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노중국 盧重國 | Noh Choong-Kook |
|
|
|
<colbgcolor=#024c84> 호 | 미관(未盥) |
출생 | 1949년 6월 18일 ([age(1949-06-18)]세) |
강원도 울진군 죽변면 화성리[1][2] | |
학력 |
죽변중학교 (
졸업)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 합격) 계명대학교 문과대학[3] ( 사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학 / 석사[4])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학 / 박사[5]) |
병역 | 대한민국 공군 장교 |
경력 | 계명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
[clearfix]
1. 소개
대한민국의 역사학자로 백제사의 권위자이다.2. 생애
1949년 강원도 울진군 울진면 화성리(現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화성리)에서 태어났다.본래 집안 형편이 어려워 1965년에 죽변중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는 고등학교로 진학하지 못한 채 농사일을 거들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주변 사람으로부터 검정고시를 통해 대학에 갈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자 독학으로 공부하여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에 응시하여 합격하고, 재수를 통해 계명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하였다. 이때 전액 장학생으로 들어가 학비에 대한 부담 없이 공부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학부 3학년 때에 지도교수의 권유로 연구자의 길을 걷기로 마음먹었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당시 한국고대사의 권위자로 이름이 높았던 김철준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그 뒤 대한민국 공군 장교로 4년 5개월 동안 복무하고 전역 후에는 한국사학계에서 최초로 백제사를 주제로 학위 논문을 써서 1977년과 1986년 각각 국사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해 백제사 전공자 제1호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회고에 따르면 당시에는 백제사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어 자료가 거의 없다시피 한 탓에 무척 전전긍긍하였으나, 때마침 무령왕릉이 발굴되고 백제사 연구에 활력이 돋게 되자 다시 연구에 정진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석사 학위 취득 후 1979년부터 계명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인문대학 학장을 역임하였다. 2014년 8월 정년퇴임했다.
3. 경력
여러 역사학자들과 더불어 한국고대사학회를 창립하여 1~4대 회장을 맡았으며, 대구사학회 회장, 백제학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학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또한 제1기 한일역사공동연구회위원을 역임하기도 하였다.오늘날에는 노태돈 서울대 교수, 주보돈 경북대 교수 등과 함께 한국 고대사학계의 거두 중 한명으로 손꼽히는 학자로[6], 일찍이 삼국사기 초기 기록과 삼국지 동이전의 기록을 절충해서 삼국(三國)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수정론을 제기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백제사 연구 분야에 있어 큰 영향을 끼쳤으며, 양기석 충북대학교 교수와는 국내 백제사 연구계의 양대산맥으로 손꼽힌다. 1986년에 박사 논문으로 발표한 <백제정치사연구>는 오늘날의 백제사 연구에 있어 기틀을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7] 한편 백제사 연구로 유명해서 그렇지 신라와 가야사 연구에도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둔 바 있다.
