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동래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금정고등학교 | <colbgcolor=#ffcbcb,#340000> 대명여자고등학교 | 동래고등학교 | ◈ 동래원예고등학교 | 동인고등학교 | |
◈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 부산중앙여자고등학교 | 사직고등학교 | 사직여자고등학교 | 용인고등학교 | |
충렬고등학교 | 학산여자고등학교 | 혜화여자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釜山電子工業高等學校 | Busan Electronic Technical High School |
|
<colbgcolor=#ffd14b> 개교 | 1938년 6월 1일 동래공립농업실수학교 |
유형 | 특성화고등학교 (공업계)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제20대 하태현 |
교훈 | 성실(誠實) · 근면(勤勉) · 협동(協同) |
교화 | 개나리 |
교목 | 은행나무 |
학생 수 | 623명 (2023.03) |
교직원 수 | 75명 (2023.03) |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교육청 ( 부산광역시동래교육지원청) |
주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금강로59번길 51 ( 온천동) |
전화번호 | 051-606-0200 |
홈페이지 |
1938년부터 이어온 전통
자연이 숨 쉬는 아름다운 학교
기술과 덕성을 갖춘 유능한 학생
1. 개요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위치한 전자통신 공립 특성화고등학교이며 동래 학군 치고는 제법 큰 규모를 자랑하는 학교이다.학교 바로 아래쪽으로 동래원예고등학교와 유락여자중학교가 위치해 있다.
2. 교훈 및 상징
- 출처: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홈페이지
2.1. 교훈
성실 (誠實), 근면 (勤勉), 협동 (協同)2.2. 교목
은행나무는 오래 살며 수형이 크고 아름답다. 병충해가 거의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점등으로 정자목(亭子木) 등으로 많이 심었다. 또 예로부터 절사단(詞壇) 문묘(文廟) 묘사(墓舍) 등에 많이 심었으며 오늘날에 전하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노거수(老巨樹) 중에 은행나무가 가장 많은 것도 위와 같은 습속에 유래한다.2.3. 교화
개나리는 꽃잎은 네장이 모여 통꽃을 이루고, 윗부분이 열십자로 갈라져 갸날픈 느낌을 준다. 화통은 긴잔모양이고,화통위에는 두개의 수술이 마주붙어 있고 중심에 암술이 있다. 화주의 길이가 긴 꽃은 수술이 낮은 위치에, 화주의길이가 짧은 꽃의 수술은 높은 위치에 붙어 있다.2.4. 교표
1938년 3월부터 1978년 3월까지 동래원예고등학교와 같은 교표를 사용하여 왔다. 중앙의 동그라미 부분은 같고 그 동그라미와 겹쳐지는 부분이 ㄱ자 모양인 것이었다. 그러던 것이 1978년 교명이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로 변경되면서 교표를 다시 만들었는데, 예전의 동그라미는 그대로 두고 ㄱ자 대신에 ㅈ자를 겹치기로 하였다. ㅈ은 "전자"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ㅈ자를 당시의 미술 선생님이 예술적으로 디자인 것이 오늘의 교표에 이르고 있다.3. 교가
4. 연혁
1938년 3월 1일 부산 남구 광안리에서 1년제 동래공립농업전수학교로 설립1938년 6월 1일 부산시 수영 남수리 가교사 개교
1938년 10월 27일 동래공립농업실수학교 개교 및 입학식
1942년 4월 1일 동래공립원예전수학교로 3년제 승격
1943년 3월 1일 부산시 온천동 본 교사로 이전 (구 제2농장)
1945년 4월 2일 부산공립원예전수학교로 교명 변경 (3년제)
1949년 9월 1일 부산공립원예중학교로 승격 (6년제)
1950년 5월 1일 부산원예고등학교로 승격 (원예과, 축산과)
1970년 3월 1일 부산실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원예과,응용화학과,전자과,자동차과 설치)
