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1 09:01:07

대용 커피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e4a3f><tablebgcolor=#5e4a3f> 파일:커피 아이콘.png 커피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0%; min-height:2em"
{{{#!folding  [ 커피 종류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ddd,#383b40> 블랙 커피 에스프레소 ( 리스트레토 · 룽고) · 아메리카노 · 드립 · 콜드 브루 · 튀르크 커피 아이스 커피
질소 커피
베리​에이션
커피
우유를 넣은 커피 ( 스팀 밀크 · 카페라떼 · 카페오레 · 카페모카 · 카푸치노 · 코르타도 · 마키아토 · 플랫 화이트 · 카페 콘 레체)
콘 판나 · 아인슈페너 · 아포가토 · 샤케라토 · 로마노 · 방탄커피 · 달고나 커피 · 프라페
커피주 깔루아( B-52 · 깔루아 밀크 · 벨벳 해머 · 블랙 러시안 · 에스프레소 마티니 · 퀵퍽 · 푸스 카페 레인보우 · 화이트 러시안) · 아이리시 커피 · 카페 로열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0%;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추출 방식
및 기구
에스프레소( 에스프레소 메이커 · 전자동 머신 · 반자동 머신 · 캡슐 · 파드 · 레버· 휴대용) · 드립 커피( 드리퍼, 드립 커피 메이커) · 콜드 브루 · 프렌치 프레스( 클로버) · 모카포트 · 달임식 · 에어로프레스
인스​턴트 커피​믹스 자판기 커피 · 맥심 · 카누 · 칸타타 · 스타벅스 비아 · 맥스웰하우스 · 네스카페
캔​커피 T.O.P · 칸타타 · 레쓰비 · 스타벅스 · 조지아 · 맥스웰하우스 · 네스카페
기타 문서 카페 · 루왁커피 · 바리스타 · 크레마 · 모카 · 대용 커피 · 커피 젤리 · 카페인 · 디카페인 · 커피스틱 · 커피 체인점 · 카공족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0%; min-height:2em"
{{{#!folding  [ 유명 체인점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한국계 프랜차이즈
파일:이디야커피 심볼.svg 파일:카페베네.png 파일:할리스커피 심볼.svg 파일:탐앤탐스 심볼.svg 파일:투썸플레이스 심볼.svg
파일:엔제리너스 커피 엠블럼.svg 파일:폴 바셋 로고.svg 파일:빽다방 로고.svg 파일:카페 드롭탑 아이콘.svg 파일:카페띠아모엠블렘.png
파일:요거프레소 심볼.svg
외국계 프랜차이즈
파일:스타벅스 로고.svg 파일:일리카페 로고.svg 파일:파스쿠찌 엠블럼.svg 파일:블루보틀 로고.svg 파일:커피 빈 앤 티 리프 심볼.svg
파일:팀 호턴스 로고.svg
}}} }}} }}} }}}

1. 개요2. 상세

1. 개요

Coffee substitutes/Ersatz coffee

커피의 원료인 커피콩을 구할 수 없는 환경에서 그 대용으로 만들어 마시는 음료. "인조 커피", "합성 커피", "커피 대용품", "커피 대용 차"[1] 등등이라고도 한다.

2. 상세

커피는 열대에서 기르는 작물이기 때문에 재배가 불가능한 지역과 국가는 수입해서 마실 수밖에 없지만 여러 경제적 이유와 정치적 상황으로 수입을 할 수 없는 일은 언제나 있기 마련인데 이런 상황에서 대용 커피가 등장하곤 한다. 가령 세계 대전기의 독일은 전시 해상 봉쇄로, 전후 동독은 1970년대 후반에 브라질발 커피 흉작이 원인이 되어 커피값이 폭등하자 외화 부족으로 커피콩을 필요한 만큼 수입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대체품을 적극적으로 고안하여 소비했다. 한국에서는 1960~70년대에 소비되었는데 커피가 전량 외제품이었다는 이유 때문에 수입을 금지해서 다방에서 커피 대신에 콩을 볶아서 커피 흉내를 낸 콩피 같은 음료수를 내놓았다고 전해지며 비양심적인 다방에서는 담배꽁초로 커피를 만들어 팔기도 했다.(...)

널리 알려진 재료는 보리 따위 곡물, 치커리 민들레의 뿌리, 도토리 같은 견과류, 루타바가 등이며 이것들을 주로 볶거나 태워서 나온 것을 가지고 만든다.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에서 수감자들에게 배급한 폐급의 대용 커피는 버려지는 야채 뿌리와 찌꺼기를 가지고 만들었다.

최근에는 식물성 폐기물이나 커피 미생물 등을 활용해서 커피콩 없이 인공 커피를 생산하는 기술도 생겨났다.

맛은 당연히 진짜 커피에 비해 느낌만 내는 수준이라고 하며 특히 카페인이 전혀 없기 때문에 커피 특유의 잠 깨는 효과도 바랄 수 없다. 진짜 커피에 비해 확실히 열등하기 때문에 수요가 많지 않아 찾기가 쉽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고유의 그리고 카페인을 기피하는 사람들에겐 카페인이 없다는 점이 역으로 장점이 되는 등의 까닭으로 명맥은 근근이 유지하고 있다.

커피가 생활화되는 데 반해 커피를 삼가야 하거나 못 먹는 사람도 늘어나는 탓에 수요가 생겼는지 한국에도 곡물로 만든 유럽산 대용 커피가 수입되고 있다.


[1] 판매업자들은 주로 이렇게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