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1:04

드래곤/설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드래곤

1. 개요2. 각종 설화에서의 드래곤3. 목록
3.1. 중동3.2. 유럽3.3. 아시아3.4. 이집트와 아프리카3.5. 기타
4. 외부 링크
4.1. 영어4.2. 일본어

1. 개요

서양에서 가장 위험한 요수(妖獸)이면서 동시에 신적인 선한 존재 등 두가지의 모습을 가진 하나의 존재로, 거대하고 단단한 근육질의 육체와 이 달린 파충류[1] 같은 머리, 박쥐 혹은 물고기와 같이 피막으로 이루어진 날개, 견고한 비늘을 갖고 있으며, 입(혹은 코)에서 화염이나 냉기, , , [2] , 음파 등을 뿜기도 한다.

흔히 한 쌍의 날개와 두 쌍의 다리를 가진 파충류로 표현되지만, 사실 정해진 형태는 없다.[3] 그런 건 어디까지나 현대 판타지 창작물에서 유행하는 게 굳어졌을 뿐 딱히 드래곤의 형상과 체형에 대해 규칙이 있는 건 아니다. 드래곤은 원래 오랜 시간 동안 설화로서 전해져 내려오면서 많은 변화를 거친 민담이기 때문에, "크고 매우 강력한 파충류 괴물"이라는 큰 뼈대를 제외하면 수많은 묘사가 있다.[4]

성격은 보통 사나워서 위협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생식지는 대부분 인간이 살기 힘든 험한 곳이기 때문에 조우하는 일은 많지 않다고 한다. 혹시라도 인간이 사는 곳에 내려온 용은 보물을 턴다던가 처녀를 잡아먹는다던가 하는 깽판을 부리다가 수많은 영웅드래곤슬레이어들에 의해 격퇴당하는 게 대부분이다.

대부분 강력하고 불로영생을 하는 존재지만 불사신은 아닌 걸로 나온다. 때문에 드래곤은 온갖 신화에서 심심하면 때려잡아야 할 대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괜히 영웅담의 기본 베이스 중 하나가 '사악한 드래곤이 납치해간 공주를 구하기 위해 ~' 인 게 아니다. 게다가 영웅이 되는 조건 중 하나에 드래곤 때려 잡기가 있을 지경이다.[5] 드래곤에게 미래는 없다.

매우 멋지고 카리스마 있는 외양과 절대로 멍청하지도 않고 심지어는 선역일 때도 있음에도 맨날 때려잡히는 건 이 놈의 기원이 파충류라서 그럴지도 모른다.[6]
파일:external/approaching40.typepad.com/elepf65v_serpent.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Vortigern-Dragons.jpg
중세 서양의 용 그림[7]

2. 각종 설화에서의 드래곤

2.1. 고대 문명

파일:assyrian_dragon.jpg
혼돈의 물의 용과 싸우는 창조신
(신 아시리아의 원통형 인장, 니네베 출토, 기원전 8-7세기, O. Keel, 《Die Welt der altorientalischen Bildsymbolik》)
'뱀', 곧 그리스어 δράκων(drakōn)이라는 어원에서도 유추할 수 있듯이 드래곤은 신화/전설 속의 뱀 모티프에 근간을 두고 있다. 뱀 모티프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는데, 한 쪽은 탈피를 통해 생명을 이어간다는 생명력을 상징하며, 지하에서 잠든다는 특성 덕에 대지와 관련이 있고, 다른 한 쪽은 강물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뱀 모티프이다.[8]

뱀 모티프는 파충류에 대한 근원적 공포로 시작되기 때문에, 드래곤 역시 아주 난폭하고 잔혹한 존재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것은 자연의 무자비함일 뿐이지, 그들 자체가 사악한 것은 아니다. 바빌로니아의 신화를 보면 땅의 신으로서 세상을 보호하고 모든 작물을 자라게 하는 큰 사명을 지닌 존재로 묘사한다. 단, 이러한 역할일 경우에는 그 반동으로 항상 게걸스럽고 욕심많은 존재로 묘사된다.[9]

물론 그렇다 해도 역시 선역은 드물었다. 이때도 대부분 영웅이 겪어야 할 아주 힘든 역경을 상징하는 괴물이었다. 이처럼 위협적인 생물이다보니 만큼 이것을 살해하는 데에 성공한 영웅은 명예나 능력 혹은 군대 등 아주 큰 보상을 받았다.

