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체조 동작
말 그대로 구르는 행위. 체조 동작에 자주 포함된다. 앞구르기, 뒤구르기, 옆구르기 등이 있으며 학교 체육 시간에 시험을 보기도 한다. 유도나 합기도 등 격투기에서 낙법이라는 이름으로 가르치기도 한다. 주짓수를 배울 때에도 몸풀기 겸 그라운드에서의 기동을 위해 자주 훈련한다. 아래 문단은 주로 체육 시간에 배우는 체조 구르기 위주의 서술이다.1.1. 종류
1.1.1. 앞구르기
앞구르기는 매트에 몸을 올려 앞으로 구르는 동작이다. 간단하면서도 쉬워 대표적인 구르기 동작으로 불린다. 위의 사진만으로는 구르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체조를 위해 제대로 구르기 위해서는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다.
파쿠르에서도 매우 자주 사용하는 기술이다. 지면에 발이 닿자마자 몸을 굴리는 걸로 충격을 온몸에 분산시키기에 다리의 피로를 크게 완화시키며, 아예 일반적인 착지로는 큰 부상을 입는 높이에서도 안전하게 착지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 하지만 파쿠르에서 사용하는 구르기는 롤링이라고 해서 매트에서 하는 체조식 앞구르기와는 완전히 다른 기술이다. 자세한 내용은 파쿠르 문서의 낙법 문단 참고.
팔로 지탱하면서 도는 것이 요령이다. 운동에 적성이 없는 사람들의 경우 머리로 지탱해서 돌거나 심지어는 매트를 향해 머리를 쿵하고 찍는 경우가 있는데 절대 아니다! 거의 다 굴렀을 때 자연스럽게 팔꿈치가 구부러지면서 뒤통수와 등 사이의 곡면으로 구르는 것이 매끄럽다. 즉, 자신의 배를 쳐다보는 정도로 머리를 숙여 등이 닿도록 하는 게 포인트. 몸의 라인을 동그랗게 만들어줘야 제대로 할 수 있다. 뻣뻣하게 긴장된 상태로 돌면 매트에 머리가 부딪쳐 목 근육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 가끔 몸이 굴러서 넘어가는 순간에 허리를 펴는 바람에 마치 뒷발로 차는 듯한 모션이 나오고 이어서 등이 바닥에 그대로 "쿵!" 하고 닿는 사람도 있다. 허리도 아플 뿐더러, 상대적으로 회전 양이 큰 발은 더욱 강하게 지면에 부딪히는데, 이때 발목의 고통은 상당하다.
초등·중학교 체육 교과 수행평가 종목으로 자주 선정된다.
목에 무리가 가는 동작이기 때문에 목을 자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힘을 줘서 잘못 구르면 그 날은 하루종일 목이 아프게 된다. 머리는 땅에 안 닿는 게 이상적이고, 목도 되도록 부드럽게 닿는 게 낫다. 안 그러면 구르는 순간 체중이 다 머리에 실리기 때문에 맨땅에 헤딩이 되어버린다.
팔힘도 좋고 유연성도 좋고 반사신경도 좋다면 아예 팔로만 땅을 짚고 몸은 공중에서 돌아서 발로 딱 착지하는 게 된다. 꽤 어렵기는 하지만 이 경지에 이르면, 아니면 착지는 조금 더럽더라도 과감하게 머리가 땅에 안 닿게끔 빙 돌 수 있으면 학교 수행평가는 날로 먹을 수 있다. 반쯤 농담으로 오랑우탄 등 유인원이 나오는 다큐멘터리나 동물원 기록영상 등을 보면 모범적인 시범을 볼 수 있다. 얘네는 인간보다 팔이 길어서 더 이상적인 조건으로 잘 한다.
1.1.2. 뒤구르기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누우면서 하체를 뒤로 넘기며 구르는 체조의 한 동작.
역시 원리는 앞구르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시선을 복근에 주면서 새우등을 만드는 걸 의식하면 쉽다. 뱃심으로 하체를 들어올려 뒤로 넘기면서 등을 대고 구르는데, 목이나 허리가 쭉 펴져 있으면 구르진 않고 그냥 드러눕게 된다. 잘못된 자세로 무리하게 구르려 하다가 다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학교 체육 시간에 뒤구르기 요령을 가르칠 때 팔을 들어 손바닥을 귀 뒤(옆)에 대라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냥 귀 뒤에 붙이는 것만 의식하고 있다간 목에 체중이 실리는 자세로 구르게 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등이 바닥에 닿을 즈음 손바닥으로 귀 뒤 바닥을 짚으며 하체를 힘차게 뒤로 넘겨 주는 것.