1974년 3월1일 동래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기계과(5),하공2부(2)신설,원예과 학생 모집 중지)
1978년 3월 1일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전자특성화공고 지정,정보기술과 2학급 신설)
1986년 9월 2일 교육부 지정 시범학교운영 발표
1992년 6월 20 부산직할시 공업계고등학교 전자계열 공동실습소 개소
2008년 3월 1일 국방부 지월 정보통신 분야 군특성화 고등학교 운영
2008년 3월 1일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군특성화 정책연구학교 운영(2008.3.~2010.2, 2년)
2009년 3월 1일 부산광역시교육감 지정 전자ㆍ통신분야 특성화고등학교 운영
2009년 3월 1일 학과 개편 (전자시스템과 6학급,정보통신과 3학급, 기계자동차과 3학급)
2010년 3월 1일 부산광역시교육청 지정 군특성화 정책연구학교 운영 (2010.3.~2012.2, 2년)
2012년 3월 1일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 (2012.3.~)
2013년 12월 31일 2013학년도 부산광역시 교육청 학교평가 최우수 학교 선정
2016년 2월 1일 2015학년도 학교경영 우수학교 수상
2016년 4월 26일 2015학년도 취업역량강화사업 우수학교 지정
2016년 11월 11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2017년, 고용노동부 및 교육부 지정)
2017년 1월 12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연구학교 지정 (2017년~, 3년간)
2017년 3월 1일 학과 개편 (전자시스템과 6학급, 정보통신과 2학급, 기계자동차과 3학급)
2017년 4월 27일 2016학년도 취업역량겅화사업 우수학교 지정
2018년 3월 1일 부산광역시교육청 특성화고 운영 자율학교 운영 지정 (2018.3.1~2021.2.28)
2018년 3월 20일 2017학년도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우수학교 지정
2018년 5월 1일 2018학년도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성과평과 S등급
2019년 3월 1일 산학일체영 도제학교 경상권 총무학교 지정
2019년 4월 24일 2018학년도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우수학교지정
2020년 3월 1일 학과명 변경 (전자시스템과->전기전자과)
2020년 12월 1일 부산광역시교육청 특성화고 운영 자율학교 운영 지정 (2021.3.1~2024.2.29.)
2023년 2월 8일 고용노동부 지정 미래유망분야(로봇) 고졸인력 양성사업 운영(2023.3.1.~2027.12.31.)
5. 시간표
시간표 | |
등교 | ~08:40 |
조례 | 08:40~08:50 |
1교시 | 08:50~09:40 |
2교시 | 09:50~10:40 |
3교시 | 10:50~11:40 |
4교시 | 11:50~12:40 |
점심시간 | 12:40~13:30 |
5교시 | 13:30~14:20 |
6교시 | 14:30~15:20 |
7교시 | 15:30~16:20 |
종례 | 16:20~16:30 |
방과후는 보통 16시 40분 이후에 시작한다.(방과후 수업 기간에만 해당)
6. 학교 시설
학교시설은 교실이 있는 본관(1번 건물) 그리고 실습을 할수있는 실습건물로 나뉜다 기계 실습동, 자동차 실습동(섀시 + 정비 = 2동), 전자 실습동, 통신 실습동, 복합 실습동(군특성화, 악대부), 전자계열 공동실습소, 금강관, 그리고 급식실이 있다.6.1. 본관
본관은 학생들이 공부하는 곳으로 교실, 교무실, 행정실, 특수교실, 학생부실, 방송실, Wee-Class 등이 있다. 교실은 1학년이 3층, 2학년은 4층, 3학년은 5층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1학년 10반 2학년 10반 3학년 10반으로 돼 있다. 제일 중요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본관건물은 수업하는 모든 반의 칠판이 전자칠판으로 되어있다.
