넨 3승 OOO OK 금융그룹(3) 오기노 정지석
(대한항공 아웃사이드 히터)
남자부 챔피언 결정전의 최고의 명승부를 꼽는다면 이견없이 2005-06 시즌, 2009-10 시즌, 그리고 2021-22 시즌을 꼽는다. 2005-06 시즌의 경우, 현대캐피탈이 삼성화재의 독주를 막아낸 기적의 5차전이 주목받았고 2009-10 시즌은 최후의 7차전 5세트 가빈의 원맨쇼가 돋보였다. 가장 임팩트 있던 챔결전은 삼성화재의 연속 우승 기록을 혼자서 막아버린 시몬과 신생 구단 OK저축은행의 2014-15 시즌. 2016-17 시즌, 2020-21 시즌 각각 엘리미네이션 게임에 몰린 현대캐피탈과 대한항공의 뒤집기도 주목을 받았다. 21-22시즌은 마치 대한항공이 KB손해보험 던전의 레이드 보스 케이타를 선수 19인+코칭 스태프까지 포함해 원정대를 꾸린 듯한 모습이었으며 결말도 정말 짠한 감동의 드라마로 요약되고 있다.

2017-18 시즌에는 대한항공이 풀세트 패배 이후 현대캐피탈을 3번 연속 셧아웃으로 잡아내며 우승하며 한국도로공사와 함께 무관의 기록을 깼다.

2021-22 시즌은 남자부 연쇄 코로나19 감염으로 계획된 일정대로는 경기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고 2019-20 시즌처럼 리그가 파행 운영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포스트 시즌 경기수를 줄여 3판 2선승제로 개최한다.

3.2. 우승 횟수

구단 승리 패배 승리 연도 패배 연도
삼성화재 8 3 2005,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06, 2007, 2015
대한항공 5 5 2018, 2021, 2022, 2023, 2024 2011, 2012, 2013, 2017, 2019
현대캐피탈 4 8 2006, 2007, 2017, 2019 2005, 2008, 2009, 2010, 2014,
2016, 2018, 2023
OK저축은행 2 1 2015, 2016 2024
우리카드 0 1 - 2021
KB손해보험 0 1 - 2022
  • 구단 간 대결은 다음과 같다.
    • 7회: 삼성화재-현대캐피탈 (5:2)
    • 4회: 대한항공-현대캐피탈 (2:2)
    • 3회: 삼성화재-대한항공 (3:0)
    • 1회: OK저축은행-삼성화재, OK저축은행-현대캐피탈, 대한항공-우리카드, 대한항공-KB손해보험, 대한항공-OK저축은행 (1:0)
  • 한국전력만 남자부에서 유일하게 챔피언 결정전 진출 경험이 없다.

3.3. 개별 경기 기록

  • 2024년까지의 기록
구단명 전적 승률
삼성화재 44전 28승 16패 0.636
대한항공 37전 17승 20패 0.459
현대캐피탈 49전 20승 29패 0.408
OK저축은행 10전 6승 4패 0.600
우리카드 5전 2승 3패 0.400
KB손해보험 3전 1승 2패 0.333

3.4. 역대 개최 구장

굵은 글씨는 우승 확정 경기.
구장 경기 수 시리즈
충무체육관 24 2005: 3차전, 4차전
2005-06: 3차전, 4차전
2006-07: 1차전, 2차전
2007-08: 1차전, 2차전
2008-09: 3차전, 4차전
2009-10: 1차전, 2차전, 6차전, 7차전
2010-11: 3차전, 4차전
2011-12: 1차전, 2차전
2012-13: 1차전, 2차전
2013-14: 1차전, 2차전
2014-15: 1차전, 2차전
유관순체육관 21 2005: 1차전, 2차전
2005-06: 1차전, 2차전, 5차전
2006-07: 3차전
2007-08: 3차전
2008-09: 1차전, 2차전
2009-10: 3차전, 4차전, 5차전
2013-14: 3차전, 4차전
2015-16: 1차전, 2차전
2016-17: 3차전, 4차전
2017-18: 1차전, 2차전
2018-19: 3차전
2022-23: 3차전
계양체육관 16 2016-17: 1차전, 2차전, 5차전
2017-18: 3차전, 4차전
2018-19: 1차전, 2차전
2020-21: 1차전, 2차전, 5차전
2021-22: 1차전, 3차전
2022-23: 1차전, 2차전
2023-24: 1차전, 2차전
인천도원체육관 5 2010-11: 1차전, 2차전
2011-12: 3차전, 4차전
2012-13: 3차전
상록수체육관 4 2014-15: 3차전
2015-16: 3차전, 4차전
2023-24: 3차전
장충체육관 2 2020-21: 3차전, 4차전
의정부실내체육관 1 2021-22: 2차전

