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06:50:15

양주시/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양주시
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행정구역 변천사
양주부
(楊州府, 1397)
양주목
(楊州牧, 1466)
양주군
(楊州郡, 1895)
양주시
(楊州市, 2003)
1. 고대2. 고려3. 조선
3.1. 구한말 행정구역
4. 일제강점기5. 대한민국6. 관련 문서

1. 고대

광개토대왕의 백제 정벌로 한강 이북이 처음 고구려의 수중으로 들어왔으며, 본디 한강 북쪽 땅 일대는 고구려 장수왕이 남하하면서 한성을 백제로부터 빼앗은 후 한산군을 두었는데, 이때 지금의 양주, 의정부 지역에는 매성군(買省郡), 혹은 창화군(昌化郡)을 두었다. 이후 통일신라 경덕왕 때 매성군을 내소군(來蘇郡)으로 개편했다. 지금의 동두천 지역은 삼국시대 내을매현, 사천현이었다. 지금의 남양주 진접, 진건, 오남은 골의노현(骨衣奴縣), 지금의 고양시 일대는 달을성현, 개백현(皆伯縣)이었다.

한편 지금의 서울 강북 일대와 구리, 남양주 상당지역은 북한산군이었다가 통일신라 경덕왕 대에 한양군으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골의노현(남양주 진접, 진건, 오남)은 같은 시기에 황양현으로 개편되었다.

2. 고려

태조 때 내소군은 견주군(見州郡)으로, 한양군은 양주로 바뀌었다. 양주와 견주는 경주에서 평양으로 향하는 교통의 요지에 자리잡고 있었다.

983년( 성종(고려) 2년)에 처음으로 12목을 두었는데, 이 때 양주목(楊州牧)을 두었다. 지금의 양주, 남양주, 고양 일대가 한양군을 중심으로 한 행정구역인 양주목이란 이름 아래로 들어가게 되었다. 경기 북부권(지금의 서울 강북지역 포함) 고을들이 이렇게 개편되면서 양주라는 지명이 생긴 것이다.

양주라는 지명은 1018년 경기도가 경기라는 지명이 부여되었을 때부터 고려시대의 임금 현종"이 지역은 버드나무가 무성히 자랐다" 라는 의미로 '버들고을' 이라고 부르면서 '양주(楊州)' 라고 지명을 정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양주' 라는 지명을 사용한 역사를 보면 1000년은 훨씬 넘어간 셈이다. #

이렇게 1018년( 현종(고려) 9년) 12목이 8목으로 개편되고 (道)제가 실시되었다. 교통로가 개경 중심으로 바뀌면서 점차 쇠퇴하게 된 탓에 견주는 견주현으로 격하되었고 양광도에 소속되었다. 양광도의 '양'이 바로 양주목이다. '광'은 광주목.

1067년( 문종(고려) 21년) 양주의 중심지에 부수도인 남경이 설치되었다.

고려 시대까지 양주의 중심지는 쭉 현 서울특별시 광진구 일대였다.[1] 고려 초기만 해도 현 서울특별시 강북 전역( 사대문안과 옛 성저십리 지역 포함)과 고양시 일대까지도 양주 영토였다. 단, 이때의 양주는 한양군, 견주군, 풍양현, 행주현 등과 같은 경기 북부권 고을들이 '양주목'이라는 이름으로 느슨하게 통합된 것으로 봐야 한다.

다만 지금의 용산구 일대는 당시에는 과주(지금의 과천시) 소속인 용산처였다가 부원현으로 승격되어 남경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현 고양시 일대였던 고봉현과 행주현(별명 덕양현)은 양주군의 속현이었고, 지금의 서울 강북 일부(사대문안과 용산, 신촌 일대)[2] 남경으로 승격되면서 분리되었다.

사실 엄밀히 말하자면, 남경이 양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것까지는 아니고, 남경을 제외한 양주 지역의 현에 별도로 '감무'[3]란 관리를 파견하는 형식으로 구분하는 형태가 된 수준이었다. 하지만 숙종 시기에는 남경 근처의 풍양현(남양주 진접), 견주(양주, 의정부), 사천현(동두천)까지 직할로 두어 남경의 범위가 더 넓혀지기도 했다.

