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4:18:15

보광동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전라남도 목포시 보광동에 대한 내용은 만호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2px 0" <tablebordercolor=#004ea2>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행정동 <colcolor=#000> 법정동
<colbgcolor=#004ea2> 후암동 후암동
용산2가동 용산동2가 · 용산동4가
남영동 갈월동 · 남영동 · 동자동 · 용산동1가
청파동 서계동 · 청파동1가 · 청파동2가 · 청파동3가
효창동 효창동
용문동 도원동 · 용문동
이촌1, 2동 이촌동
이태원1, 2동
구청
이태원동
한남동 한남동
서빙고동 동빙고동 · 서빙고동 · 용산동6가 · 주성동
보광동 보광동
원효로1동 문배동 · 신계동 · 원효로1가 · 원효로2가
원효로2동 산천동 · 신창동 · 원효로3가 · 원효로4가 · 청암동
한강로동 용산동3가 · 용산동5가 · 한강로1가 · 한강로2가 · 한강로3가 }}}}}}}}}
용산구 행정동
보광동
普光洞 | Bogwang-dong
<colbgcolor=#004ea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용산구
행정표준코드 3020058
관할 법정동 보광동
하위 행정구역 25통 198반
면적 0.71㎢
인구 7,779명[1]
인구밀도 10,956.34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용산구

권영세 (5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2선거구

최유희 (초선)
용산구의원 | 마 선거구

권두성 (초선)

김형원 (초선)

이미재 (3선) }}}}}}}}}
행정복지센터 장문로 95 (보광동 217-32)
보광동 주민센터
용산구 법정동
보광동
普光洞 | Bogwang-dong
<colbgcolor=#004ea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용산구
행정표준코드 1117013600
관할 행정동 보광동
면적 0.71㎢
1. 개요2. 역사3. 상세4. 지리5. 교통
5.1. 도로5.2. 철도5.3. 버스
6. 주거
6.1. 공동주택
7. 상권8. 교육9. 주요 시설
9.1. 기관
10.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용산구 법정동이자 행정동. 용산구 동부에 위치하며, 법정동의 면적은 0.71㎢, 행정동으로서 관할하는 면적은 0.73㎢이다.

북쪽과 동쪽은 한남동에, 서쪽은 이태원동 동빙고동, 주성동에, 남쪽은 한강을 경계로 서초구 잠원동에 접하고 있다.

법정동 보광동과 행정동 보광동의 경계가 미묘하게 차이가 있기 때문에 면적에 약간 차이가 있다. 오산고등학교 일부 부지가 법정동으로는 주성동 소속인데, 법정동 보광동은 이 부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나, 행정동 보광동은 이 부지를 포함하고 있기에 0.02㎢의 차이가 난다.

2. 역사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삼국시대 ~ 후삼국시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475 고구려 북한산군(北漢山郡)
553 신라 신주(新州)
557 북한산주(北漢山州)
568 남천주(南川州)
604 한산정(漢山停)
660 한산주(漢山州)
757 한주 한양군(漢州 漢陽郡)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고려시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995 관내도 양주목(關內道 楊州牧)
1018 양광도 양주목(楊廣道 楊州牧)
1067 남경(南京)
? 양광도 양주목
1104 남경(南京)
1308 한양부(漢陽府)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조선시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395 경기좌도 양주군(京畿左道 楊州郡)
1397 경기좌도 양주부(京畿左道 楊州府)
1413 경기도 양주부(京畿道 楊州府)
1424 한성부 남부(漢城府 南部)
1751 한성부 남부 한강방 주성리계 보광리동
(漢城府 南部 漢江坊 鑄城里契 普光里洞)
1894 한성부 남서 한강방 주성리계 보광리동
(漢城府 南署 漢江坊 鑄城里契 普光里洞)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일제강점기 ~ 현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10. 10. 1. 경기도 경성부 남서 한강방 주성리계 보광리동
(京畿道 京城府 南署 漢江坊 鑄城里契 普光里洞)
1911. 4. 1. 경기도 경성부 한지면 보광리
(京畿道 京城府 漢芝面 普光里)
1914. 4. 1.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한강리
(京畿道 高陽郡 漢芝面 普光里)
1936. 4. 1. 경기도 경성부 보광정
(京畿道 京城府 普光町)
1943. 6. 10. 경기도 경성부 용산구 보광정
(京畿道 京城府 龍山區 普光町)
1946. 10. 9. 서울특별자유시 용산구 보광동
(서울特別自由市 龍山區 普光洞)
1949. 8. 15. 서울특별시 용산구 보광동
서울特別市 龍山區 普光洞
}}}}}}}}}

보광동의 동명은 신라 진흥왕 때의 보광국사(寶光國師)가 세운 사찰이 있었다는 데에서 유래했다. 이 절은 구한말까지 존재했지만 사라졌다고 한다.