메소포타미아의 마르두크는 자신의 증조모이자 큰 바다용인 티아마트을 무찌르고 니푸르의 주신이 되었고, 가나안의 바알은 용인 얌을 무찌르고 땅의 주인이 되었다. 그리스의 제우스는 타이탄인 티폰을 무찌르고 나서야 주신 대접받았으며, 아폴론은 그의 활로 피톤을 제거한 후에야 활의 명수로 인정받았다. 반면 신적 존재이기 때문에 드래곤을 살해한 것으로 천벌을 받는 경우도 존재했다. 대표적인 예시가 그리스의 카드모스. 아레스의 아들인 드라콘 이스메니오스를 죽여서 자손들이 불행한 최후를 맞이하는 것을 지켜봐야 했고, 최후엔 아레스의 아들을 죽인 것에 대한 죄책감 때문에 "차라리 용이 되었으면..."이라고 혼잣말을 하자, 아내 하르모니아와 함께 거대한 용이 되어버린다. 그나마 용이 되고 난 후엔 아내와 함께 낙원 엘리시온에서 함께 행복하게 살게 되었으니, 나름대로 해피엔딩을 맞이한 케이스라고 볼 수도 있다.

2.2. 기독교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George_and_Dragon.jpg
중세의 드래곤 그림[10]

이후 서양에서는 기독교적 색채가 가미된 후로 드래곤은 악마의 앞잡이, 혹은 사탄의 상징, 악의 화신 정도로 나타났는데, 과거 선악의 구분없이 그냥 '무시무시한 것'이라는 이미지에서 '사악하여 반드시 퇴치해야할 악마'로 변모했다.

고대에는 뱀에 관한 신앙이 주류 신화였고, 현대에도 많이 알려져있는 인간의 형상을 한 왕신, 영웅신등이 뱀을 퇴치함으로써 새로운 신화의 중심이 되는 구도가 기독교적으로 재해석 되어 천재지변의 상징이자 인간이 극복해야할 숙명에서 신에게 적대하는 악마라는 명확한 악으로서의 구도를 도입한 것.

이에 따라 악마와 맞서 싸운다는 전투적 이미지가 강한 대천사 미카엘이 드래곤과 싸우는 그림, 혹은 그리스도가 악을 정복했다는 의미로 드래곤을 짓밟은 조각, 악의 승리하는 요한 묵시록에서는 묵시록의 용이 등장하여 세계를 파멸로 이끄는 등의 선에 대항하는 악으로서 나타난다. 드래곤과 맞서 싸웠다는 로마 시대의 군인 성 제오르지오[11]는 동유럽으로부터 서유럽에 이르기까지 그리스도교 문화권에서는 폭넓게 사랑받았다.[12]

다만 이후에 기독교에 편입된 드래곤인 칸헬의 경우 유일하게 선한 존재로 묘사했다.

2.3. 루마니아

다른 유럽이나 서양에서 드래곤은 그냥 포악한 악역 취급이었지만, 루마니아에서는 그 성질이 달랐다. 아마 판타지 소설에서 가끔 등장하는 마법을 쓰는 드래곤은 루마니아 쪽 드래곤 전승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13] 루마니아에는 발라우르(Balaur)라는 그냥 드래곤과 가끔 인간으로 변신하는 루마니아 전통 드래곤은 따로 구분해 놓는다. 이것들 중 주목해볼만한 것은 즈뮤[14]이며, 완전히 인간스러워서 '미형이다'라고 묘사되는 설화도 존재한다. 폴리모프한 루마니아 드래곤은 초초초초초 미소년이여따 남자여자 다 반해따 똑똑한 부류들도 많지만, 어쨌든 대부분은 백마 탄 왕자에 의해 패배한다. 그 외에도 드래곤만의 왕궁을 이루고 있다든가 하는 설화도 있다.

발라우르는 보통 머리 많이 달리고[15] 동굴에 짱박혀 살면서 보석(루비, 다이아몬드 등)을 수집하고 남에게 피해를 끼치는 드래곤이다. 가끔 선역일 때도 있긴 하지만 적다. 즈메우는 인간으로 변신하기도 하고 자기네 왕국이 있는 등 어느 정도 지능이 높은 부류의 비율이 크며, 발라우르보다 착한 녀석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스코르피아라는 드래곤이 있는데 이쪽은 여자밖에 없고[16] 설화 속에서는 대체로 나쁘게 나온다. 스코르피아(scorpia)는 일종의 영지(?) 같은 걸 가지고 있기도 한다.[17]

드래곤은 아니지만 반쯤 신격화된 집 뱀이라는 존재가 있다. 집 뱀만의 왕국이 있다든가 혓바닥 아래에 보석을 물고 있다든가 그 보석이 마법석의 역할을 한다든가 하는 걸 보면 서양의 드래곤보다는 동양의 용과 더 비슷해 보인다.

불가리아, 북부 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등지에 민담에 전해 내려오는 악마의 일종인 알라[18]의 숙적이 드래곤이라고 하는데, 밭과 농작물, 들판, 수확을 수호하는 존재로 묘사한다.[19] 전승에 따르면 알라가 모습을 드러내면, 드래곤이 알라를 내쫓아버린다고 한다. 또한 어느 전승에서는 주인공의 출생이 "즈마제비티(zmajeviti)"[20]와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로 나온다.