3. 조선

조선이 건국하여 1395년 한성부의 경계가 획정되자 오늘날의 서울 강북 나머지 지역(노원, 도봉, 광진, 중랑 제외)[4]이 한성부 성저십리로 편입되어 양주군에서 분리되었고, 1397년 읍치 이전과 함께 양주를 군에서 부로 승격시켰다. 본디 지금의 서울 광장동 지역에 있던 양주 읍치가 옛 견주 자리로 이전되면서 이웃 행정구역이 분리되기 전까지 존재하던 옛 양주목의 면모가 갖추어지게 되었다. 태종시기인 1413년(태종 13년)에 양주도호부가 되었으며, 세조 시기인 1466년(세조 12년) 진(鎭)을 설치하고 양주부를 다시 목으로 승격시킴 #에 따라 이후 4백여 년간 양주는 정3품 목사가 다스리는 큰 고을이 되었다.

1519년에 화진리(禾津里, 현 연천군 군남면 남계리·황지리 일대)를 마전군에 이관했다.

양주 읍치의 이동 과정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통설은 김정호의 <대동지지>에 따라 한양부(고려) → 아차산성( 태조 3년) → 양주시 고읍동(태조 6년) → 옛 견주 자리 = 현재 양주관아지( 중종)로 보고 있으나, 문제는 중종 대에 증보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양주 읍치를 옮겼다는 기록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중종 대에 읍치를 옮겼다는 기록은 김정호 이전에는 보이지 않는다. 즉 이것은 김정호의 독자적인 해석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디 아차산성에 양주의 읍치가 있었으나 남경이 생기면서 지금의 서울 광장동 지역으로 읍치가 이동했고, 태조 3년에 한양 천도로 인해 양주시 고읍동으로 읍치가 이전되었다가 태조 6년에 옮긴 것이 현재의 양주관아(양주시 유양동 소재)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

당시의 양주목은 지금의 양주시 지역 대부분( 남면 제외)을 비롯하여 서울 노원구, 도봉구, 중랑구, 광진구(당시 양주 남면 고읍 / 구읍 → 양주군 고양주면 지역), 성동구 성수동1가·성수동2가· 송정동, 송파구 잠실동· 신천동[5], 동대문구 장안동 구리시, 남양주시 대부분(수동면 입석리·내방리·외방리, 조안면, 와부읍 팔당리 제외), 의정부시, 동두천시( 탑동동 제외)에 파주시 광탄면 기산리·영장리, 은평구 진관동 불광동 북쪽 일부에 고양시 덕양구 ( 행정동) 효자동· 삼송동을 모두 관할하는 거대한 행정구역이었다. 게다가 현재 연천군 전곡읍(늘목리 제외), 청산면 포천시 신북면 남청산 지역도 각각 영근면(嶺斤面), 청송면(靑松面), 산내면(山內面)으로 양주 관할이라, 남쪽으로 서울 잠실동 일대부터 북쪽으로 연천군 전곡읍까지, 동쪽으로 팔당호부터 서쪽으로 벽제관까지 모두 한 행정구역이었다.

이후 1895년 갑오개혁에서 부, 목, 군, 현을 부, 군으로 간략화하는 행정개편이 이루어짐에 따라 양주목 역시 양주군으로 재편되었다. 또한 현재의 중곡동 등 고양주면 일부가 한성부 두모방에 편입되었다. 1906년 현재의 조안면 지역에 해당되는 초부면(草阜面, 다산 정약용의 고향)을 광주군으로부터 편입하였고 대신 현재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해당되는 신혈면(神穴面)이 고양군에 편입되었다. 동시기에 청송면(현재 연천군 청산면), 산내면(현 포천시 신북면 남청산 지역)도 포천군에 편입되었다.

