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6:48

부산대학교/학부/공과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부산대학교/학부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0학년도 기준
<rowcolor=#fff>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가천대학교 O - - 워싱턴 가톨릭대학교 O - - 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강원대학교 O - - 워싱턴
거제대학교 - - O 시드니 건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 O O - 워싱턴 경복대학교 - - O 더블린
경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상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경성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일대학교 O - - 워싱턴
경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계명대학교 O O - 워싱턴
고려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공주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광운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구미대학교 - - O 더블린
국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군산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금오공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죽전)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 O - - 서울/워싱턴 대구대학교 O - - 워싱턴
대덕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대진대학교 O - - 워싱턴
동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국대학교(WISE) O - - 워싱턴
동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서대학교 O - - 워싱턴
동서울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동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원대학교 - - O 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동의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마산대학교 - - O 더블린
명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목원대학교 O - - 워싱턴
목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부경대학교 O - - 워싱턴
부산대학교 O O - 워싱턴 백석대학교 - O - 서울
상명대학교(서울) - O - 서울 상명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상지대학교 O - - 워싱턴 서강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 - - O 더블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 O - - 워싱턴 서울시립대학교 O - - 워싱턴
선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세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숙명여자대학교 - O - 서울
순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순천향대학교 O - - 워싱턴
숭실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신라대학교 O - - 워싱턴
아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아주자동차대학교 - - O 더블린
국립안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연성대학교 - - O 시드니
연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영진전문대 - - O 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울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이화여자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천대학교 O - - 워싱턴
인하대학교 O - - 워싱턴 전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한라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 O O - 워싱턴 중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 O - - 워싱턴 청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경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공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교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항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국립한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성대학교 O - - 워싱턴
한신대학교 O - - 워싱턴 한양대학교 - O - 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 - O - 워싱턴 호남대학교 O - - 워싱턴
호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호원대학교 - O - 서울
홍익대학교(서울) O O - 서울/워싱턴 홍익대학교(세종) O - - 워싱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 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 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역사 상징 입시 학사 제도
총학생회 마이피누 학부 대학원
캠퍼스
부산캠퍼스 양산캠퍼스 밀양캠퍼스 아미캠퍼스
기타 정보
출신인물 미식축구부 주변 상권 논란 및 사건 사고
부속 병원
사범대학 부설 학교
}}}}}}}}}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의 단과대학
인문대학 경제통상대학
공과대학 약학대학
사범대학 예술대학 첨단융합학부
나노과학기술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의과대학 간호대학 정보의생명공학대학 }}}
치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전문대학원


1. 개요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홍보영상 (2020)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홈페이지

College of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이다.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은 매해 지역 할당제의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고 있으며, 대기업이나 대학원 진학을 포함한 취업의 질 또한 상당히 높은 편이다.

공학관들은 정문 바로 앞에 위치해 있어 교양과목 수업을 제외하고는 다니기 편한 편이다.[1] 그리고 단과대학 중 가장 건물 수가 많다. 전공관 12개나 있는 단과대학은 전국적으로도 거의 없다

2. 학부

2.1. 기계공학부

파일:부산대기계관.png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홈페이지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는 굵직한 역사를 자랑하는 전통있는 학과이다. 이는 박정희 정부 시절 동남권 기계공학 인력 공급을 위해 특성화되어 수천 명의 인력을 거느리게 되었다. 특히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와 라이벌 구도가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두 학교 학과 모두 매머드급 정원에다 우수한 아웃풋을 낸다는 것은 매우 높이 평가할 만하다.

매년 90%가 넘는 취업률을 내며 그중 절대다수가 대기업이나 공기업에 취업한다. 졸업자 인맥 또한 매우 널리 퍼져 있어 국내 유명 대기업 등의 임원진과 연구진 상당수가 부산대 출신이다.[2] 아울러 이러한 기계계열 등이 정부특성화학과로 지정되어 20년 이상 집중 육성되어 왔으며, 대학 내부에서도 조선해양공학과 기계공학 등 2개의 핵심 특화분야를 선정하여 육성하고 있다.

게다가 아시아 최초로 세계적인 동력시스템 제조업체인 롤스로이스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롤스로이스 부산대학교 기술연구센터(UTC: University Technology Centre)'를 개교하는 등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매년 영국 본사에 일정 인원을 채용해 인턴으로 갈 수 있다.

2017년 통합기계관이 신축되었다.[3] 현재 부산대에 지어진 대학 건물 중 가장 최근에 지어졌으며, 면적 및 수용 인원이 가장 큰 건물이기도 하다. 한편 이 건물 신축으로 기계과 인원들이 이건물 저건물 옮겨다니며 수업을 듣는 일은 없어질 거라 믿었으나 여전히 학과 인원 수에 비해 강의실이 부족하여 고학년 수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저학년 수업 및 교양 관련 수업은 주로 구 기계관(융합기계관)에서 이루어지는 편이다.

