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10:14:22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마이크론(기업)에서 넘어옴
파일:세계 지도_White.svg 주요 반도체 제조 업체 (매출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시스템 ]⠀
{{{#!wiki style="margin: -5px 0;"
시스템 <rowcolor=#000,#e5e5e5>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파일:인텔 로고.svg 파일:인텔 로고 화이트.svg 파일:퀄컴 로고.svg 파일:NVIDIA 로고 가로형.svg 파일:NVIDIA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브로드컴 로고.svg 파일:브로드컴 로고 화이트.svg 파일:미디어텍 로고.svg 파일:AMD 로고.svg 파일:AMD 로고 화이트.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낸드플래시 ]⠀
{{{#!wiki style="margin: -5px 0;"
메모리
낸드​플래시
<rowcolor=#000,#e5e5e5>1위 (36.6%) 2위 (21.6%) 3위 (14.5%) 4위 (12.6%)
파일:삼성 워드마크.svg 파일:SK하이닉스 로고.svg 파일:Western_Digital_logo_(2022).svg 파일:Western_Digital_logo_(2022)_white.svg 파일:키오시아 로고.png 파일:키오시아 로고 화이트.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D램 ]⠀
{{{#!wiki style="margin: -5px 0;"
메모리
D램
<rowcolor=#000,#e5e5e5>1위 (45.5%) 2위 (31.8%) 3위 (19.2%)
파일:삼성 워드마크.svg 파일:SK하이닉스 로고.svg 파일:micron-logo-2024-블랙.svg 파일:micron-logo-2024-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파운드리 ]⠀
{{{#!wiki style="margin: -5px 0;"
파운드리 <rowcolor=#000,#e5e5e5>1위 2위 3위 4위 5위
파일:TSMC 로고.svg 파일: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 로고.png 파일:글로벌파운드리 로고.svg 파일:UMC 로고.svg 파일:SMIC-Emblem.pn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HBM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HBM <rowcolor=#000,#e5e5e5>1위 (55%) 2위 (42%) 3위 (3%)
파일:SK하이닉스 로고.svg 파일:삼성 워드마크.svg 파일:micron-logo-2024-블랙.svg 파일:micron-logo-2024-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

종합 반도체 제조 회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3em"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삼성 워드마크.svg 파일:SK하이닉스 로고.svg 파일:동부하이텍 로고.jpg 파일:Magnachip_black.svg 파일:Magnachip_white.svg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도시바 로고.svg 파일:소니 로고.svg 파일:소니 로고 화이트.svg 파일:ROHM 로고.webp 파일:르네사스 로고.svg
파일:Asahi Kasei Microdevices 로고.png 파일:키오시아 로고.png 파일:키오시아 로고 화이트.pn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인텔 로고.svg 파일:인텔 로고 화이트.svg 파일:micron-logo-2024-블랙.svg 파일:micron-logo-2024-화이트.svg 파일:Western_Digital_logo_(2022).svg 파일:Western_Digital_logo_(2022)_white.svg 파일: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로고.svg 파일: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온세미컨덕터 로고.svg 파일:온세미컨덕터 흰색 로고.svg 파일:Analog Devices 로고.png 파일: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로고.svg 파일: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로고 화이트.svg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칭화유니그룹.jpg 파일:창신메모리_로고.svg 파일:푸젠진화 로고.jpg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himax 로고.png 파일:VIA 로고.svg 파일:난야 테크놀로지 로고.png
[[유럽연합|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STMicroelectronics 로고.svg 파일:STMicroelectronics 로고 화이트.svg 파일:NXP반도체 로고.svg 파일:보쉬 로고 가로형.svg 파일:보쉬 로고 화이트.svg 파일:인피니언 로고.svg
}}}}}}}}} ||

<colbgcolor=#104076><colcolor=#ffffff> Micron Technology, Inc.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파일:micron-logo-2024-블랙.svg 파일:micron-logo-2024-화이트.svg
설립 1978년 10월 5일
국가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창업자 워드 파킨슨(Ward Parkinson)
조 파킨슨(Joe Parkinson)
데니스 윌슨(Dennis Wilson)
더그 피트먼(Doug Pitman)
이사회
의장
로버트 스위츠
경영진
CEO
산자이 메로트라 (2017년 5월~ )
CFO
마크 머피 (2022년 4월~ )
산업 반도체
제품 DRAM, 플래시 메모리
편입 지수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장 거래소 나스닥 ( MU)
시가 총액 1,248억 달러 (2024년 4월)
부채 218억 4,800만 달러 (2024년 2월)
자본 438억 7,000만 달러 (2024년 2월)
매출 155억 4,000만 달러 (2023년 연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DRAM
109억 7,800만 달러
NAND
42억 600만 달러
기타
[1] 3억 5,600만 달러
}}}}}}}}}
영업 이익 -48억 6,200만 달러 (2023년 연결)
임직원 약 43,000명 (2023년 8월)
법인 델라웨어
본사 아이다호 보이시[2]
홈페이지 파일:micron-logo-2024-블랙.svg 파일:micron-logo-2024-화이트.svg
1. 개요2. 역사3. 지배구조4. 제조 시설5. 제품군