4. 여자부

어느 한 곳이 독주하는 경향이 없이 꽤 균형이 잡힌 결과가 나오는데 실제로 V-리그 여자부는 전 시즌의 우승 구단이라 할지라도 살짝 삐끗하면 최하위가 될 수 있고 전 시즌 꼴찌라도 제대로 탄력을 받으면 우승 전력이 될 수 있는 리그다. 실제로 특정 팀이 3번- 9번- 5번 연달아 우승했던 실업 시절과 다르게 2년 연속 우승한 경우가 딱 한 번이며, 그것도 05-06, 06-07 시즌의 흥국생명이 유일하다. 2023-24 시즌도 직전 시즌 챔피언 한국도로공사가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게 되면서, 17시즌동안 우승팀이 계속 바뀌게 되었다.

4.1. 역대 전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e82e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1px; margin-bottom: -1px"
파일:대전 KT&G 아리엘즈 로고.svg 파일: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로고(2005~2009).svg 파일: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로고(2005~2009).svg 파일:GS칼텍스 로고.svg 파일: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로고(2005~2009).svg
2005년 2005-06 2006-07 2007-08 2008-09
파일:대전 KT&G 아리엘즈 로고.svg 파일: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엠블럼(2009~2013).svg 파일:대전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파일: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엠블럼(2011~2015).svg 파일:GS칼텍스 임시연고지 엠블럼.png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파일: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엠블럼(2015~2017).svg 파일: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엠블럼(2013~2017).svg 파일: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엠블럼(2015~2017).svg 파일: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로고.svg 파일: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로고.svg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파일:GS칼텍스 서울 KIXX 엠블럼.svg 파일: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로고.svg 파일: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엠블럼.svg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 2019-20, 2021-22 시즌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플레이오프 미개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V-리그 챔피언 결정전.png V-리그 여자부
챔피언 결정전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c5893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1f2023,#e5e5e5
<rowcolor=#ffffff> 20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최광희
KT&G / 레프트
김연경
흥국생명 / 레프트
김연경
흥국생명 / 레프트
정대영
GS칼텍스 / 센터
김연경
흥국생명 / 레프트
<rowcolor=#ffffff>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몬타뇨
KT&G / 라이트
황연주
현대건설 / 라이트
몬타뇨
KGC인삼공사 / 라이트
알레시아
IBK기업은행 / 라이트
베띠
GS칼텍스 / 라이트
<rowcolor=#ffffff>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김사니
IBK기업은행 / 세터
양효진
현대건설 / 센터
리쉘
IBK기업은행 / 레프트
박정아
도로공사 / 레프트
이재영
흥국생명 / 레프트
<rowcolor=#ffffff>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공석[1] 이소영, 러츠
GS칼텍스 / 레프트, 라이트
공석[1] 캣벨
도로공사 / 아포짓 스파이커
모마
현대건설 / 아포짓 스파이커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플레이오프 미개최
남자부 챔피언 결정전 MVP
대통령배 / 슈퍼리그 MVP
}}}}}}}}}}}}}}} ||