현재 발표되고 있는 한국 고대사에 관련된 연구 논문이나 서적치고 노중국의 저서와 논문을 인용하거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로 그 영향력은 큰 편이다. 특히 초기 고대국가의 형성 과정 부분이나 백제사의 전개 부분에서의 영향은 피해갈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하다. 대중적으로도 이도학과 함께 백제사 연구의 권위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8]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주관한 총 53권의 신편 <한국사> 편찬 작업에서 고대사 파트의 집필 위원으로 참여하였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에서 편찬한 5권의 역주 삼국사기의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2013년 9월, 동아일보와 한국연구재단이 실시한 조사에서 '한국 역사학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연구인 20인' 중에서 1위를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다. # 그만큼 그의 논문이 인용되는 횟수가 많다. 다만 노중국의 학설이 모든 곳에서 인정받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논문에 인용이 많이 된다는 것은 그만큼 인정받는 학설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비판을 받는 학설이기도 하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4. 저서
번역저나 잡지 등은 빼 기재한다.- 백제부흥운동사( 일조각, 2003)
- 백제부흥운동 이야기(주류성, 2005)
- 한성백제의 역사와 문화(서경문화사, 2007)
- 한국 역사의 이해(계명대학교출판부, 2008)[공저]
- 시민을 위한 서울역사 2000년(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공저]
- 백제 사회 사상사(지식산업사, 2010)
- 역주 삼국사기(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998년 초판, 2011년 개정판)[공저]
- 백제의 대외교섭과 교류(지식산업사, 2012)
- 금석문으로 백제를 읽다(학연문화사, 2014)
- 한류열풍의 진앙지 일본 가와치(주류성, 2016)[공저]
- 백제정치사( 일조각, 2018 개정판)
-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사회평론아카데미, 2020)[공저]
- 역사의 맞수 1(지식산업사, 2020)
- 스러져간 백제의 함성(주류성, 2020)[공저]
- 고대 한류 열풍의 중심지 아스카(주류성, 2021)
- 백제의 정치제도와 운영( 일조각, 2022)[15]
5. 여담
계명대 사학과 학생들 중에서 애칭으로 노'차이나'(China) 교수님(...)으로 부른 사람이 있었다고 한다. 백제사의 권위자이자 계명대 출신 중에서 대성한 사람에 속하였기 때문에 이런 별명이 붙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계명대 사학과의 자존심이기도 하였다.체력도 좋은 편인지 퇴임 직전 답사 갈 때도 학부생들보다 빠른 움직임을 보였다는 설이 있다.
6. 관련 문서
[1]
現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면 화성리
[2]
1963년부터 울진군은 강원도가 아닌
경상북도 산하가 되었다.
[3]
계명대학교 문과대학은 이후 인문과학대학, 인문대학을 거쳐 옛 국제학대학과 통합되어
2015년부터 인문국제학대학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4]
석사 학위 논문:
百濟王室의 南遷과 支配勢力의 變遷 (1977)
[5]
박사 학위 논문:
百濟政治史硏究 : 國家形成과 支配體制의 變遷을 中心으로 (1986)
[6]
여담으로 노태돈, 노중국, 주보돈은 모두
영남과 연이 있다. 노태돈 교수는
경상남도
창녕군 출신이며, 대구의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노중국 교수는
경상북도
울진군 출신으로(다만 태어날때 울진군은
강원도 소속이었다)
계명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모과에서 교수를 지냈고, 주보돈 교수는
경상남도
진해군(현
창원시
진해구) 출신으로 이후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모과에서 교수를 지냈다.
[7]
몇 년 동안 절판되어 도서관이나 헌책방에서나 간간히 볼 수 있을 정도로 희귀했지만, 2018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8]
다만 이도학은 최근(?) 들어 무리한 학설을 밀어붙이는 바람에 학계에서의 위상이 예전만 못해졌다는 평을 받기도 한다. 한 가지를 들면
흑치상지의 고향으로 알려진 흑치(黑齒)의 위치에 대해서 이도학은 중국 기록에 나오는 흑치국(黑齒, 지금의
필리핀)으로 보고 백제가
동남아시아까지 진출해
담로를 설치했었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지만, 노중국은 黑齒란 '검은니'로 읽어서 '검은내(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며 지금의 충남 예산 덕산면(옛 이름이 금물현)을 흑치상지가 봉해졌다는 흑치로 비정했다. 이도학은 추후 저서 <백제 사비성 연구>에서 이러한 노중국의 주장을 두고 "그런 식으로 비정할 거면 대한민국 땅에서 흑치 아닌 곳이 어디 있냐"고 비판한다. 물론 학계에서 이런 갑론을박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긴 하다. 서로 비판할건 비판하면서 필요한건 받아들이고 정반합하는 것.
[공저]
[공저]
[공저]
[공저]
[공저]
[공저]
[15]
백제정치사에서 다 다루지 못한 백제의 정치제도나 행정제도를 다루는 책이다.