학교 체육 시간에 학생들을 관찰해 보면, 태반은 구르지 못하고 실패한다. 그냥 얼핏 보면 마치 쪼그리고 있다가 포복절도하며 자지러져 뒤로 나자빠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앞구르기에서와 마찬가지로 등이 바닥에 닿을 때 무슨 이유에서인지 다리를 펴서 몸을 곧게 만들어 공중으로 발차기를 날리는 듯한 학생도 볼 수 있다.
1.1.3. 옆돌기(옆구르기)
앞서 설명한 두 체조와는 좀 다르다. 일명 풍차돌리기라고 불리는데, 만세 자세로 옆으로 돌면서 한 손을 먼저 집고 다리를 들어올려서 빠르게 구르는 체조이다. 자세의 특성상 사춘기 이전 어린이나 청소년들은 시행착오를 거치면 얼추 할 수 있지만, 몸이 굳은 성인은 충분한 연습 없이는 다리가 굽어지거나 실패할 때가 많다.
1.1.4. 텀블링
흔히 '덤블링'이라 부르곤 하는 것으로, 이름대로 공중제비가 동반된 구르기이다. 국제체조연맹(FIG)이 주관하는 대회에서의 텀블링은 25m 길이의 매트 위에서 총 8개의 동작[1]을 수행해야 하는 방식이다.
2. 게임 속 기술
보통 게임에서 구르기 기술은 회피 겸 이동기이다. FPS류에서는 구르기를 통해 몸을 웅크려 피탄면적을 줄이고 엄폐물 뒤로 빠르게 이동하는 식으로 등장한다. 동작에 따라서 다르지만 몸을 공처럼 작게 말아서 길게 굴러가는 것(★)도 있는데, 이 경우 격투 게임에서는 공격기 또는 이동기로도 자주 등장한다. 좀 더 캐주얼한 게임의 경우는 구르는 동안에 무적 시간을 부여하기도 한다. 소울라이크의 필수요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공격기나 이동기가 아닌 무적시간이 부여된 최초의 회피기로서의 구르기를 처음 도입한 게임은 tad사의 1988년 슈팅게임인 cabal로 알려져 있다. 격투게임에서 가장 먼저 사용한 것은 다름 아닌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켄 마스터즈이다. 커맨드를 입력해 사용하는 전방전신인데 사실 처음에는 무적시간이 없었다. 이후 KOF의 다이몬 고로가 이를 계승하고, KOF 96부터 시스템화되어 전 캐릭터에게 표준장착된다. 그리고 CAPCOM VS SNK 2에서는 캡콤 캐릭터들도 데굴데굴 굴러대는 것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게 몬스터 헌터 시리즈로 이어진다. 스파 제로 시리즈에서는 이동기상시에 대부분의 캐릭터가 몸을 말아서 굴러간다. 이동기상 시스템은 당시 캡콤 격투게임 상당수가 이랬다. 구르는 캐릭터가 있는가하면 그냥 스르르륵 움직여 일어나거나 텔레포트하는 경우도 제법 있었다.
몇몇 뚱캐나 거대하게 부푼(?) 캐릭터는 자신의 몸 특성을 이용해서 무식하게 굴러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로 표기.
- 고지라 시리즈 - 안기라스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 템퍼런스☆
- 레전드 오브 곡괭이 - 주인공 [2]
-
레이튼 시리즈 - 허셜 레이튼[3] - 록맨 X 시리즈 - 액셀
-
리그 오브 레전드 -
람머스★,
베인,
베인충, 에코, 킨드레드, 파이크 - 마블 히어로즈 - 퍼니셔[4]
- 마블 퓨처파이트 - 킹핀[5]
- 마비노기 영웅전 - 리시타, 피오나 [6]
- 메이플스토리 - 핑크빈★
- 메탈기어 시리즈 - 솔리드 스네이크, 네이키드 스네이크, MSF 대원들[7]
- 메트로이드 시리즈 - 사무스 아란★ 수트를 입은채로 구르기를 하는데, 이걸로 좁은 통로를 빠져나가거나 빠르게 지나가기도 한다.