연도 우승 감독 전적 승패 준우승 감독 MVP
2005 KT&G(2) 김형실 3승 1패 XOOO 한국도로공사(1) 김명수 최광희
(KT&G 아웃사이드 히터)
2005-06 흥국생명(1) 김철용[11] 3승 2패 XOXOO 한국도로공사(2) 김명수 김연경
(흥국생명 아웃사이드 히터)
2006-07 흥국생명(1) 황현주 3승 1패 XOOO 현대건설(3) 홍성진 김연경
(흥국생명 아웃사이드 히터)
2007-08 GS칼텍스(3) 이성희 3승 1패 XOOO 흥국생명(1) 황현주 정대영
(GS칼텍스 미들블로커)
2008-09 흥국생명(3) 어창선 3승 1패 XOOO GS칼텍스(1) 이성희 김연경
(흥국생명 아웃사이드 히터)
2009-10 KT&G(2) 박삼용 4승 2패 XOXOOO 현대건설(1) 황현주 몬타뇨
(KT&G 아포짓 스파이커)
2010-11 현대건설(1) 황현주 4승 2패 OXOXOO 흥국생명(3) 반다이라 황연주
(현대건설 아포짓 스파이커)
2011-12 KGC인삼공사(1) 박삼용 3승 2패 OXOXO 현대건설(3) 황현주 몬타뇨
(KGC인삼공사 아포짓 스파이커)
2012-13 IBK기업은행(1) 이정철 3승 1패 OOXO GS칼텍스(2) 이선구 알레시아
(IBK기업은행 아포짓 스파이커)
2013-14 GS칼텍스(2) 이선구 3승 2패 OXXOO IBK기업은행(1) 이정철 베띠
(GS칼텍스 아포짓 스파이커)
2014-15 IBK기업은행(2) 이정철 3승 OOO 한국도로공사(1) 서남원 김사니
(IBK 기업은행 세터)
2015-16 현대건설(2) 양철호 3승 OOO IBK기업은행(1) 이정철 양효진
(현대건설 미들블로커)
2016-17 IBK기업은행(2) 이정철 3승 1패 XOOO 흥국생명(1) 박미희 메디
(IBK기업은행 아웃사이드 히터)
2017-18 한국도로공사(1) 김종민 3승 OOO IBK기업은행(2) 이정철 박정아
(한국도로공사 아웃사이드 히터)
2018-19 흥국생명(1) 박미희 3승 1패 OXOO 한국도로공사(2) 김종민 이재영
(흥국생명 아웃사이드 히터)
2019-20 취소[코로나19]
2020-21 GS칼텍스(1) 차상현 3승 OOO 흥국생명(2) 박미희 메레타 러츠
(GS칼텍스 아포짓 스파이커)
이소영
(GS칼텍스 아웃사이드 히터)
2021-22 취소[코로나19]
2022-23 한국도로공사(3) 김종민 3승 2패 XXOOO 흥국생명(1) 아본단자 캣벨
(한국도로공사 아포짓 스파이커)
2023-24 현대건설(1) 강성형 3승 OOO 흥국생명(2) 아본단자 모마
(현대건설 아포짓 스파이커)
여자부 챔피언 결정전 최고의 명승부로는 보통 2007-08 시즌, 2010-11 시즌, 2022-23 시즌이 꼽힌다. 2007-08 시즌은 당대 최고의 전력을 가진 흥국생명을 상대로 정대영의 클러치 능력과 함께 GS칼텍스의 수비가 빛을 발하면서 대역전극을 이루었고 2010-11 시즌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평가를 받았던 챔프전 결과를 한때 오리무중으로 만들었던 현대건설과 흥국생명의 처절한 맞대결이 있었다. 그리고 2022-23 시즌은 V-리그 역대 최초 리버스 스윕으로, 5차전 5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도로공사가 극적으로 우승을 쟁취했던 시리즈다.

2005 시즌부터 2009-10 시즌까지 무려 여섯 시즌 연속 1차전 패배 구단이 우승하는 정말 납득하기 힘든 징크스가 있었다.[14] 2010-11 시즌에 현대건설이 최초로 1차전 승리 후 우승했고 그 이후부터는 여섯 시즌 동안 다시 1차전 승리 구단이 우승하다가 2016-17 시즌에 깨졌다. 다시 2017-18 시즌에는 1차전 승리 구단이 우승했다. 따라서 여자부는 1차전 승리 구단의 우승 확률이 50%라서 남자부의 70% 후반을 나타내는 우승 확률과 달리 언론에 언급이 잘 되지 않는다.

2010-11 시즌부터는 방송을 쉰 2012-13 시즌을 제외하고 스페셜V 첫 클럽 하우스 촬영 구단이 우승한다는 징크스가 생긴 상황. 이것도 역시 2016-17 시즌 KGC인삼공사가 3위에 그치면서 깨졌다.