2022년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에 의하여, 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혁신인재양성사업을 기계공학부가 주관하게 되었다.[4] 친환경차, 자율주행자, 자동차 및 제조·생산 기술에 특화된 지역산업체 수요밀착형 기술융합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사업에 의하여, 의생명융합공학부가 주관하는 차세대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인재양성사업에 참여한다. 의생명 분야에 특화된 부산대 양산캠퍼스를 중심으로 바이오헬스 디바이스와 바이오헬스 데이터 모두에 높은 역량을 지닌 디바이스+데이터 융합형 바이오헬스 인재를 키워 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대응할 전망이다.

2023년 학부생으로만 구성된 '부산대 산지니팀'이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미래 자동차 산업을 선도할 인재 양성을 위해 개최된 ‘제2회 미래형자동차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경진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

2.2. 고분자공학과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홈페이지

고분자공학과에서는 고분자재료의 물성 및 합성을 다룬다.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등을 배우며 이를 바탕으로 3, 4학년부터 고분자에 대해 본격적으로 배운다. 고분자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재료이며 그 수요 또한 높아 기업에서도 많이 채용하고 있는 분야이다. 이러한 특성상 화학관련 산업체에 주로 취업하고 배터리 디스플레이관련 산업체로도 취업이 되는편이다.

제7공학관(406)을 화공생명공학부와 같이쓰며 건물이 매우 낡았다. 최근에 외벽 보수공사를 진행중이다.

2.3.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홈페이지

학과 자체는 섬유공학과에서 시작했지만 지금은 고분자, 나노과학, 바이오소재,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여러 분야의 학문을 유기적 측면에서 다루는 학과에 가깝다.[5] 신소재 중에서 고분자재료와 복합재료를 주로 다루게 된다. 나노바이오, 유기반도체, 배터리, OLED 등 유기재료를 이용한 소재개발이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갈수록 전망이 좋아지고 있는 학과 중 하나이다.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나노에너지공학과, 재료공학부와 함께 EES융합전공을 주관하는 학과이다. EES융합전공을 통해 이차 전지와 관련된 학문을 배우고 실습할 기회를 얻는다. 일정 학점을 이수할 경우, 마이크로디그리, 부전공, 복수전공을 인정 받을 수 있다.

건물은 제5공학관(408)을 사용한다. 건물 자체는 많이 낡았지만, 나름 독립된 건물을 쓰는 공대 중 하나이다.

2.4. 화공생명· 환경공학부

화공생명환경공학부는 화공생명공학과가 환경공학과와 학과 통폐합한 첫 해에는 그 영향으로 입결이 크게 떨어졌지만 이내 회복해 90% 정도로 올랐다.[6]

2.4.1. 화공생명공학전공

부산대학교 화공생명환경공학부 화공생명공학전공 홈페이지

공대 최상위권의 입결을 자랑한다. 석유화학산업과 2차 전지 산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화공생명공학전공이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제 2회 LG화학-한국화학공학회 석유화학 올림피아드에서 대상에 수소생산 최적 공정으로 탄소저감 제안한 부산대 화학공학과 팀이 선정되었다. #

2.4.2. 환경공학전공

부산대학교 화공생명환경공학부 환경공학전공 홈페이지

2.5. 재료공학부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홈페이지

재료공학부도 박정희 정부 시절 특성화 학과로 선정되었다. 다른 대학교의 신소재공학과와 비슷하다. 신소재 중에서 금속재료, 비금속 무기재료를 주로 다룬다. 반도체와 2차 전지 분야가 각광받음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학과이다.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나노에너지공학과,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와 함께 EES융합전공을 주관하는 학과이다. EES융합전공을 통해 이차 전지와 관련된 학문을 배우고 실습할 기회를 얻는다. 일정 학점을 이수할 경우, 마이크로디그리, 부전공, 복수전공을 인정 받을 수 있다.

2022년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에 의하여, 기계공학부가 주관하는 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혁신인재양성사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친환경차, 자율주행자, 자동차 및 제조·생산 기술에 특화된 지역산업체 수요밀착형 기술융합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건물은 제2공학관(405)을 사용한다.