3.1. 구한말 행정구역

  • 건천면(乾川面)
    1914년에 진관면과 진건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 남양주시 진건읍 오남읍의 일부.
  • 고주내면(古州內面)
    옛 견주현 중심지. 1914년에 주내면으로 통합되었고, 2001년에 양주시 승격과 동시에 분동되어 폐지되었다. 양주2동 문단 참고.
  • 고양주면(古楊州面)
    고려시대까지 양주 관아가 있었던 곳이며, 1914년에 둑도면으로 통합하여 고양군에 편입되어 나간 곳이다. 조선후기 기준 현재의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구의동·군자동·능동·자양동·중곡동·화양동, 중랑구 남부 지역인 중랑구 면목동, 성동구 성수동·송정동, 송파구 잠실동·신천동 일대에 해당한다.
  • 구지면(九旨面)
    1914년에 구리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의 경기도 구리시( 갈매동 제외) 일대에 해당한다.
  • 금촌면(金村面)
    1914년에 미금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의 남양주시 일부(금곡동, 일패동, 이패동, 삼패동).
  • 내동면(內東面)
    1914년에 별내면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1980년 남양주가 양주에서 분리되면서 옛 내동면 지역이 의정부시에 이관되었기에 현재의 경기도 의정부시 고산동·산곡동에 해당한다.
  • 독음면(禿音面) → 미음면(渼陰面)
    1914년에 미금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동 지역(다산동 대부분)과 구리시 토평동 일부(돌섬마을).
  • 둔야면(屯野面)
    1914년에 사잇말, 조암동(鳥岩洞)을 제외하고 시둔면으로 통폐합되었다. 현재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의정부동·장암동·호원동과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북부 일대에 해당한다.
  • 망우리면(忘憂里面)
    1914년에 구지면과 구리면으로 통합되었으나 1962년 12월에 동대문구에 편입되었다 중랑구로 떨어져 나왔다. 현재 서울특별시 중랑구(면목동 제외, 묵동, 중화동, 신내동, 망우동, 상봉동) 북부 지역이다.[6]
  • 묵은면(墨隱面)
    1914년에 은현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 양주시 은현면 중 하패리를 제외한 지역이다.
  • 별비곡면/별비면(別非谷面/別非面)
    1914년에 별내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자연마을 불암동 제외), 별내면, 퇴계원읍 및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일부( 행정동 상계3·4동 일대)에 해당한다.
  • 산내면(山內面)
    현재의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남청산 지역에 해당한다. 1906년 포천군에 편입되어 나간 곳이며 1914년에 청산면으로 통합되었지만 1983년에 포천군 신북면에 분할 편입되었다.
  • 상도면(上道面)
    1914년에 하도면과 같이 화도면으로 통합되었으나 일부는 미금면으로 넘어갔다. 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일부와 호평.평내동 일부.
  • 시북면(柴北面)
    1914년에 시둔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 의정부시 일부.(녹양동, 가능동, 자일동, 금오동 등)
  • 신혈면(神穴面)
    1906년에 고양군으로 넘어갔다. 현재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
  • 어등산면(於等山面)
    1914년에 회천면으로 통합된 3개 면 중 하나로 현재 회천1동 영역과 대략 일치한다.
  • 영근면(永斤面)
    현재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으로, 1914년에 연천군에 편입되었다.
  • 와공면(瓦孔面)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1914년에 초부면과 합쳐져 와부면이 되었다가 옛 초부면 일대가 조안면으로 떨어져나가 지금에 이른다.
  • 읍내면(邑內面)
    1914년 고주내면과 함께 주내면으로 통합되었다가 양주시 승격과 함께 폐지되었다. 현재 행정동 양주1동과 일치한다.
  • 이담면(伊淡面)
    현재 경기도 동두천시 걸산동·광암동·동두천동·보산동·상봉암동·생연동·송내동·안흥동·지행동·하봉암동 일대에 해당한다. 1963년에 동두천읍(東斗川邑)으로 승격되었으며, 1973년에 포천군 포천면 탑동리가 동두천읍에 편입되었으며, 1981년에 동두천시로 승격, 분리되었다.
  • 접동면()
    1914년에 진벌면과 진접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 남양주시 진접읍 일대.
  • 진관면()
    1914년에 건천면과 통합하였고 현재 남양주시 진건읍이다.
  • 진벌면()
    1914년에 접동면과 진접면으로 통합되었다. 여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일대.
  • 천천면(泉川面)
    1914년에 회천면으로 통합된 3개 면 중 하나로 현재 행정동 회천2, 3동 영역과 대략 일치한다.
  • 청송면(靑松面)
    1906년 포천군에 편입되어 나간 곳이며 1914년에 산내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의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에 해당한다.
  • 초부면(草阜面)
    1906년 광주군에서 편입되고 팔당리를 와공면에 넘긴 뒤 1914년 와부면으로 합쳐졌었다가 1986년 다시 분리되었다. 현재 남양주시 조안면이다.[7]
  • 하도면(下道面)
    1914년에 상도면과 같이 화도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및 평내호평동 일부.
  • 해등촌면(海登村面)
    1914년에 노원면과 노해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 서울특별시 도봉구[8] 강북구 우이동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 현내면(縣內面)
    1914년에 은현면으로 통합되었다. 현재의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 동두천시 상패동 일대에 해당한다.
  • 회암면(檜岩面)
    1914년에 회천면으로 통합된 3개 면 중 하나로 현재 행정동 옥정1, 2동과 일치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4. 일제강점기