명승부(?)라고 보긴 어렵지만 역대급 몰빵으로 우승한 몬타뇨의 2011-12, 베띠의 13-14 챔결전은 전설로 남았다.[15] 정말로 거의 혼자서 우승시켰다고 해도 다름 없었던 결승이었기 때문이다. 16-17 시즌의 메디슨 킹던 리쉘도 엄청난 몰빵과 함께 리시브(!!)까지 40% 가까이 차지하면서 그야말로 하드캐리했다.[16]

2015-16 시즌의 경우, 남녀부 통틀어 유일한 챔프전 무실세트 우승이다. 반응은 현건이 리그 MVP인 맥마흔이 빠진 기은을 상대로 거둔 진화타겁이라며 평가절하가 많지만.[17]

2017-18 시즌에 그 동안 우승이 없었던 한국도로공사가 처음으로 우승을 하면서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 리그들 중에서 여자부 한정으로 WKBL과 함께 리그 참여 구단 모두가 1회 이상 우승 기록이 있다.[18]

2020-21 시즌에 GS칼텍스가 마지막으로 통합 우승을 달성하면서 리그에 참가하는 모든 구단이 챔피언 결정전 우승+통합 우승의 기록을 가지게 되었다.[19] GS칼텍스의 이 우승은 트레블 달성[20]의 대기록을 세우는 우승이기도 했다. 이는 남자부의 삼성화재에 이어 11년 만에 나온 대기록. 반면에 흥국생명은 김연경을 영입하고도 구단 내 기강을 잡지 못하고 학교폭력 논란까지 터지면서 이 시즌의 모든 우승을 GS에게 직접 내주는[21] 굴욕을 썼다. 이 기록은 남녀 전구단을 합해 최초다.

2022-23 시즌 흥국생명과 도로공사의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도로공사가 V-리그 사상 첫 리버스 스윕에 성공했다. V-리그 역대 최고 시청률 달성은 덤. # 그리고 박수칠 때 떠나려 했던 김연경은 또다시 현역 연장을 고민하는 처지가 되었다.

2023-24 시즌 현대건설과 흥국생명의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현대건설이 8년 만의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및 13년 만의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여자부에서 통합 우승을 한 구단이 다시 통합 우승하는 데까지 가장 오래 걸렸으며 3경기 모두 5세트에서 승리를 거뒀다. 심지어 1세트를 내주고 3세트까지 흥국생명이 2:1로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4, 5세트를 연달아 이기면서 승리했다.

4.2. 우승 횟수

구단 승리 패배 승리 연도 패배 연도
흥국생명 4 6 2006, 2007, 2009, 2019 2008, 2011, 2017, 2021, 2023,
2024
현대건설 3 3 2011, 2016, 2024 2007, 2010, 2012
IBK기업은행 3 3 2013, 2015, 2017 2014, 2016, 2018
GS칼텍스 3 2 2008, 2014, 2021 2009, 2013
정관장 3 0 2005, 2010, 2012 -
한국도로공사 2 4 2018, 2023 2005, 2006, 2015, 2019

  • 구단 간 대결은 다음과 같다.
    • 3회: GS칼텍스-흥국생명, 흥국생명-한국도로공사, 현대건설-흥국생명 (2:1)
    • 2회: 정관장-현대건설 (2:0), IBK기업은행-GS칼텍스, IBK기업은행-한국도로공사 (1:1)
    • 1회: 정관장-한국도로공사, 현대건설-IBK기업은행, IBK기업은행-흥국생명 (1:0)

4.3. 개별 경기 기록

  • 2024년까지의 기록
구단명 전적 승률
흥국생명 42전 18승 24패 0.462
현대건설 27전 15승 12패 0.550
IBK기업은행 22전 11승 11패 0.500
GS칼텍스 20전 11승 9패 0.550
정관장 15전 10승 5패 0.667
한국도로공사 24전 10승 14패 0.417

5. 여담

남자부의 통합 우승[22] 사례는 다음과 같다. 19번의 챔피언 결정전 중 통합 우승에 성공한 사례는 2023-24 시즌까지 10번으로 이 가운데 삼성화재가 다섯 번, 대한항공이 네 번, 현대캐피탈이 한 번 기록했다. 이것은 정규 리그 우승 구단의 챔피언 결정전 우승 확률이 그렇게 높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2014-15 시즌부터는 정규 리그 2위가 우승하는 징크스가 이어졌지만 20-21시즌 대한항공이 통합 우승을 기록하며 징크스가 깨졌고 이후 23-24시즌까지 4년 연속으로 대한항공이 통합우승을 거두면서 사실상 옛말이 되었다.