- 몬스터 헌터 시리즈 - 헌터. 이후 갓이터 시리즈, 소울 새크리파이스 시리즈 등 헌팅 게임류의 캐릭터들, 쿤추, 랑그로토라, 라도발킨, 우라간킨
- 뱀파이어 시리즈 - 펠리시아★
- 버블파이터 - 모든 캐릭터들
- 베인글로리 - 랜스
- 블레이드 앤 소울 - 소환사
- 사이퍼즈 - 숙명의 카인, 제네럴 웨슬리[8]
- 스타크래프트 2 - 맹독충☆[9]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블랑카★, 발로그, 켄 마스터즈★, 다운후 이동기상 동작(대부분의 캐릭터★).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소닉 더 헤지혹의 스핀 대시★
- 소울 시리즈 - 주인공
- 소울 나이트 - 도적
- 아캄버스 - 플레이어블 캐릭터 전원
-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 아르노 도리안, 바예크, 미스티오스[10]
- 엘소드 - 엘소드
- 오버워치 - 캐서디, 레킹볼★
- 워록 - 플레이어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데굴데굴 동호회★, 수도사★
- 전국무쌍 시리즈 - 기본 시스템. 4편부터는 사라졌다. [11]
- 젤다의 전설 시리즈 - 링크[12], 고론족☆[13]
- 철권 시리즈 - 쿠마☆, 팬더☆
- 카발
- 카타나 제로 - 주인공, 드래곤, 헤드헌터, V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 에일리언 도넛, 버터쉘여우 쿠키
- 킹덤하츠 시리즈 - 소라를 비롯한 플레이어블 캐릭터들
- 테일즈런너 - 마키★
- 톰 클랜시의 디비전 - 디비전 요원(플레이어)
-
포켓몬스터 2세대 및 4세대 - 밀탱크★[14] - 포켓몬스터 - 구르기(포켓몬스터), 아이스볼을 배우는 포켓몬★, 솔가레오★, 코라이돈★, 미라이돈★
- 핫라인 마이애미 2: 롱 넘버 - 코리, The Son(보디가드 능력 선택시)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발라, 첸[15]
- KOF 시리즈 - 다이몬 고로[16], KOF 96이후 기본 시스템(일부 캐릭터 ★).[17]
- Enter the Gungeon - 기본 시스템
- Forager - 기본 시스템[18]
- Warframe - 구르기[19]
-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 - 피에르 77세★☆
-
Dead Drunk 1.9 - 주인공[]구르는 기술이 있는게 아니라 술에 취해서 굴러지는 거다.] - 포켓몬 유나이트- 푸크린
[1]
첫 동작은 물구나무를 서면서 몸을 비틀어야 하는 자세인 것, 마지막 동작은 공중회전해서 착지하는 자세인 것, 구르는 도중에 공중제비 동작을 한두 개 섞을 것, 매트에 맞춰 거리 조절을 잘 해야 할 것 등의 세부규정이 있다.
[2]
킹오곡의 보스인 젋은이와 헷갈릴지도 모르지만 레오곡의 주인공의 이름은 밝혀진바가 없고
킹오곡 →
갓오곡 →
레오곡순으로시간이 흘러 가기때문에 젋은이 일리가 없다.
[3]
공격기가 아니라 회피기. 물론 기술인건 농담이고, 가끔 누군가를 끌어안고 데굴데굴 구른다.
[4]
유일하게 구르기에 자원이 들지 않는 캐릭터다.
[5]
4번스킬 사용시 타겟팅 무시기 로 한바퀴 구른다. - 노 유니폼 기준
[6]
가드 특화 캐릭이지만 이동회피가 구르기다.
[7]
시리즈의 전통적인 움직임. 앞구르기로 적 공격 회피, 넘어트리기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팬텀 페인에서는 삭제된 대신 전방 다이빙으로 대체되었다.
[8]
스킬의 이름도 적절하게 긴급회피.
[9]
원래는 걸어다니지만 이동속도 업그레이드인 원심고리가 완료되면 굴러다닌다.
[10]
켄웨이 사가의
라둔하게둔,
에드워드 켄웨이,
셰이 패트릭 코맥은 척탄병의 공격을 피할때 한정으로 회피동작이 구르기가 된다.
[11]
외전인
무쌍 오로치에서는 구르기는 없다.
[12]
3D 시리즈와 이상한 모자에서 구르기를 한다. 무쥬라의 가면에서는 고론 가면을 써서 고론족으로 변신하면(★) 구르기를 하면 점차 가속도가 붙고 붉은 기가 생기는데 지나가는 곳에 있는 적을 모두 쳐내는 기염을 토한다.
[13]
기본적으로 몸을 말고 굴러다닌다. 특히
윤돌의 구르기는 게임 내 기술이 되기도 했다.
[14]
물론 얘 말고도 배우는 녀석들이 꽤 많지만,
모종의 이유로 구르기 하면 밀탱크가 되어버렸다.
[15]
궁극기로 술통 구르기라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16]
시스템 요소로서의 구르기 외에 초낙법이라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17]
정식 명칭은 긴급회피. 구르기는 어디까지나 편의상 부르는 속칭.
[18]
스페이스를 누르면 구른다. 다만 게임에 전투할일이 없고 튜토리얼에서도 안알려준다는 게 흠.
[19]
구르기 사용 중에는 받는 피해가 75% 감소된다. 별도의 기술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파쿠르 행위에 포함된 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