2.6. 전기전자공학부[7]

2.6.1. 전자공학전공[8]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전자공학전공 홈페이지

기계는 부산, 전자는 경북이라는 인식이 생기면서 현재 상대적으로 저평가되고 있지만, 사실 부산대 전자공학과는 오랫동안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에서 가장 높은 입결 수준을 유지해 왔고, 취업의 질이나 대학원 진학의 수준에서도 부산대 기계공학과나 경북대 전자공학과에 비해 결코 모자라지 않는 공대 최상위 학과 중 하나이다. 아무튼 기계는 부산, 전자는 경북이라는 말 때문에 어찌 보면 가장 피해를 보고 있는 학과인데, 부산대 전자공학과도 충분히 좋다. 최근 전자공학 분야가 인기를 끔에 따라 입결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학과이다.[9]

2022년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에 의하여, 전기공학과가 주관하는 반도체 전공트랙 사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 산업의 일환으로 반도체 전공트랙을 신설하고 실무 중심의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는 데 주력할 것이다.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실무 중심의 교과목 개발·운영, 반도체 교육 인프라 구축, 산학 프로젝트·인턴십 등을 통해 실무 경쟁력을 갖춘 시스템반도체 소자·회로·시스템 설계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시스템반도체의 국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2.6.2. 전기공학전공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전기공학전공 홈페이지

전공 강의실이 제10공학관(207)과 제8공학관(107), 제6공학관(201)을 나눠 쓰며, 제10공학관(207)을 주로 사용한다. 교수진의 평가도 좋은 편이며, 취업 성과도 2016년 기준 부산대 공과대학 취업률 2위(82.5%), 2017년 기준 부산대 공과대학 취업률 1위(76%)일 정도로 괜찮은 학과이다. 2012년에 전자공학과와 분리되었다가 2015년에 정보컴퓨터공학부와 합쳐서 전기컴퓨터공학부 체제로 있었다가, 2020년 다시 분리되었다. 조선해양공학과나 기계공학부처럼 박정희 정부 시절 특성화 학과로 선정되었다.

2022년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에 의하여, 반도체 전공트랙 사업을 주관하게 되었다.[10] 이 산업의 일환으로 반도체 전공트랙을 신설하고 실무 중심의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는 데 주력할 것이다.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실무 중심의 교과목 개발·운영, 반도체 교육 인프라 구축, 산학 프로젝트·인턴십 등을 통해 실무 경쟁력을 갖춘 시스템반도체 소자·회로·시스템 설계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시스템반도체의 국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위와 동일한 사업에 의하여, 기계공학부가 주관하는 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혁신인재양성사업의 참여 학과가 되었다. 친환경차, 자율주행자, 자동차 및 제조·생산 기술에 특화된 지역산업체 수요밀착형 기술융합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2.6.3. 반도체공학전공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홈페이지

===# 건설융합학부[舊]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 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 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 홈페이지

건설융합학부는 원래 건축학과, 건축공학과, 도시공학과,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전공 & 환경공학전공으로 분리되어 있던 것을, 화공생명공학부와 합쳐진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환경공학전공을 제외하고 나머지 학과들을 한 학부로 합친 것이다.

건축학교육인증을 받는 5년제 건축학전공을 제외한 나머지 학과들은 모두 공학교육인증을 받기 때문에 1학년은 거의 다 같은 과목을 배운다. 그래서 다른 공대생을 봐도 수업이라는 주제로 이야기가 통한다.[12] 달리 말하자면 건축학과 학생과 공대 학생은 커리큘럼이 상이해서 서로 전혀 다른 세계에 살고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사실상 건축학전공은 공대의 탈을 쓴 미대라고 봐도 될 정도다.

2010년 10월경 건설관이 신설되었다. 건물의 크기와 규모는 그야말로 웅대한 수준이다. 신설된 건설관 3,4층엔 열람실이 있어 자리 부족을 어느정도 해소시켜 주었지만 그래도 부족하다. 신설 후에는 지리적 이점 때문인지 중도보다 자리 경쟁이 치열했다. 중도 리모델링 후에는 자리가 많이 널럴해졌다. 시험기간 중에도, 점심전으로만 가면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다. 3층엔 공동의 긴 책상, 그리고 4층엔 칸막이가 있다.

2024년부터 건설융합학부가 건축공학과, 건축학과, 도시공학과,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로 갈라졌다.

2.7. 건축공학과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홈페이지

2.8. 건축학과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홈페이지

2.9. 도시공학과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홈페이지

2.10.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부산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홈페이지

2024년부터 학과명칭이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로 바뀌었다.

2.11. 항공우주공학과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홈페이지

1989년 신설된 항공우주공학과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항공기와 무인기비행시험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아웃풋도 훌륭해 취업자 중 거의 80%가 대기업에 들어가고, 대학원 진학률은 해마다 다르지만 20~30%에 이른다. 부울경 지역에 전반적으로 중공업이 밀집해 있는데다가, 특히 경남 사천이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중심지인 것이 양질의 아웃풋에 도움이 됐다고 볼 수 있다.