예외는 2017-18 시즌의 대한항공. 정규 리그를 3위로 마쳤으나 챔피언 결정전에서 V1을 달성했다. 하지만 이때의 대한항공도 2위 삼성화재와 승점, 승수가 같았으나 세트 득실률에서 밀린 3위였다. 특히 2016-17 시즌부터는 대한항공과 현대캐피탈이 정규 우승,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나눠먹고 있는데 실제로 2016-17 시즌에는 대한항공이 정규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나 챔피언 결정전은 현대캐피탈이 우승했고 2017-18 시즌은 그 반대가 되었으며 2018-19 시즌은 2016-17 시즌의 재림이 되었다.
  • 2005-06 현대캐피탈
  • 2007-08 삼성화재
  • 2009-10 삼성화재
  • 2011-12 삼성화재
  • 2012-13 삼성화재
  • 2013-14 삼성화재
  • 2020-21 대한항공
  • 2021-22 대한항공
  • 2022-23 대한항공
  • 2023-24 대한항공

볼드체는 당해 정규 시즌 이전에 치른 컵 대회까지 우승한 경우.
남자부와 비슷하게 여자부에도 통합우승을 거두기가 상당히 힘든데 체력보다는 흐름, 기세를 많이 타는 배구 특성상 18번의 챔피언 결정전 가운데 정규 리그 1위의 통합 우승에 성공한 사례는 아래에 작성한 9번에 불과하다. 그 중 3번을 흥국생명이 달성했고 현대건설이 2번, 정관장, IBK기업은행, 한국도로공사, GS칼텍스가 각각 한 번씩 달성했다.
  • 2005-06 흥국생명
  • 2006-07 흥국생명
  • 2010-11 현대건설
  • 2011-12 KGC인삼공사
  • 2012-13 IBK기업은행
  • 2017-18 한국도로공사
  • 2018-19 흥국생명
  • 2020-21 GS칼텍스
  • 2023-24 현대건설

볼드체는 당해 정규 시즌 이전에 치른 컵 대회까지 우승한 경우.
같은 체육관을 공유하는 남자부와 여자부가 동시에 우승한 사례는 5번이 있다. 3번이 대전 충무체육관, 2번이 천안 유관순체육관.
  • 2005 삼성화재, KT&G
  • 2005-06 현대캐피탈, 흥국생명
  • 2006-07 현대캐피탈, 흥국생명
  • 2009-10 삼성화재, KT&G
  • 2011-12 삼성화재, KGC인삼공사

같은 체육관을 공유하는 남자부와 여자부가 동시에 준우승을 한 사례는 3회이다. 천안 유관순체육관 1회, 인천 도원체육관 계양체육관 각 1회. 공교롭게도 흥국생명이 2017년까지의 모든 경우에 해당한다.
  • 2007-08 현대캐피탈, 흥국생명
  • 2010-11 대한항공, 흥국생명
  • 2016-17 대한항공, 흥국생명