[clearfix]

1. 개요

DRAM 플래시 메모리를 생산하는 미국의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 일반 소비자 대상으로는 Crucial이라는 상표로 DRAM, SD카드 SSD를 판매한다. 2023년 2분기 기준 NAND 점유율 5위(13%)[3]DRAM 점유율 3위(26%) 기업이다.[4]

2. 역사

1978년에 워드 파킨슨, 조 파킨슨, 데니스 윌슨, 더그 피트먼의 4명의 공동 창업자가 아이다호 주의 보이시에서 설립했다. 이들은 아이다호 지역의 부호들에게서 창업 자금을 투자 받았다.

1981년 첫 번째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장을 버지니아에 완공해 64kbit DRAM을 생산했다.

1984년 두 번째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장을 완공해 여기서 256kbit DRAM의 생산을 시작했다.

1983년부터 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NEC, 히타치, 도시바, 미쓰비시전기 등의 일본 기업들이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된 저가공세식 치킨게임을 통해 시장을 장악하면서, 덤핑에 견디지 못한 수많은 미국 반도체 기업들이 메모리 반도체 사업을 포기하게 되었다. 이 당시 메모리 반도체 사업을 포기한 대표적인 미국 반도체 기업은 인텔이 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반덤핑 상계 관세와 미일 반도체 협정을 통해서 적극 개입함으로써 메모리 반도체 전문 기업이었던 마이크론은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

1998년 6월 18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메모리 반도체 사업 부문을 인수했다.

2001년 12월 18일 도시바에서 DRAM 사업 부문을 인수하면서 싱가포르, 일본 등 전 세계에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장을 가진 업체로 성장하게 되었다.

2006년 Lexar를 인수해 해당 브랜드의 USB SD카드를 판매했다.

2007년 메모리 반도체 치킨게임과 2008년 세계금융위기, 2011년 도호쿠 대지진을 거치면서 일본 최후의 DRAM 제조 기업이었던 엘피다 메모리가 4천억엔이라는 막대한 부채를 떠안고 파산하자, 이를 2천억엔에 인수해 몸집을 키웠다. 엘피다 메모리는 이후 마이크론 메모리 재팬이라는 마이크론의 자회사가 됐으며, DRAM 생산 공장은 히로시마, 설계센터는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에 위치해있다.

이렇게 2010년대 초반까지 이어졌던 불안정한 DRAM 시장환경을 견뎌내고 삼성전자 - SK하이닉스와 더불어 빅3로 남을 수 있었다. 다만 주로 경쟁사들, 그것도 엄밀히 말해 도산 직전의 공장들을 넘겨받으며 몸집을 불려온 기업이다보니 안정적인 설비투자를 위해 필요한 체력이 떨어진다는 평이 많았다. 실제로 일본 엘피다[5]를 인수하면서 DRAM 업계 2위로 반등, 한때 삼성전자를 추격하려고까지 시도했지만 2015년에 SK하이닉스에게 도로 자리를 헌납하고 3위로 복귀하였다. 그 이유 중 하나로 엘피다는 망하기 직전까지도 이런저런 일을 벌이면서 공격적인 투자를 멈추지 않았는데, 이때 일본정부의 주선으로 은행권에서 끌어다 쓴 수천억엔의 빚이 있었다. 마이크론이 엘피다를 인수할 때 이 부채까지 떠안으면서 그걸 갚는데만 수 년이 소요된 것이다.[6]

2015년 중국의 칭화유니그룹이 마이크론을 인수하려한다는 보도가 나와 이제 중국이 메모리 시장도 장악하는 것 아니냐는 소리가 나왔지만 미국 정부에서 매각을 불허하여 해프닝으로 끝났다. # 이후 칭화의 협력사였던 대만의 UMC가 마이크론에게 기술 탈취로 소송당하는 일이 벌어져 아이러니하게도 칭화의 인수 시도로 인해 중국의 DRAM 굴기가 크게 늦춰지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메모리 시장의 호황으로 2016년 세계 반도체 시장 7위에서 2017년 4위로 올라서게 되었다. 이때 전년에 비해 80% 증가한 228억 달러의 영업이익을 냈다.

2017년 중국의 롱시스(Longsys)에 과거에 인수했던 Lexar의 제품군과 생산 시설을 매각했다.

2017년 5월, 샌디스크 공동창업자이며 웨스턴 디지털에게 인수당하기 전까지 CEO로 근무했던 산자이 메로트라를 신임 CEO로 영입했다.