2.12. 산업공학과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홈페이지

산업공학과의 경우에도 역시 산업단지와 항만이 집중된 지역의 특성과 맞물려 발전하는 학과로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얕고 넓게 배운다는 것이 이 학과의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도 있다.[13]

2.13. 조선해양공학과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홈페이지

조선해양공학과의 경우 1950년에 전국에서 두 번째로 창설된 학과이다.[14] 세계 5대 조선소를 중심으로 학부와 대학원의 취업률은 각각 98.4%, 87.1%(2013년 기준)로 전국 최고 수준이며, 교내 특성화 지원 학과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교육과학기술부) 주도 글로벌 핵심 연구 센터(GCRC) 와 BK21+ 사업, 산업통상자원부(구, 지식경제부) 주도 산업 원천 기술 연구 기반 구축 사업 유치 등 조선해양 분야의 선두 주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백점기 교수가 세계 조선해양 분야에서의 양대 노벨상으로 꼽히는, 영국 왕립조선학회의 ‘윌리엄 프루드 메달’과 미국 조선해양공학회의 ‘데이비드 W. 테일러 메달’을 2015년 동시에 수상했다. 이로서 조선해양 분야에서는 부산대가 상당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출신 동문들은 인하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등의 조선해양 관련 학과에 교수로 진출해 있기도 하다.

2017년 3월 18일 경에 조선해양공학과 내의 똥군기 캡쳐본이 페북 등에 유포됨에 따라서 많은 사람들의 지탄을 받았다. 게다가 거기다 대고 '내부 문제이므로 외부인은 참견 마라'는 등의 댓글을 다는 등 몹쓸 꼴을 보였다. 게다가 SNS나 사이트에 반응하지 말라는 지시를 신입생에게 하는 캡쳐본이 올라옴으로서 여론을 최악으로 몰고 갔다. 결국 교육부에서 조선해양공학과를 직접 조사해서 여러 징계 내용과 조사 결과가 올라왔는데, 조사 결과 학과장과 교수가 참여하고 있던 신구 대면식에서 이런 행위가 있던 것은 사실이지만 평소에서는 시키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3. 학생 활동

3.1. 연학제

공대 축제인 연학제는 전통적으로 재미없기로 유명. 근데 2009년에는 허경영이 왔다 갔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조선해양공학과와 토목공학전공의 '조토전' 혹은 '토조전'이 벌어진다. 덕분에 굿플러스 빚더미 사태와 함께 조토전 폭력 관련 소식으로 뉴스의 대미를 장식 #. 대학본부에서 경고를 먹게 되어 2013년부터는 조용히 넘어가게 되었다.[15]


[1] 재료관, 화공관, 유기소재관은 제외 [2] 절대다수가 대기업이나 공기업 취업에 오로지 기계공학부 누적 졸업생만 18,000명을 향하고 있다. [3] 2011년부터 설계가 진행되었고, 정부로부터 270억원의 자금과 학과관련 인사들의 기부를 바탕으로 지어졌다. 부지는 現 기계관과 舊 건설관 일대가 쓰일 것으로 예상이 되었고, 결국 舊 건설관 일대로 확정되었다. 그리고 차후에 건설 완료 시 기계공학부가 독립 단과대(기계공학대학)로 공과대학에서 이분될 계획이다. 2013년에 건설관 시공에 들어갔고 이를 기념해 10월 31일을 '기계의 날'로 정하고 기계공학부 개설 60주년 행사를 필두로 단과대 분리를 위한 사전 작업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기계공학부가 공대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만큼 공대의 인구 비율이 확연히 줄어들어 분리 이후 아무도 결과를 예상치 못한다는 게 중론이다. [4] 전기공학과·재료공학부·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과·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가 참여한다. [5]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가 고분자 자체에 탐구하는 경향이 짙은 반면,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는 고분자를 포함하여 산업 전반에 존재하는 유기소재의 공정에 집중한다. [6] 2021년부터 화공생명공학전공과 환경공학전공으로 분리하여 신입생을 받는다. [7] 2024년부터 전기공학과와 전자공학과가 통합, 반도체공학전공이 신설되었다. [8] 舊 전자공학과 [9] 2022년 입결 기준으로 전자공학과가 기계공학부를 넘어섰다. [10] 전자공학과가 참여하는 형식이다. [舊] [12] 물론 모든 공과대학이 다 시행하는 것은 아니고 2016학년도 기준 기계공학부, 항공우주공학과, 산업공학과, 조선해양공학과, 토목공학전공, 환경공학전공, 재료공학부만 실시한다. 전자전기공학부와 정보컴퓨터공학부(現 전자공학과, 전기컴퓨터공학부)는 2012학년도부터 시행하지 않는다. 건축공학과도 공학인증을 실시했으나 현재는 비인증 학과이다. [13] 산업공학과는 공대의 경영학과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경영적 측면에 대해 많이 공부한다. [14] 단, 원래 부경대학교의 두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부산수산대학에서 먼저 생겨났고, 1964년에 부산대로 편입되었다. [15] 장학재단 중 한 곳에서 장학금 지원을 중단했다는 소문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8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8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