구단별로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했던 시즌은 다음과 같다.[23]
  • 현대캐피탈: 2005~2009-10, 2013-14, 2015-16~2018-19, 2022-23 시즌 (총 12시즌 / 2024년 기준 챔피언 결정전 최다 진출 기록)
  • 삼성화재: 2005~2014-15 시즌 (총 11시즌, 11시즌 연속 / 챔피언 결정전 최다 연속 진출 기록)
  • 대한항공: 2010-11, 2011-12, 2012-13, 2016-17~2018-19, 2020-21~2023-24 시즌 (총 10시즌)
  • OK저축은행: 2014-15,2015-16, 2023-24 시즌 (총 3시즌)
  • 우리카드: 2020-21 시즌 (총 1시즌)
  • KB손해보험: 2021-22 (총 1시즌)
  • 한국전력: 없음 (최고 기록: 3위 4회 - 2014-15, 2016-17, 2021-22, 2022-23)
  • 흥국생명: 2005-06~2008-09, 2010-11, 2016-17, 2018-19, 2020-21, 2022-23~2023-24 시즌 (총 10시즌)
  • IBK기업은행: 2012-13~2017-18 시즌 (총 6시즌)
  • 한국도로공사: 2005, 2005-06, 2014-15, 2017-18~2018-19, 2022-23 시즌 (총 6시즌)
  • 현대건설: 2006-07, 2009-10~2011-12, 2015-16, 2023-24 시즌 (총 6시즌)
  • GS칼텍스: 2007-08, 2008-09, 2012-13, 2013-14, 2020-21 시즌 (총 5시즌)
  • 정관장: 2005, 2009-10, 2011-12 시즌 (총 3시즌)
  • 페퍼저축은행: 없음

챔피언 결정전 MVP2회 이상 수상한 선수는 다음과 같다.
전년도 최하위를 기록하고 이듬해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거둔 사례는 다음과 같다.
  • 2005 시즌 흥국생명 최하위(5위)[24] → 2005-06 시즌 우승 (정규 리그 우승, 챔피언 결정전 우승)
  • 2016-17 시즌 한국도로공사 최하위(6위) → 2017-18 시즌 우승 (정규 리그 우승, 챔피언 결정전 우승)
  • 2017-18 시즌 흥국생명 최하위(6위) → 2018-19 시즌 우승 (정규 리그 우승, 챔피언 결정전 우승)



  • 2023-24 시즌은 현대건설이 남녀부 최초로 3연속 풀세트 끝에 우승하였다.
  • 김연경이 복귀한 후 진행한 챔피언 결정전에서 마지막 경기는 5세트로 끝났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66b3> 파일:V리그 로고 화이트.svg V-리그
관련 문서
}}} ||
{{{#!wiki style="color:#000000,#ffffff;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000000,#ffffff; 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6b3><colcolor=#fff> 대회 준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 챔피언 결정전 · 올스타전 · KOVO컵 · 한·일 V리그 TOP매치
역사 신인 선수 선발회 · 드래프트 1순위 · 샐러리 캡 및 연봉 · 신인왕 및 MVP · FA· 트레이드
기타 문서 외국인 선수 · 문제점 · 팬 서비스 · 프랜차이즈 선수 · V-클래식 매치
기록 선수 기록 · 매진 기록 · 트리플 크라운 · 한 경기 최다 득점
관련 틀 <colcolor=#fff> 수상 10주년 올스타 · 신인상 ( 남자부 / 여자부)
정규 리그 MVP ( 남자부 / 여자부) · 챔피언 결정전 MVP ( 남자부 / 여자부)
KOVO컵 MVP ( 남자부 / 여자부) · 한·일 V리그 TOP매치 ( MVP / MIP)
남자 동아스포츠대상 · 여자 동아스포츠대상
남자부 구단 · 감독 · 주장 · 홈구장 · 클럽 하우스 · 과거 참가 구단
여자부 구단 · 감독 · 주장 · 홈구장 · 클럽 하우스
}}}}}}}}} ||