6.2. 기계 실습동
기계 실습동은 기계 자동차과에서 사용하는 곳으로 1층은 CNC, MCT, 범용선반, 줄작업장, 용접실이 있다. 2층은 전자계열 공동실습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세미나실, 다목적실, 공유압실, CAD/CAM실, 기계과 교무실이 있다. 전자공고의 비싼 물품들은 여기에 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기계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곳이기에 위험한 곳이기도 하다.6.3. 자동차 실습동
자동차 실습동 또한 기계 자동차과에서 사용하는 곳으로 두동으로 나뉘는데 한동은 자동차 기관실 조금만 위로 가면 자동차 섀시실이 있다.모두 1층에 있으며 자동차와 자동차 리프트,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등의 기계부터 기능부 실 강의실이 있다. 전자공고에서 자동차에 관한 것은 여기에 다 있다.[1]
6.4. 전자 실습동
전자 실습동은 전기전자과 학생들이 이용하는 실습동이다. SMT실습실이 있다.6.5. 통신 실습동
학생들에게 신관으로 불린다.통신 실습동 내부에는 과학실과 물리실이 있으며 통신응용실, 통신회로설계실, 정보통신실, 광통신실, 전자회로설계실, 전자통신과 교무실 등이 있다. 본관의 2학년 교실과 통신 실습동을 왕복하면
6.6. 전자계열 공동실습소
전자계열 공동실습소는 개별 학교에서 접하기 어렵고 산업체 활용빈도가 높은 첨단 기자재를 지정 학교에 설치해 동일계열의 학생들이 단기간 입소해 실습하는 시설이다. 전자를 기본으로 하는 학교는 2학년때 실습을 하러 온다. 부산전자공고의 전자과와 통신과도 여기서 공동실습소를 한다.[2]6.7. 금강관
금강관은 체육관이자 강당이다. 농구 시설과 강당 조종실, 배드민턴 코트, 샤워실등이 있다.[3] 여기서 입학식이나 방학식, 졸업식& 종업식같은 행사부터 해서 단체생활지도, 학예회, 특별교육 등을 한다.6.8. 풋살장
전기동 옆 작은 풋살장이 있다. 이곳은 하키부와 일반학생이 쓰는곳이다.6.9. 학교숲
동문회의 지원으로 만들어졌다. 그늘이 져있고 길이 만들어져있어서 산책하기 좋다. 점심시간에 선생님들이 자주 산책하러 오신다.7. 학과
전기전자과(5학급)[4], 전자통신과(2학급), 기계자동차과(3학급)로 나누어진다. 다른 공고와는 다르게 1학년 공통과정은 없다.7.1. 전기전자과
첨단 정보사회를 이끌어갈 전자분야의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기능 및 기술교육을 실시한다. 학교와 지역산업체간 연계교육으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력을 배출하고, 계속교육의 바탕을 마련하여 급변하는 미래정보화 산업에 능동적으로 적응할수 있는 우수인력을 양성한다.다음과 같은 교육을 추진한다.
- 전기 전자 관련 회로 동작특성 이해와 제작능력 양성
- 전자회로 설계 프로그램으로 설계능력을 향상시키고 PCB 가공기를 이용한 가공기술
- 표면실장기술 (SMT)
- PLC 트레이닝 키트를 이용해 자동제어, 자동화 설비에 대한 개념과 응용
- 임베디드 시스템의 기초
- 플래시등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활용
- 디지털 논리회로의 동작과 설계
- C언어, 비주얼 베이직등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7.2. 전자통신과 (군특성화)
정보화 산업사회를 주도할 정보통신 분야의 핵심요소인 정보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기반기술, 정보통신 기기의 관리, 통신회로 설계 및 제어 등등 현장실무 중심 교육을 통하여 능력향상과 창의적인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5]다음과 같은 교육을 추진한다.
- 통신회로, 전기회로, 디지털 논리회로 등 기초지식 학습
- 프로그래밍,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등등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기초, 심화과정 학습
- 스위치, 라우터 등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네트워크를 직접 구성할수 있는 능력
- 유선, 무선 통신망, 이동통신의 기반을 이해
- 광통신망의 구조, 구성의 기본요소 이해
- 군특성화 반은 군전문 기술병을 임무수행을 위해 통신장비 운용 능력을 교육
7.3. 기계자동차과
기계기술분야에 관한 기초지식과 기본기술을 습득하여 실무 응용력과 다기능 기술을 학습하며, 적성에 맞는 전문분야 심화과정을 전문화, 정보화, 자동화 시대를 선도할수 있는 전문기술인의 능력과 자질을 함양하게 한다.다음과 같은 교육을 추진한다.