2022년 9월 본사가 위치한 아이다호 주 보이시에 150억달러를 투자해서 DRAM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2023년 10월 착공에 돌입한 이후 2025년 가동 및 2026년 양산 예정이다. # 여태껏 아이다호 주에는 양산 공장은 없었고 제조공정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범 라인이 하나 있을 뿐이었는데 엄청난 규모의 공장이 무려 창업 반세기만에 본사 곁에 들어서게 되었다.

2022년 10월에는 뉴욕주 오논다가 카운티 클레이에 향후 20년간 무려 1,000억 달러를 투자하여 2024년부터 대규모 DRAM 공장을 설립하겠다고 발표하였다. # # 2024년 착공 예정이다. 2022년 들어 창사 이래 최대규모의 투자가[7] 그것도 미국 본토에 이어지고 있어 매우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업계에서는 나오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수요 약화로 인해 판매단가가 하락하며, 매출총이익률이 급감하여 2023년 1분기부로 적자 전환되었다.

2023년 8월 18일, CHIPS법에 의한 앞선 두 공장의 보조금 및 저리대출 신청서를 제출했다.

2023년 12월 20일 회계년도 2024년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컨센선스를 상회하는 재무정보와 긍정적인 2024년 가이던스를 제공하면서, 시간외거래에서 5% 가까이 급등했다. 2024년 설비투자액은 최대 80억 달러로 전년도 대비 소폭 높은 액수다. HBM3E 샘플 배송이 시작되었으며, NVIDIA GH200 인증의 마무리 절차를 짓고 있다며 강조했다. 또한 2025년에는 역대 최고 퍼포먼스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2024년 1월 4일 미국 상무부는 마이크론의 콜로라도, 오리건 공장에 각각 9,000만달러와 7,200만 달러의 인센티브를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투입된 자금의 상당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제작에 쓰일 예정이다.

2024년 4월 25일 바이든 행정부는 칩스법의 일환으로 마이크론이 61억 4,000만 달러 보조금과 75억 달러 저금리대출을 제공받는다는 소식을 알렸다. 이는 인텔 파운드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8] 2022년에 발표한 20년 간 1,000억 달러 규모 투자는 1,200억 달러 수준으로 인상되었다. 뉴욕주 시라큐스에 메모리 공장 두 곳을 2029년까지 생산에 돌입시키고, 아이다호에 있는 기존 R&D 공장을 2026년까지 확장 후 가동시킨다. 백악관은 이번 투자건으로 7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3. 지배구조

<rowcolor=#ffffff> 주주명 지분율
뱅가드그룹 8.3%
블랙록 7.8%
캐피탈 그룹 5.9%
<rowcolor=#ffffff> 2023년 11월 기준 #

4. 제조 시설

<rowcolor=#ffffff> 위치 용도 자산가치
(USD)
아이다호 보이시 연구개발
웨이퍼 제조
마스크 제조
52억
버몬트 매나사스
대만 타오위안 연구개발
웨이퍼 제조
조립 및 테스트
129억
대만 하이청
싱가포르 113억
일본 히로시마 연구개발
웨이퍼 제조
73억
말레이시아 무아르 조립 및 테스트 3억
말레이시아 풀라우피낭
중국 시안 4억
<rowcolor=#ffffff> 2023년 8월 기준 #

뉴욕주 오논다가 카운티 클레이에 DRAM 공장이 건설 될 예정이며, 인도에 조립 및 테스트 시설을 도입할 예정이다.

5. 제품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제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NOR,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의 제품군. [2] 도시 내 가장 큰 민간 분야 고용기업이다. 한국 지사는 삼성역 글라스타워에 위치하고 있다. [3] 순서는 삼성전자 31.1%, 키오시아 19.6%, SK하이닉스 17.8%, 웨스턴 디지털 14.7%,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13.0% 순으로 나머지는 점유율이 무의미할 정도로 낮다. # [4] 순서는 삼성전자 39.6%, SK하이닉스 30.1%,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25.8%, 기타 순이다. # [5] 법정관리에 들어갈 무렵 매출기준 세계 3위였다. 물론 이 당시 기록적인 엔고였다는 것을 감안할 필요가 있지만 엘피다는 일본의 내수 DRAM 시장의 거의 대부분을 석권하였으며 히로시마 공장 역시 당시 기준으로는 상당한 규모였다. [6] 여담이지만 엘피다 인수전에는 SK하이닉스도 참여하였고, 마이크론과 최종 입찰경쟁자로 남을 정도로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SK하이닉스는 엘피다 실사를 해보고는 이게 거대한 폭탄돌리기임을 감지하고 이사회에서 곧바로 인수포기를 결정하였다. [7] 마이크론 사장에 따르면 뉴욕주에 짓는 공장은 세계 최대 규모의 팹이 될 것이라고 한다. [8] TSMC 삼성전자가 뒤를 잇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