파일:V리그 로고 화이트.svg V-리그 시즌 진행
KOVO컵 정규 시즌
올스타전
포스트 시즌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챔피언 결정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남] 남자부 [여] 여자부 [남] 남자부 [여] 여자부 [5] 일명 결승전 [6] 6개 구단이 최소 3회씩 올라간 경험이 있으며 최다 진출 구단은 흥국생명(10회)이다. [7] 물론 언론이나 일반 대중에게 정규 리그 1위 -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모두 이루어 내면 통합 우승이라고 여전히 붙이긴 한다. KOVO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만 않을 뿐이다. 정규 시즌 우승 구단이라는 명칭이 정규 시즌 1위로, 시상식 역시 "우승"이 아닌 "1위"로 변경한 것을 볼 수 있다. [8] 사실상 의미가 없어 보이나 형식적인 순위도 중요한데, 바로 다음 시즌 직전에 열리는 신인드래프트가 있기 때문이다. [9] 프로야구, 프로농구는 포스트시즌이 개최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우승 구단은 정규시즌 기준으로 반드시 부여하고 있다. 프로배구는 포스트시즌도 정규시즌의 연장선으로 생각하는 것이며 나머지 프로스포츠의 정규시즌에 대한 관점과 살짝 다르다. [코로나19]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취소. [11] 다만 정규 시즌은 황현주 감독이 지도했다. 흥국생명의 흑역사 중 하나. [코로나19] [코로나19] [14] 보통 다전제에서 1승을 갖고 시작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에 대해서는 말할 필요도 없다. 다른 스포츠에서도 1승을 하고 시작한 팀의 우승 확률이 굉장히 높기 때문이다. [15] 특히 13-14시즌 챔피언 결정전 5차전은 베띠의 몰빵이 극에 달했던 경기로, 공격점유율이 거의 70%에 육박했으며, 4세트 경기였음에도 불구하고 55점이라는 다시는 나올 수 없는 득점을 기록하였다. 만약 5세트까지 갔을 경우 60점대 중반 점수는 기록하고도 남았을 듯. [16] 이 모습으로 메디슨 리쉘은 미국 국가대표 주전 윙스파이커로 뛰기도 했다. 그리고 기어이 17-18시즌에 한 경기 57점이라는, 무슨 아포짓 스파이커도 아니고 리시브 점유율을 항상 30% 이상은 달고 가는 선수에게서 말도 안되는 기록이 나오고 말았다. 물론 13-14시즌에도 바실레바가 리시브 받고 57점을 올린 적이 있었긴 하지만, 그 시즌의 흥국생명은 공격할 곳이 정말 바실레바, 김나희 말고는 없었다. 김희진, 김수지, 고예림, 김미연 등이 버텼던 IBK과는 비교 자체를 하면 안된다. 게다가 2017-18 시즌 외국인 선수는 모두 트라이아웃으로 선발하는데 반해 2013-14 시즌은 외국인 선수 자유 계약 시절이다!! [17] 웃긴 건 6라운드 때에는 맥마흔에 김희진까지 없는데도 2-3으로 졌던 적이 있을 정도로 현건은 비정상 상태인 구단에 오히려 고전한 적이 수두룩했다. 그리고 기은은 전 시즌에 도공을 상대로 시리즈 세트 스코어 9-1로 우승을 했는데, 이 당시 도공은 니콜, 김해란이 있었지만 프런트가 거하게 삽질을 저질렀다는 메리트를 업고도 저 스코어를 달성하지 못했을 정도로 난이도가 있기에 의미가 있는 우승이다. [18] 한국여자프로농구도 2018년 이전까지는 청주 KB 스타즈를 빼고는 모두 1회 이상의 우승 기록이 있었지만 박지수 영입 효과로 18-19 시즌 우승을 거두면서 프로 전환 후 첫 우승에 성공했다. 나머지 여자부 리그로는 WK리그가 있는데 이쪽은 6개 구단 중 인천 현대제철, 이천 대교, 수원도시공사만 우승 경험이 있고 경주 한수원, 서울시청, 화천 KSPO 등 나머지 세 구단은 우승 경험이 없다. 다만 WK리그 역시 6개 구단 모두 챔피언 결정전 진출 경험은 있다. [19] GS는 우승할 때 언더독으로 우승하는 경우가 잦아 2008-09 시즌, 2020-21 시즌 정규 시즌 우승이 2회라서 통합 우승 도전 기회가 적은 구단이었다. [20] KOVO컵+정규 시즌 1위+챔피언 결정전 우승 [21] KOVO컵 준우승+정규 시즌 2위(승점 2점차)+챔피언 결정전 준우승 [22] 정규 시즌 1위, 챔피언 결정전 우승 [23] 구단 표기 방법: 구단 우승 횟수>2위 횟수>3위 횟수>4위 횟수 순서로 기록 / 굵은 글씨: 마지막으로 진출한 시즌 [24] 원년 시즌 당시 여자부는 세미프로리그방식으로 진행했다. [25] 여자부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