1914년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부군면 통폐합 과정에서 고양주면이 고양군 뚝도면으로 편입되었고, 영근면(현 전곡읍)이 연천군으로 편입되었다. 그리고 시북면과 둔야면이 시둔면으로,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전신인 해등촌면과 노원구의 전신인 노원면(갈매리 제외)이 노해면으로, 구지면(현 구리시)과 노원면 갈매리와 망우리면(현 중랑구)이 구리면으로, 미음면과 금촌면이 미금면으로, 와공면과 초부면이 와부면으로 통합되었다. 이와 함께 고주내면(고읍동, 광사동, 만송동, 삼숭동)과 읍내면(남방동, 마전동, 산북동, 어둔동, 유양동)을 합쳐 주내면으로 바뀐 것 역시 1914년의 일이다.

1914년 4월 1일에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인해 회암면, 천천면, 어등산면을 합쳐 회천면이 만들어졌다.

1922년 주내면 유양리(현재의 유양동)에 있던 군청사가 시둔면(현 의정부시)으로 이전하였다.[9] 1938년 시둔면이 양주면으로 개칭되고[10], 1942년 양주면이 의정부읍으로 승격되었다.

5. 대한민국

1946년 2월 파주군 남면[11]을 편입하여 1읍 16개 면이 되어 관할 구역이 더 넓어졌다.

1962년 6월 18일에 회천면사무소가 고암리에서 덕정리로 옮겨졌다.

1962년 12월 11일에 노해면과 구리면 5개 리(舊 망우리면 지역)를 서울특별시에 넘겨주었다.[12]

1963년 1월 1일에 이담면이 동두천읍으로 승격되고 화도면 지둔리·운수리·송천리 3개 리, 진접면 수산리 1개 리와 가평군 외서면 내방리·외방리·입석리 3개 리를 합쳐 수동면이 신설되었다. 그 외에도 군의 중심부였던 의정부읍이 의정부시로 승격하여 분리되면서 양주군은 의정부시를 사이에 두고 북부와 남부로 관할구역이 분리되었다.[13]

1973년 구리면이 구리읍으로 승격되었고, 포천군 포천면 탑동리가 동두천읍으로 편입되었다. 1979년 미금면이 미금읍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1980년 4월 남부에 해당되는 구리· 미금읍, 별내[14]·진접·수동·화도·진건·와부면의 2읍 6면을 통째로 남양주군으로 신설하여 분리시켰다. 1981년 7월에는 북쪽의 동두천읍이 동두천시로 승격, 분리되면서 현재의 지역으로 축소되었다. 그 후 1983년 2월 은현면 상패리가 동두천시로, 백석면 기산리와 영장리가 파주군 광탄면으로 편입되었다.

1985년 10월 1일 회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7년 1월 파주군 광탄면 기산리 일부(기산저수지 일대)가 다시 백석면으로 환원되었다.

1996년 2월 12일 덕계동과 회정동의 인구 증가로 덕계출장소를 설치하였다. 이 자리는 현재 2014년 3월에 옮겨진 회천2동 행정복지센터(회천2동 복합청사)가 되었다.

2000년 10월 1일 양주군청사가 의정부 시내[15]에서 주내면 남방리 1-1로 옮김에 따라, 주내면이 양주읍으로 승격하였다. 2001년 10월에는 백석면이 백석읍으로 승격되었다.