고려 시대 초부터 구한말에 이르기까지 보광동 일대는 용산구 서부와는 다른 행정구역이었고, 성동구와 역사를 함께했다. 983년( 성종 2년) 전국에 12목을 설치할 때에 양주(楊州)에 편제되어 있다가, 1067년부터는 양주목이 남경으로 승격되었을 때 이에 속했다. 얼마 가지 않아 남경이 다시 양주목으로 격하되었으나, 1104년( 숙종 9년)에 다시 남경이 설치될 때에 그에 속해 쭉 유지되었다.

1395년( 조선 4년)에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할 때에 한양도성 내부만 한성부가 되고 그 외 지역은 모두 양주군에 속하게 했는데, 지금의 보광동 지역도 양주군에 속하게 되었다. 1424년( 세종 6년), 한양에서 떨어져 나온 지 29년이 지나서 다시 한성부 성저오리(城底五里)에 편입되어 남부에 예속되었다.

1721년( 영조 27년)에 행정구역의 변동이 있을 때에 지금의 한남동과 함께 신설 한강방(漢江坊)에 속하게 되었고, 주성동과 함께 주성리계(鑄城里契)에 예속되었다.

1911년 한강방과 둔지방(屯芝坊)[2]이 통합되어 경성부 한지면(漢芝面)이 될 때에 한지면에 예속되었다.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와 동년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로 경성부가 축소됨에 따라 경기도 고양군으로 편입되어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보광리가 되었다가, 1936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8호와 경기도고시 제32호에 의한 경성부 관할구역 확장에 따라 다시 경성부로 편입되어 경성부 보광정(寶光町)이 되었다.

현재는 산등성이로 모두 주택가가 들어차 알 수 없지만, 남산 아래서부터 보광동과 한남동의 경계가 되는 우사단길 일대의 능선까지 공동묘지가 들어차 있었다. 현재의 주택가는 1936년에 경성부가 확장하며 한남, 이태원, 보광동 일대에 새로운 택지지구를 조성하면서 생겨난 것이다.

1943년 6월 10일 조선총독부령 제163호로 구제를 실시하면서 용산구에 편제되었고, 광복 후인 1946년 10월 1일에 서울특별시 용산구 보광동이 되었다. 1947년 6월 서울특별시령 제2호로 현재의 행정동제의 전신인 동회제도가 실시되며 보광동회가 설치되었으나,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로 동회제도가 폐지되고 행정동제가 실시되며 보광동회는 없어지고 행정동 보광동이 설치되었다.

3. 상세

현재는 용산구에 편제되어 있으나, 한때는 지금의 용산역 일대의 구 용강면 지역과 달리 옥수동, 금호동과 함께 한지면에 소속되어 있던 적이 있을 정도로 생활권이 동떨어져 있다. 현재도 용산기지가 용산구의 중앙을 차지하여 동서로 양분되어 있는데, 보광동은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구용산, 신용산과는 달리 한남동, 이태원동과 한 생활권으로 묶이는 편이다.

4. 지리

대체적으로 북고남저의 지형으로, 남산에서 갈라져 나온 산줄기가 보광동 방면으로 구릉지를 이루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한강에 면하여 있다. 고지대인 남산과 저지대인 한강이 매우 가까이 붙어있는 지역이라 고저차가 상당한데, 흔히 산동네라 부르는 지역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동쪽의 능선을 경계로 한남동과 인접한다. 한남동으로 넘어가려면 큰 고개를 하나 지나가야 한다.

5. 교통

5.1. 도로

관내에 강변북로, 서빙고로, 보광로, 장문로가 지나고, 우사단로는 기점 부분만 보광동에 살짝 걸친다. 강변북로와 서빙고로는 간선도로의 역할을, 보광로, 장문로, 우사단로는 지선도로의 역할을 한다. 보광로와 우사단로는 남북 방향으로 나 있고, 나머지는 모두 동서 방향으로 보광동을 관통한다. 남북의 고저차가 상당하기 때문에 보광로와 우사단로는 엄청난 비탈길이다.

5.2. 철도

현재 보광동 관내에는 철도 교통이 전무하다. 한강변을 따라 경원선 철로가 지나고는 있지만, 지나고만 있을 뿐, 보광동 관내에 역이 없다. 신분당선 역시 보광동 관내를 지하로 통과할 예정이지만 보광동에 역이 생기지는 않을 예정인데, 이에 보광동 관내에 보광역(가칭)을 신설해 달라는 주민들의 요구가 있다. 생긴다면 오산고등학교 인근 사거리가 적당한 자리일 것이다.