여담이지만 기독교 성자가 나오는 전승에 따르면, 성자가 드래곤을 소환해서 알라와 싸운다고 한다. 이유는 성자가 드래곤과 협력한다는 믿음 때문이라고.

3. 목록

분류:드래곤도 참고할 수 있다.

3.1. 중동

3.2. 유럽

3.3. 아시아

3.4. 이집트와 아프리카

3.5. 기타

4. 외부 링크

4.1. 영어

4.2. 일본어




[1] 어느 삽화에서는 늑대와 같은 포유류의 얼굴인 경우도 있다. [2] Acid, 酸. mountain, 山 말고 염기의 반대다. 그 산을 뱉는다면 그건 그거대로 비범하지만 [3] 일본에서 나온 서브컬쳐 해설서 중 하나에선 그냥 '지역따라 부르는 이름이 달랐다.'라고 정리해 버리기도 할 정도다. [4] 몇가지 예를 들자면, 날개가 없고 날아다닌다는 묘사가 없는 드래곤도 있는가 하면, 불을 뿜는다는 묘사도 원래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며, 심지어 다리가 없고 팔과 날개만 달려서 날고 있지 않을 땐 엉기적엉기적 기어다닌다는 듯한 묘사까지 있었다. 신화와 전설은 판타지 설정과는 다르다. [5] 오히려 퇴치담만 따지면 만티코어 쪽이 더 악랄하다. 이 쪽은 확실히 퇴치당했다는 전승이 거의 없다. [6] 영장류의 파충류 혐오는 상상하는 것 이상이다. 뱀을 전혀 본 적 없고 거의 모든 대상에 호기심을 보이는 새끼들마저도 뱀은 싫어한다. 다만 최근에는 이에 대해서는 반박하는 의견이 있다. [7] 위의 사진은 아서왕 전설에 나오는 붉은 용 '드레이그 고흐'와 하얀 용 '드래이그 웬'이다. 2번째 이미지 출처 [8] 바빌로니아의 얌, 북구의 미드가르드, 그리스의 티폰과 피톤, 중국 삼황의 복희에게 하도낙서를 알려준 청룡, 우를 도와 치수를 하였다는 용왕, 인도의 나가 신앙 등이 대표적이다. 즉, 수신으로서의 강을 대표하는 상징이다. [9] 때문에 발숭사가의 거인 형제는 난장이 니벨룽의 보물을 보호하기 위해 용의 형태(파프니르)로 변형한다. [10] 이미지 출처 [11] 영어식으로는 조지. 그리고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의 문장은 말을 타고 드래곤과 싸우는 성 제오르지오다. [12] 물론 성 제오르지오는 실존인물로 로마 시대의 군인이었지만, 실제로 그가 드래곤과 싸운 적은 없다. 이는 후대에 붙여진 전설. [13] 그러나 루마니아 쪽에는 그러한 것이 많지만 소설 속에서처럼 인간의 모습으로 시가지에 숨어 들어오기보다는 동굴에 찡박혀있는 이미지가 보통이다. '드래곤의 유희'라는 설정은 아마 한국 고유의 특성인 듯하다. 그렇지만 폴리모프하여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 자체는 루마니아 전승의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14] 이는 슬라브어로 뱀을 의미한다. 공교롭게도 연(하늘에 날리는 연)과 스펠링이 같아서 구글 번역기에 돌리면 연이라고 나온다. [15] 보통은 3개이며, 7개, 많으면 12개까지 늘어나는 듯 하다. 출처. 영어주의. [16] 어쩌면 그냥 성별이라는 개념이 없다고 볼 수도 있다. 뉴 멕시코 채찍꼬리도마뱀처럼. [17] 참고로 루마니아 현지에서 스코르피아는 꽃뱀(...) 같은 느낌의 비하어로 쓰이는 모양이다. [18] 흔히 알려진 그 알라와 다른 존재다. 이쪽은 다양한 모습을 했다고 전해오며, 인간을 싫어한다고 한다. 모든 민담에서는 드래곤, 수리, 성인에게 반드시 패배한다고 한다. [19] 또 다른 알라의 숙적으로는 수리 성자가 있다. 그러나 성자의 경우는 기독교의 영향으로 등장한 것이고, 수리가 나오는 신화가 많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알라의 숙적은 드래곤이나 다름없다. [20] 대략 드래곤과 가까운 존재. 쉽게 말하자면 하프 드래곤이나 드래고노이드라고 보면 된다. [21] 증거 자료가 부족해서 그렇지, 이 녀석을 드래곤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4 ( 이전 역사)
문서의 r1254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