2003년 10월 19일 포천시와 함께 시로 승격, 양주읍과 회천읍은 폐지되어 행정동으로 분동되고, 그 아래의 리는 법정동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주내역(現 양주역), 덕정역까지 개통되었으며 2007년 12월 28일 덕계역이 신설되었다. 그리고 2016년 12월 15일에는 의정부-소요산 구간의 개통이 10주년을 맞았다.

2013년 10월 19일에 시 승격 10주년을 맞았다. 또한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포천선 양주 구간이 2016년 2월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여 7호선을 유치할 수 있게 되었다.

2023년 10월 19일에 시 승격 20주년을 맞았다.

6. 관련 문서


[1] 삼국시대 고구려에서 세운 아차산성이 내소군의 중심지였고, 한강을 마주보며 백제의 수도 하남위례성과 마주보며 대치하는 구도였다. 이것이 고려 때 양주 소속이었던 현재 서울 구도심 일대에 남경을 세웠고, 남경이 독립적인 행정구역으로 떨어져 나간 이후에도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조선 시대에 양주의 치소가 지금의 양주시 쪽으로 이동한 뒤부터 광진구 일대(+ 중랑구 면목동), 성동구 일부( 중랑천 동부), 당시에는 섬이었던 잠실 일대를 '고양주면(古楊州面)'이란 행정구역으로 불러왔다. [2] 남경의 관할구역이 지금의 구리시, 남양주시 삼패동까지였다는 설도 있다. [3] 후에 조선의 지방관인 현감으로 이어지는데 똑같이 현에 파견되던 수령인 현령보다 격이 낮았다. [4] 광진구 서부와 중랑구 면목동이 한성부 두모방에 편입된 것은 구한말의 일이다. [5] 사실 잠실지역은 여의도처럼 한강 한가운데 섬이였고 과거에는 섬의 북쪽을 흐르는 강보다 남쪽을 흐르는 강이 더 넓었기 때문에 잠실이 양주군에 속하는 것이 지리적으로도 맞다. 잠실이 지금처럼 된 것은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물줄기가 바뀌어 섬의 북쪽이 더 넓은 강으로 되었고, 결정적으로 1970년대 잠실개발 당시 남쪽의 지류는 매립해서 탄천, 성내천, 석촌호수라는 흔적만 남기고 없어졌기 때문. 1895년에 고양주면 일부인 현 뚝섬-성수동-, 장안동, 광진구 서부가 한성부 남서 두모방에 편입되었다. [6] 면목동만 고양주면 출신이라서, 현 중랑구의 먼 전신이라고 봐도 관계없긴 하다. [7] 다만 당시 경계와 완전히 들어맞지는 않고 다른 읍면 소속이었던 리가 껴 있긴 하다. [8] 대부분의 영역이 일치하여 현재의 도봉구의 전신이라고 봐도 무방한 정도이다. [9] 舊 양주군청은 의정부시 의정부1동 부대찌개거리 근처에 있었으며, 현재 그 위치에 한라비발디루트 주상복합아파트가 들어섰다. [10] 양주목의 역사적 중심지였던 주내면(훗날의 양주읍→양주동) 대신, 의정부 지역에 '양주'라는 명칭을 부여한 것이다. 양주군청을 의정부로 이전했기 때문에 이렇게 명명했던 것으로 보인다. [11] 원래 적성군 소속이었다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연천군에 합쳐졌고 1945년 해방 직후 파주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년만에 다시 양주군으로 편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면명을 바꾸지 않아 양주 최북단임에도 남면이라는 요상한 상황이 된 것이다. [12] 서울特別市·道·郡·區의管轄區域變更에關한法律(서울특별시·도·군·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법률 제1172호, 1962.11.21. 공포)
大韓民國憲法第5號(대한민국 헌법 제5호, 1960.11.29. 일부 개정)
公布式令(공포식령, 대통령령 제429호, 1950.12.30. 일부 개정 · 공포)
[13] 이 때문에 양주군청은 의정부시에 위치해야 했으며, 남양주군이 분리되고도 20년을 더 양주군청이 의정부에 있는 상황을 거쳐 2000년 현 위치에 새 군청을 지어 이전했다. [14] 숯돌고개 너머에 있던 고산리 산곡리 제외, 두 리는 의정부시에 편입되었다. [15] 의정부시 의정부동 220-110번지(현 의정부경전철 의정부중앙역 한라비발디루트 아파트)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