- 기계요소에 대한 기초와 설계능력
- CAD 소프트웨어을 응용한 기계부품 도면 작성
- 선반, 밀링, 절삭 등 공작기계 이해
- CNC 조작기계 조작기술
- 전기 용접
- 공장 자동화에 관련된 자동제어회로 구성
- 자동차 정비능력
작업복이 타 과와 달리 위아래 작업복이다. 용접과 자동차와 범용을 할 시 기름과 칩과 불꽃들이 몸에 잘 튀기 때문에 그런 듯 하다. 남학생밖에 없기 때문에 체육대회는 기본적으로 들어간다.
2022년 부터 고교학점제 시범이 들어가서 2학년 때 용접과정과 기계가공 과정으로 나뉜다.
용접과정은 아크용접, 특수용접, 선반을 기본으로 배우고 학생의 의지에 따라 선반이나 또는 타학과(전기전자과)의 수업을 신청할 수 있다.
기계가공 과정은 선반, 밀링, CNC 관련을 기본으로 배우고 학생의 의지에 따라 아크용접이나 또는 타학과(전기전자과)의 수업을 신청할 수 있다.
8. 출신 인물
- 박일배
- 신상해 (전 부산광역시의회 의장)
- 윤석천
- 이용식(1958)
- 정용규
- 정형돈 ( 개그맨, 전자시스템과)
- 자동(인터넷 방송인) (전자계산기과)
- 장준용 (부산광역시 동래구청장)
- 조병길 (부산광역시 사상구청장)
- 최영만(1958)
9. 주요 행사
부산전자공고의 행사는 대표적으로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교내체육대회와 금강기능학예전, 교내체육대회는 5월~6월쯤에 진행 되며 종목은 축구, 족구, 농구, 단체 줄넘기, 계주 등 다양하게 하였으나 이번 년도부터 반응이 별로라는 이유로 축구 한 종목으로 통일했다.두번째는 금강기능학예전이다. 이 학예전은 몇 년 전만 해도 꽤 큰 행사로 동네 분들도 오는 행사였다. 그러나 이틀 동안 하던 행사를 하루로 줄이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유는 큰 행사들이 줄어들면서 볼 것이 없어졌다는 이유인데, 덕분에 볼품없는 남자들의 잔치로 변해버렸다.
10. 교통
10.1. 버스
학교 근처 금강로에 버스 정류장이 있다. 홀수측은 온천프라자, 짝수측은 전자공고.100-1번과 148-1번을 타는 경우 온천장로의 "롯데백화점 동래점(명륜역)"에 하차하면 된다.
전자공고/온천프라자
- 부산 버스 77: 서면롯데백화점에서 이 버스로 환승하는 학생들이 많다. 명륜역에서 학교까지 거리가 꽤 먼데 이 버스를 타면 훨씬 학교 가까이에 내릴 수 있다. 학장동에서 출발해서 이 학교로 오는 버스 중에서 이 버스가 가장 빠르다.
- 부산 버스 80: 우장춘로를 경유하는 노선 특성 상 사직동에서는 거의 이 노선으로 등교하는 편이다.
- 부산 버스 110: 구포나 사상에서 학교로 간다면 이 버스가 가장 빠르다.
- 부산 버스 121: 금곡, 화명에서 오는 학생들이 탑승한다.[6]
- 부산 버스 131: 남구 용호동과 수영구 망미동 방면에서 오는 학생들이 탑승한다.
롯데백화점동래점(명륜역)
- 부산 버스 100-1: 해운대와 토곡에서 오는 학생들이 탑승한다.
- 부산 버스 148-1: 학장동, 사상 서부터미널에서 오는 학생들이 탑승한다.
롯데백화점 동래점
- 부산 버스 210: 토곡이나 민락동에서 오는 학생들이 탑승한다.
연제공용차고지로 돌아가는 버스를 타게되는 경우 원예고등학교 정류소에서 하차하면 된다.
그 외
- 부산 버스 111-1: 북구 금곡동이나 화명동 거주 학생들이 주로 이용한다.