파일:1000017275.png

도보로 이동 가능한 거리에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이 있어 주민들은 이태원역을 애용하는 편이다. 훗날 신분당선 동빙고역이 한강중학교 앞 교차로에 생길 예정인데, 보광동 남부에서는 이용이 편리하더라도 보광동 북부에서는 이용하기가 영 불편하다. 보광동의 가장 북부에 속하는 지역은 이태원역이 더 가깝다.

5.3. 버스

철도교통이 불편한 관계로 보광동 주민들은 버스를 많이 이용한다. 보통은 인근의 전철역까지 나가려고 버스를 탄다.

서울 버스 400, 서울 버스 405, 서울 버스 421이 보광로를 경유하는데, 길이 좁기도 하거니와 노상주차를 한 차들을 피해 곡예 운전을 해서 통과한다. 언덕길이다 보니 겨울에는 특히 위험하게 운행하는 편.
421번을 이용할 경우 강남 일대까지 제일 빠르게 갈 수 있으며, 400, 405번도 강남 일대를 지나가지만 한강진역으로 돌아서 간다. 400번을 이용할 경우 한남역에서 경의중앙선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용산역까지 갈 수 있다. 때문에 421, 400번은 거의 모든 시간대에 상, 하행선 모두 이용객이 많은 편이다. 405번은 이태원역이나 동을 방문할 때를 제외하고는 보광동 주민들의 이용 횟수는 나머지 두 노선보다 매우 적다. 출근시간대에도 한산한 이용이 가능할 정도.

서울 버스 2016 서울 버스 6211, 공항버스 6030 서빙고로를 경유하고, 서울 버스 용산01은 거의 보광동 경계를 따라서 보광동을 한 바퀴 빙 도는 노선이다.

6. 주거

주거 환경이 조금 열악한 편이다. 산등성이로 빌라와 다세대주택들이 난립해 있으며, 대체로 노후한 주택들이 많다. 현재는 한남뉴타운으로 함께 묶여서 재개발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데, 한남뉴타운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한남3구역만 한남동에 걸치며, 나머지 구역은 이태원동과 보광동에 걸쳐 있다. 게다가 한남3구역의 절반은 또 보광동에 걸쳐 있다.

한남뉴타운이 모두 들어서면 보광동 일대도 한남동 못지 않은 고급 택지로 변모하게 된다. 한남3구역은 디에이치 한남으로 계획이 확정되어 사업시행인가만을 앞두고 있는데, 보광로 동측에 들어서게 된다. 공사비만 7조가 들어가는 대공사로, 이 단지가 들어서게 되면 우사단길과 도깨비시장은 사라질 예정이며, 대신 단지 내에 현대백화점 한남점이 들어설 예정이다.

한남3구역 북쪽은 한남2구역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태원동과 보광동에 걸친 구역이고, 한남4구역은 보광동의 서남쪽에 한강을 끼고 세워지는 구역이다. 신동아아파트도 한남4구역 내에 들어가는데, 신동아아파트를 철거하고 통합 재개발을 할 예정이다.

6.1. 공동주택

주택명 건설사 입주 동수 세대수
신동아아파트 신동아건설 1992. 09. 19. 2 226
리버빌아파트 삼성중공업 2000. 10. 31. 2 242
주미아파트 삼성물산 1973. 01. 31. 1 54

7. 상권

이 지역의 주간선도로인 한남대로 이태원로에서 살짝 비껴난 지역에 있어서 한남동이나 이태원동과는 달리 한적한 지역이다. 보광동 관내의 소상권은 보광로를 따라 나 있으며 보광시장도 보광로 연선에 있다. 이외에 우사단길, 도깨비시장이 있는데, 현재는 모두 쇠락한 상태이며, 이태원로를 끼고 형성된 상권에 의지하고 있다.

8. 교육

서울보광초등학교는 이름과 달리 보광동이 아닌 이태원동에 있다. 다만 보광동과 가까워서 보광동 거주 학생들도 많이 통학하고 있다.

중고등학교는 오산중학교 오산고등학교가 있으나, 이 학교들 모두 같은 재단의 남자중학교/ 남자고등학교라서 여학생들은 멀리 보성여자중학교 보성여자고등학교로 통학한다.

한국폴리텍대학 서울정수캠퍼스가 보광동에 있다. 본래 서울정수기능대학이었던 곳을 한국폴리텍대학이 인수해서 한국폴리텍대학 서울정수캠퍼스가 되었다.

9. 주요 시설

9.1. 기관

  • 보광동주민센터

10. 출신 인물


[1] 2024년 5월 주민등록인구 [2] 이태원동, 용산동 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