- 부산 버스 144: 해운대구 반여동이나 재송동 거주 학생들이 주로 이용한다.
- 부산 버스 189: 금정구 서동이나 반송쪽에서는 189번을 타고 등교한다.
- 부산 버스 1008: 기장군 정관에서 1008번을 타고 등교한다.
- 부산 버스 동래1-1
- 양산 버스 12
- 양산 버스 12-1
- 양산 버스 1100
- 양산 버스 1200
- 양산 버스 1300
- 양산 버스 1500
10.2. 도시철도
명륜역 5번 출구 에서 도보로 10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다. 다만 학교가 우장춘로 연선 산자락에 있기에 조금 걸어가야 한다.11. 기타
남녀공학 특성화고등학교지만 공업고등학교 특성상 남학생 성비가 압도적으로 많다. 거진 8:2 정도로 남학생 성비가 80% 가량 차지한다.부산공업고등학교랑은 엄연히 다른 별개의 학교로 부산공업고등학교는 남구 대연동에 위치해 있다. 둘 다 공업고등학교인데다 교명이 비슷해서 혼동이 자주 발생하는 간혹 전화가 잘못 걸려오거나 택배가 잘못 배송되어 오는 등의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일어나기도 한다.[7] 또한 입시와 진학을 위해 학교에 면접보러 가는 학생들도 장소를 혼동하여 잘못 찾아가는 등의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한다.
입학식 행사에서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뽑아 학교 동문회에서 삼성 노트북 등을 선물한다. 금강 학예전(학예제)날에도 학교에서 성실한 학생을 추천하여 삼성 노트북을 선물한다. (총 동창회, 제울 현대 자동차 금강 동창회 후원) 매년마다 전기전자과에는 항상 여자가 없는 반이 존재한다!
2004년경 원빈, 신하균 주연의 영화 '우리형'의 촬영지로 활용 되기도 했다. (쓰레기 소각장 옆 공터 싸움 씬)
2010년작인 공부의신 9~10화 촬영도중 수원공고에 폭설이 내려 촬영이 힘들어 부산에 내려와 여기서 촬영되었다.
오래전 부산원예고등학교 시절 우장춘 박사가 환국 직후 잠시간 본교에서 근무한 적이 있다. 교사로 근무했는지 원예 관리직 등 다른 일로 근무했는지는 미상이다.[8]
매주 주말에는 G-TELP 등 공인 시험의 고사장으로 활용된다. 수능시험장으로도 자주 이용되며, 특히 교사 임용시험이 있는 날에는 초/중등 가릴것 없이 이 학교는 거의 100%의 확률로 고사장으로 지정된다고 보면 된다. 특히 초등교사 임용 1차 시험은 여기 아니면 교육청 청사 바로 아래의 부산정보고등학교에서 1차시험을 보게 될 것이다.
[1]
여기서 차량 수리를 받는 선생님들도 있으시다.
[2]
기계자동차과는
부산공업고등학교에서 한다.
[3]
샤워실은 선생들만 사용 가능
[4]
2020년 전자시스템과에서 전기전자과로 이름이 바뀌었다.
[5]
전자통신과는 원래 정보통신과였다. 하지만 취업이 잘 안된다는 이유로 '전자통신과'로 명칭을 고쳐 버렸고 학급 수 또한 3학급에서 2학급으로 줄였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정보통신과에서 대학진학때 전자를 배웠지만 이름때문에 튕겨서 민원으로 전자통신과로 바뀌었다고 한다. 2020년 기준 군특성화 반으로 운영 중이다.
[6]
배차시간이 길기 때문에 화명역 이북에서는 111-1번을 타고 명륜역에서 걸어오고, 와석~덕천역에서는 111번을 타고 110번으로 환승하는 편이 더욱 효율적이다.
[7]
비슷한 학교로
부산정보고등학교와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의 사례가 있다.
[8]
참고로, 현재 전자공고 자리에 있던 부산원예고등학교는 1970년대 초
동래원예고등학교로 학교 이름을 고쳐 바로 옆으로 학교를 옮겼으며, 본래 부산원예고등학교가 있던 자리에 전자공고가 들어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